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공주대학교 대학원 : 보건행정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374050 

요양시설 노인과 보호자(대리인)간의 연명치료에 대한 의견일치도 비교 : 충남 공주시 지역 장기요양시설 중심으로


  • 기타서명 :

    Opinion agreement comparison between elderly and guardians(representatives) about prolongation treatment at care facilities: Focused on chungnam gongju area long-term care facilities

  • 저자 : 임선미
  • 형태사항 : 88장 ; 27 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홍성애
    참고문헌 : 70-75장
    서지적·설명적 각주 수록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공주대학교 대학원 : 보건행정학과 2014. 2
  • 발행국 : 충청남도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4


초록 ( Abstract )

  • 본 연구는 노인전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과 보호자를 대상으로 노인환자의 임종과정에서 제공될 연명치료에 대해 노인환자 본인과 보호자(대리인)간의 의견일치도를 확인하여 임종기 ...
  • 본 연구는 노인전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과 보호자를 대상으로 노인환자의 임종과정에서 제공될 연명치료에 대해 노인환자 본인과 보호자(대리인)간의 의견일치도를 확인하여 임종기 치료에 노인 본인의 의사가 제대로 반영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충남 공주지역에 위치한 장기요양기관인 노인전문요양시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노인환자와 가족용 설문지를 별도로 제작하여 진행하였다. 노인환자 설문지는 총 80부, 가족 설문지는 총 103부를 배부하여 모두 회수하였으며, 그 중에 노인환자와 가족 간 쌍을 비교한 설문지는 총 60부였다. 이렇게 수집한 설문지는 모두 유효하다고 판단되어 전체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된 결과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환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보면 연령은 80∼89세가 53.8%로 가장 많았으며, 70∼79세가 26.3%, 90세 이상이 13.8%, 70세 미만은 6.3% 순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은 여자가 72.5%, 남자는 27.5%로 여자 노인의 비율이 높았다. 노인
    환자의 신체기능적 특성에서 진단받은 질병으로는 고혈압이 26.4%로 가장 많이 응답을 하였고, 장기요양보험 등급을 받으신 분이 전체의 55.6%를 차지하고 있었다. 연명치료에 대한 의견은 반대하는 경우가 75%, 찬성하는 경우가 25%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라 연명치료에 대한 선호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본인에게 시행될 일반연명치료에 대해서는 4점 Likert 척도에서 2.19점, 특수연명치료는 2.04점으로 모두 평균 이하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호자(대리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보면 50대 이상이 62.7%였고, 여자가 56.3%, 남자가 43.7% 차지하였다. 요양시설 입소비용 지불여부는 자녀(본인)인 경우가 28.2%. 환자본인인 경우도 25.2%였으며, 노인과의 관계는 자녀의 경우가 62.1%로 가장 많았다. 보호자가 생각하는 연명치료를 위한 수술이나 처치에 대한 의견은 반대하는 경우가 76.7%, 찬성하는 경우가 23.3%로 노인보다 반대하는 비율이 약간 높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검증에서 학력(F=5.102, p<0.01)에 따라 특수연명치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력을 제외한 나머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호자의 경우에는 노인에게 시행될 연명치료 중 일반연명치료는 2.42점, 특수연명치료는 2.14점으로 나타나 노인 본인의 의견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명치료 의사에 대한 노인과 보호자 간 의견일치도를 살펴보면 기본검사, 회복성이 낮은 중증감염의 항생제투여, 수혈, 경구영양공급, 정맥수분공급, 정맥영양공급, 경구 및 항문투여를 통한 통증조절, 정맥투여를 통한 통증조절, 인공호흡기 사용, 혈압상승제 사용, 심폐소생술, 기관절개술의 모든 항목에서 노인환자와 그 가족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일치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현재 우리나라의 연명치료 시행과 중단에 대한 보호자(대리인)의 결정은 환자 본인의 의사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연명치료의 시행과 중단결정에 본인의 의사를 반영할 수 있는 방안이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 Index )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5

    3. 용어의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8

    1. 연명치료 8

    2. 연명치료 중단 13

    3. 사전의료의향서 26

    4. 의견일치도 28


    Ⅲ. 연구의 방법 29

    1. 연구설계 29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29

    3. 측정도구 30

    4. 측정도구의 구성 및 신뢰도 31

    5. 분석방법 32


    Ⅳ. 연구결과 33

    1. 노인환자의 연명치료 인식 33

    2. 보호자(대리인)의 연명치료 인식 46

    3. 연명치료 의사에 대한 노인과 보호자 간 의견일치도 58


    Ⅴ. 논의 65


    Ⅵ. 결론 및 제언 67


    참고문헌 70

    ABSTRACT 76

    부 록 7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968 18 인체실험 줄기세포 기반 유전자치료 기술분야 특허분석을 통한 현황분석 및 시사점 도출 / 2013  435
    967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환자 영적 고통 측정 간이 도구’의 구성 타당도 중심의 검증 / 윤석준 2016  435
    966 15 유전학 전장 유전체 연관 분석을 위한 통계적 방법에 관한 연구 / 윤병국 2016  435
    965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AI : Artificial Intelligence)시대, 보건의료 미래 전망 / 김형수 외 2017  436
    964 18 인체실험 생명의 시작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의 윤리적 쟁점과 기독교 세계관 / 최현일 2018  436
    963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의 사회적 거버넌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강치영 2012  437
    962 2 생명윤리 초등학생의 과학 연구 윤리 가치관 변화를 위한 과학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및 적용 / 이하얀 2008  437
    961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자 간이식과 생체 간이식의 장단점 / 조재원 2005  437
    960 15 유전학 산전 유전자 검사 / 한유정 외 2011  437
    959 4 보건의료 철학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간호 경험 / 박지예 2018  437
    958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에 관한 최근의 논의와 형법적 문제점 / 이용식 2007  437
    957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의 응용과 인간 배아의 14일 연구 규정 / 김한나 2018  437
    956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의 연명치료에 대한 태도 : Q 방법론적 접근 / 강다영 2014  438
    955 14 재생산 기술 복제인간에 대한 서론적 고찰 : 민법적 관점에서 / 김수흥 2008  439
    95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완화의료 도우미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 최금희 외 2018  439
    95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관련 국내 간호연구 논문 동향(1998~2017) / 김원순 2019  439
    952 1 윤리학 한스 요나스 : 자연생명의 존엄성에 대한 인간의 책임 / 박상웅 2006  440
    951 14 재생산 기술 한국 생명의료기술의 전환에 관한 연구 : 재생산기술로부터 생명공학기술로 / 하정옥 2006  441
    950 14 재생산 기술 재생산권 개념의 역사화ㆍ정치화를 위한 시론 / 하정옥 2013  441
    949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간이식 수혜자의 스트레스와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 연구 /윤혜진,김금순 2013  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