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3
발행년 : 200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여성학 제24권 4호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942304 
한국어 초록
  푸코는 국민국가의 통치권력이 인구를 대상으로 하는 생명정치를 특징으로 한다고 말했다. 아감벤은 여기서 더 나아가 생명정치의 작동방식은 생명을 사회적 생명(비오스)과 벌거벗은 생명(조에)으로 분리시킨 후 벌거벗은 생명을 국가의 통치권으로부터 배제시킴으로써 통치권 안에 포함시키는 포함적 배제의 방식을 통해 권력을 행사하며, 궁극적으로 포함적 배제의 영역은 더욱 확장될 것으로 예견했다. 이 포함적 배제의 영역 안에 놓여있는 사람들이 벌거벗은 생명이다. 이 글은 푸코와 아감벤의 논의를 바탕으로, 벌거벗은 생명으로의 환원이 계급, 인종, 젠더, 섹슈얼리티 등의 사회적 위계 체계들과 상호교차를 통해 확산된다는 점을 주장한다. 또한 벌거벗은 생명의 이미지들의 유통이 무엇을 의도하고 있으며, 그 고통의 이미지들을 어떻게 읽어야 할지의 문제를 다룬다. 마지막으로, 버틀러의 논의에 근거해 생명정치의 시대에 페미니스트 윤리의 방향은 사회적 생명과 벌거벗은 생명 즉 비오스와 조에의 분리를 넘어 통합을 이루게 하는 데 있으며, 이것은 권리의 개념으로 재현되지 않는 벌거벗은 생명의 모습을 듣고 느낄 수 있는 감수성과 상상력의 고양을 통해 인간성을 복원시키려는 기획에서 시작된다는 점을 주장한다.



영어 초록

  Foucault wrote the sovereign power of nation-state can be characterized by biopolitics regarding population as the object of governing. Agamben elaborated further claiming that biopolitics starts to operate by separating life into qualified life(bios) and bare life(zoe), then simultaneously excluding bare life from and subjecting into sovereign power, or applying exclusion/inclusion tactics and predicted further expansion of the realm of exclusion/inclusion tactics. The people subjected to this tactics are bare life. This work claims, based on the arguments of Foucault and Agamben, reduction into bare life will further spread and be intensified through the intersection with such social hierarchical systems as class, race, gender, sexuality, etc. What the circulation of images of bare life intends to and how to read its images of pain are also the problems discussed. Lastly Butler"s arguments are utilized to claim that the direction of feminist ethics in the age of biopolitics resides in going beyond separation of qualified life/bare life or bios/zoe into new politics capable of consolidation without relying on the exclusion/inclusion tactics and this will be possible only by the project that aims to revive the humanity by heightening our sensitivity and imagination capable of discovering and perceiving the hidden aspects of bare life that cannot be reproduced by the concept of human rights.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생명정치와 벌거벗은 생명
Ⅲ. 벌거벗은 생명과 여성
Ⅳ. 벌거벗은 생명과 페미니스트 윤리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상세서지
  • 발행기관 : 한국여성학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 등재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 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94230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7
53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연구의 생명윤리담론 분석 : 한국 기독교와 불교를 중심으로 / 박상언 2012  498
52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일개 대학 간호학생의 성별, 윤리적 가치관 및 생명의료윤리 특성이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 정계선 2013  494
51 1 윤리학 생명윤리 법제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에 관한 연구 / 안영하, 서순택, 우제창, 오정균, 엄애용 2014  489
50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주 등록제도에 대한 고찰 / 김현철 2014  462
49 23 연구윤리 한국 의생명과학 연구윤리제도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최병인 2006  451
48 1 윤리학 전부개정 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연구대상자 보호 측면에서의 의의와 한계 / 김은애 2014  449
47 15 유전학 체육철학 : 유전자도핑과 생명윤리 -스포츠를 중심으로- / 이문성 2014  447
46 1 윤리학 생명윤리법에서의 도덕성과 합법성 논의 : 생명윤리법에서 정언적 원리의 정초와 관련해서 / 이인영 2011  444
45 18 인체실험 스포츠사회과학 연구에서 생명윤리의 문제: IRB의 적용 / 김동규 외 2015  443
44 15 유전학 유전자검사와 유전자치료에 관한 쟁점사항과 사회적 수용도 / 이인영 2005  430
43 1 윤리학 생명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형사입법의 회고와 전망 / 이인영, 김성천 2007  427
42 2 생명윤리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따른 우리나라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 역할의 특수성과 운영 관련 법규정 개정에 대한 제언 : 배아생성의료기관, 인체유래물은행, 배아연구기관 등의 기관생명 윤리위원회를 중심으로 / 김은애 2015  406
41 2 생명윤리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영향 요인 / 임미혜, 박창승 2014  404
4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안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 고준기, 조현, 이강호 2014  396
39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문화에 대한 소고 / 정화성 2015  378
» 10 성/젠더 생명정치, 벌거벗은 생명, 페미니스트 윤리 / 조주현 2008  366
37 4 보건의료 철학 요양병원 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 김문옥 2015  360
36 10 성/젠더 위해 의료사건 예방을 위한 의료감정의 계량적 접근 / 윤성철 2016  359
35 19 장기 조직 이식 인체유래물 기증자의 동의 및 동의철회의 법적 문제 / 이한주 2016  348
34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윤리에서 위험과 불확실성 / 서정임 2014  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