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66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인문의학 (박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440253 

좋은 죽음에 대한 의사의 개념과 교육 = Good Death Concept and Death Education in Doctors in Korea


  • 저자 : 유상호
  • 형태사항 : vi, 114 ; 26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김옥주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박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인문의학 2014. 2
  • DDC : 610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4
  • 주제어 : 죽음, 좋은 죽음, 죽음 교육, 의사


초록 ( Abstract )

  • 서론: 죽음에 대한 연구에서 의료계가 차지하는 비중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 그리고 의료계가 관심을 가지는 죽음 문제는 연명치료중단, 무의미한 치료, 안락사, 의사조력자살 등과 같이 ...
  • 서론: 죽음에 대한 연구에서 의료계가 차지하는 비중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 그리고 의료계가 관심을 가지는 죽음 문제는 연명치료중단, 무의미한 치료, 안락사, 의사조력자살 등과 같이 의사가 수행해야 하는 절차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의료계에 의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죽음에 대한 해명 노력은 전체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의사가 죽음을 어떻게 경험하고 인식하고 있는지와 같은 기본적인 정보도 부족한 실정이며, 의료에서의 좋은 또는 바람직한 죽음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해명 또는 품위 있게 죽음을 맞이하기 위해 죽음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 것인가라는 규범적인 접근(normative approach)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이번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가 죽음을 어떻게 경험하고 인식하고 있는지, 그리고 좋은 죽음을 어떻게 인식하고 개념화하고 있는지를 경험적 방법을 통해 알아보았다. 둘째, 경험적 연구 방법을 통해 도출된 개념을 중심으로 형성한 이론을 바탕으로 규범적으로 바람직하고(desirable), 좋은(good) 죽음에의 접근을 시도하였다.

    방법: 이번 연구에서는 1) 죽음에 대한 경험과 인식에 대해서는 초보의사를,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개념에 대해서는 유경험 의사를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와 2)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및 3) 죽음 관련 사실, 문헌, 이론 등에 기초한 개념 분석을 그 방법론으로 선택하였다.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좋은 또는 바람직한 죽음에 대한 이론을 구성하였으며, 이 이론에 대해 좋은 죽음과 관련된 기존 사실, 문헌, 이론에 입각하여 분석, 고찰하였다.

    결과: 초보의사들에 대한 질적연구를 통해 현재 의사들이 죽음을 어떻게 경험하고 인식하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죽음에 대한 경험은 개인적인 경험과 전문가로서의 경험으로 구분되었으며, 죽음에 있어서 의사의 역할 및 죽음 교육의 필요성도 확인되었다. 죽음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두려움과 허망함 및 고통으로부터의 해방이라는 인식이 확인되었으며, 전문가로서의 경험으로는 죄책감, 권위의 실추에 대한 두려움, 책무로부터의 해방 및 가족과 보호자를 대함에 있어서 두려움과 미숙함이라는 인식이 확인되었다. 죽음에 있어서 의사의 역할은 생사를 규정하고 남은 가족과 보호자를 소극적으로 위로하는 것이라고 인식하였다. 마지막으로 죽음에 있어서 의사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부정적인 경험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죽음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유경험 의사에 대한 질적연구를 통해 현재 의사들이 좋은 죽음을 어떻게 인식하고 개념화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좋은 죽음은 개인을 중심으로 한 개념과 관계를 중심으로 한 개념 그리고 환경을 중심으로 한 개념으로 구성되었다. 개인을 중심으로 한 개념으로는 ‘죽음의 받아들임’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확인되었으며, 죽음을 받아들임으로써 ‘죽음을 준비’하고 ‘삶을 여한 없이 마무리’ 지을 수 있다고 개념화되었다. ‘신체적 편안함’과 ‘자신에 대한 조절능력의 유지’ 및 ‘존엄성 유지’도 중요한 요소로 확인되었다. 관계를 중심으로 한 개념으로는 ‘가족이나 사랑하는 사람에게 부담과 상처를 주지 않음’과 ‘가족이나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함’이 중요한 요소로 확인되었다. 환경을 중심으로 한 개념으로는 ‘환자를 인격체로 대우하면서 끝까지 돌보는 의료인과 의료시스템’과 ‘기계적 의료에 의존하지 않음’이 중요한 요소로 확인되었다. 이 개념적 요소들 중에서도 ‘죽음의 받아들임’과 ‘가족이나 사랑하는 사람에게 부담과 상처를 주지 않음’ 및 ‘환자를 인격체로 대우하면서 끝까지 돌보는 의료인과 의료시스템’이 규범적으로 바람직한 좋은 죽음에 대한 이론 구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확인되었다. 또한 초보의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죽음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매우 강조되었으며, 좋은 죽음의 개념들이 모두 실현되기 위해서는 죽음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결론: 이번 연구를 통해 의료에서의 바람직하고 좋은 죽음은 개인, 관계, 환경을 중심으로 한 세 가지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는 구조적 형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 개념들을 현실에서 실현하기 위해서는 죽음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목차 ( Index )

    제 1 장 서론

    제 1 절 연구의 배경

    제 2 절 연구의 필요성

    제 3 절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비교

    제 4 절 본 연구의 중요성

    제 5 절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용어

    제 6 절 연구 목적


    제 2 장 연구 방법

    제 1 절 연구 방법 및 내용


    제 3 장 연구 결과

    제 1 절 죽음에 대한 의사의 경험과 인식

    제 2 절 좋은 죽음에 대한 의사의 인식과 개념

    제 3 절 죽음과 좋은 죽음에 대한 의과대학생의 인식


    제 4 장 고찰

    제 1 절 죽음의 받아들임

    제 2 절 가족이나 사랑하는 사람에게 부담과 상처를 주지 않음

    제 3 절 환자를 인격체로 대우하면서 끝까지 돌보는 의료인과 의료시스템

    제 4 절 죽음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


    제 5 장 결론


    제 6 장 참고 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6 1 윤리학 테일러의 생명중심주의 사상의 환경윤리교육적 함의 / 이제용 2014  4640
    65 1 윤리학 칸트 법철학에서 형벌이론과 사형제도 정당화에 대한 연구 / 김세빈 2016  2314
    64 20 죽음과 죽어감 기독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안락사에 대한 문제 / 이영태 2003  1363
    63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 박현정 2016  1119
    62 2 생명윤리 현대 의학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연구 / 김정진 2006  1102
    61 2 생명윤리 영화를 이용한 생명의료윤리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효과 / 김선영 2014  1041
    60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Well-dying)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이 여가태도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최은주 2015  1009
    » 20 죽음과 죽어감 좋은 죽음에 대한 의사의 개념과 교육 / 유상호 2014  793
    58 7 의료사회학 의사보조인력(Physician Assistant)의 현황과 의료법적 문제점 / 김현주, 박경기, 허정식 2014  787
    57 2 생명윤리 중등 교육 과정에서의 생명 존중 교육에 관한 연구 : 도덕·윤리 교과를 중심으로 / 장정훈 2002  759
    56 20 죽음과 죽어감 Nursing Students' First Clinical Experiences of Death / 박형숙, 지영주, 김순희, 김윤지 2014  620
    55 20 죽음과 죽어감 통합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장애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 길태영 2016  606
    54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윤리교육에 있어서 안락사 문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한미정 2012  543
    5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결정에 대한 법 제정과 현실 / 김중곤 2014  531
    52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환자의 자기효능전략을 이용한 퇴원시 개별교육과 추후 전화상담의 효과 / 황영희 2013  517
    51 19 장기 조직 이식 간 이식 수혜자의 수술 후 경과 시기에 따른 교육 요구도 비교 연구 / 고다미 2012  464
    50 2 생명윤리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윤리적 이슈와대학의 생명윤리교육 방향 제고 / 이경화 외 2018  459
    49 2 생명윤리 생명중심 윤리사상에 기초한 환경윤리교육 : 고등학교 도덕 교과서를 중심으로 / 이미선 2008  426
    48 2 생명윤리 생명윤리교육의 현황과 방향 연구 / 윤순애 2001  421
    47 18 인체실험 IRB 전문인력양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육 수요자 요구 분석 / 김난희 2015  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