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형사정책 Vol.26 No.1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45861 

연구논문 : 연명치료중단의 허용성과 법제화에 대한 고찰 = Legalization and Regulation of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초록 ( Abstract )

  • 연명치료의 중단에 관한 법안은 일정한 요건 하에서 연명치료의 ‘중단’ 내지 ‘중지’ 또는 ‘보류’를 허용하고 있다. 법안은 말기환자에 대해 아직 생명유지장치의 삽입·장착이 이루...
  • 연명치료의 중단에 관한 법안은 일정한 요건 하에서 연명치료의 ‘중단’ 내지 ‘중지’ 또는 ‘보류’를 허용하고 있다. 법안은 말기환자에 대해 아직 생명유지장치의 삽입·장착이 이루어지지 않은 단계에서 환자의 결정에 따라 그 삽입·장착을 취하지 않는 경우뿐만 아니라 이미 생명유지장치가 삽입·장착되어 있는 환자로부터 그 생명유지장치를 제거하는 경우도 적법화의 대상에 포함시키고 있다. 그런데 이미 삽입·장착되어 있는 생명유지장치를 제거하는 것과 아직 생명유지장치의 삽입·장착이 이루어지지 않은 단계에서 환자의 결정에 따라 그 삽입·장착을 취하지 않는 것이 각각 작위와 부작위로서 달리 평가되는 것인지에 관해서는 견해의 차이가 있다. 의료행위의 시계열적 연속성에 비추어 생명유지를 개시한 시점부터 종료하는 시점까지의 처치를 일체의 의료행위로 파악한다면, 이미 삽입·장착되어 있는 생명유지장치를 제거하는 조치는 새로운 의료행위로서의 작위가 아니라 이전부터 연속되고 있는 치료행위를 중단하는 부작위로 평가될 수 있다. 한편, 의료수준에 따른 치료의무의 한계는 아직 생명유지장치의 삽입·장착이 이루어지지 않은 단계에서 환자의 결정에 따라 그 삽입·장착을 취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는 객관적으로 판단되는 법적 치료의무의 한계로 파악될 수 있고, 이미 생명유지장치가 삽입·장착되어 있는 환자로부터 그 생명유지장치를 제거하고 그것에 의한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법적 치료의무의 중요한 판단요소로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신체활동상태에 따른 신체구성과 영양 및 골대사 지표에 관한 조사/ 우상구 전혜린

    발행년 2015 

    • 조회 수 53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 하에서 생물유전자원 이용의 최적계약 연구 / 박호정

    발행년 2017 

    • 조회 수 53

    20 죽음과 죽어감 End-of-Life Care in Taiwan from the Perspectives of Asian Bioethics / Michael Cheng tek Tai

    발행년 2017 

    • 조회 수 53

    5 과학 기술 사회 ’17년 산업부 로봇 R&D 정책 방향 / 김경훈

    발행년 2017 

    • 조회 수 53

    9 보건의료 해외 전문 인력을 활용한 한국 바이오 및 제약 산업의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 구축 방안 / 김형주

    발행년 2010 

    • 조회 수 53

    15 유전학 유전자원에 대한 접근 및 이익 공유체제와 다른 국제 규범의 관계 / 김홍균

    발행년 2017 

    • 조회 수 53

    9 보건의료 새로운 과학기술도입과 의료기기 해당성 판단 / 배현아

    발행년 2015 

    • 조회 수 53

    5 과학 기술 사회 페이스북의 각 기능 이용이 개인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이승엽

    발행년 2016 

    • 조회 수 53

    9 보건의료 2013년 주요 의료 판결 분석/이동필 외

    발행년 2014 

    • 조회 수 53

    1 윤리학 Open Borders and the Ethics of US Alien Vaccination Law

    발행년 2015 

    • 조회 수 53

    23 연구윤리 “황우석” 관련 논문의 언어 네트워크 분석 / 김만재 외

    발행년 2016 

    • 조회 수 52

    9 보건의료 의료기관에서의 감염예방과 관리 / 정진원

    발행년 2018 

    • 조회 수 52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의료기관의 개인정보 보호 인증제도 적용을 위한 정책과제 / 정영철 외

    발행년 2013 

    • 조회 수 52

    2 생명윤리 초등 로봇 윤리 가이드라인개발을 위한 파일럿조사 / 박주현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52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한 죽음과 일차의료 / 조동찬

    발행년 2017 

    • 조회 수 52

    12 낙태 낙태 윤리에서 인격체 논변의 기본 전략 분석 / 장동익

    발행년 2018 

    • 조회 수 52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과 연명의료결정법 현장에서 체감하는 문제점과 개선 필요성 / 김순용

    발행년 2018 

    • 조회 수 52

    8 환자 의사 관계 신진학자 연구논문 : 유방암 환자들의 치료과정에서 환자-의사 관계의 관계적 체험과 의미 탐색: 감정 체험과 인지적 관점을 바탕으로 / 이혜범

    발행년 2013 

    • 조회 수 52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환자 관계성에 관한 상호이해도 분석 / 박진영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52

    5 과학 기술 사회 『뉴로맨서』에 나타난 인공지능 윤리의식에 대한 연구 / 추재욱

    발행년 2018 

    • 조회 수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