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2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810374 

말기암환자의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시기에 대한 분석 : 후향적 코호트 연구


  • 기타서명 : Late discussion about end-of-life care in terminal cancer patients :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 저자 : 안아름
  • 형태사항 : iv, 39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

    참고문헌 수록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2012. 2
  • DDC : 614 22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2
  • 주제어 : 사전의료의향서, 말기암, 연명치료


초록 ( Abstract )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사전의료의향서를 이용하여 첫째, 말기 암 환자의 사전의료의향서의 작성 시점에 대한 현황을 조사하고, 둘째,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이 임종에 임박하여 이루어진 말기 ...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사전의료의향서를 이용하여 첫째, 말기 암 환자의 사전의료의향서의 작성 시점에 대한 현황을 조사하고, 둘째,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이 임종에 임박하여 이루어진 말기 암 환자의 인구사회학적 및 임상적 관련 요인을 밝히며, 셋째,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여부와 작성 시점에 따른 연명치료 이용 현황과 입원 진료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서울대병원에 말기 암의 증상조절을 목적으로 입원하여 2010년 8월 1일부터 2011년 7월 31일까지 사망한 환자 209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과 마지막 입원시의 진료비를 분석하였다.
    결과: 209명 중 임종 돌봄을 목적으로 입원한 환자는 33명, 그 외 말기 암의 증상 조절을 위해 입원한 환자는 176명이었다. 전자에서는 한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입원 전에 사전의료의향서가 작성되어 있었다. 후자에서는 153명 (86.9%)에서 사전의료의향서가 있었는데, 이 중 39명 (25.4%)이 임종 당일에 사전의료의향서를 작성하였다. 60세 미만으로 비교적 저연령인 환자에서 임종 당일에 사전의료의향서를 작성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adjusted odds ratio 2.64, 95% confidence interval 1.10 to 6.32, p-value 0.029). 사전의료의향서 비작성군은 작성군에 비하여 중환자실에서 사망하는 경우가 더 많았고(65.2% vs. 15.0%, p-value <0.001), 보다 적극적인 연명치료를 받았으며 (인공호흡기 65.2% vs. 14.4%, p-value <0.001; 지속적신대체요법 34.8% vs. 3.3%, p-value <0.001; 심폐소생술 56.5% vs. 1.3%, p-value <0.001), 임종 전 일주일 동안의 의료비 (p-value 0.002)가 더 많이 발생하였다. 또한 사전의료의향서 작성군 내에서도, 사전의료의향서를 임종 당일에 작성한 환자군은 임종일 전에 작성한 군에 비하여 중환자실 사망 분율 (28.2% vs. 10.5%, p-value 0.027)과 의료비 (p-value 0.014)가 더 많았다. 또한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에 따라 임종 전 일주일 간 하루 평균 입원진료비에 차이가 있었는데, 사전의료의향서를 임종 일주일 전보다 앞서서 작성한 군에 비하여 일주일 내에 작성한 군과 비작성 군은 각각 139,480원과 301,580원 더 많은 비용을 지출하였다.
    결론: 사전의료의향서가 임종에 임박하여 작성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관찰되었다. 말기 암 환자의 연명치료계획에 대하여 보다 조기에 논의하는 것이 필요하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868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여성 경제활동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이선숙 2005  499
    3867 15 유전학 연구논문 : 치료과정에서 적출한 인체 구성부분의 이차적 이용에 따른 법률문제 / 이정현, 이재목 2006  499
    3866 14 재생산 기술 유전자편집 기술의 발전에 대응한 인간배아 유전자치료의 규제방향 / 박대웅, 류화신 2016  498
    3865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연구의 생명윤리담론 분석 : 한국 기독교와 불교를 중심으로 / 박상언 2012  498
    »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암환자의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시기에 대한 분석 : 후향적 코호트 연구 / 안아름 2012  498
    3863 15 유전학 유전자 검사와 치료에 따른 윤리적 문제 고찰/우재명 2002  497
    3862 8 환자 의사 관계 소아청소년과 의료소송 판결문 분석을 통한 의료사고 원인파악과 재발방지 대책 / 이동엽 2014  497
    3861 15 유전학 인체 유래 물질과 관련된 계약 / 김장한 2007  497
    3860 15 유전학 ‘유전정보를 모를 권리’의 윤리적·법적 근거와 실현 방법 / 유호종 2014  496
    3859 14 재생산 기술 비교법적 고찰을 통한 생명윤리법상 유전자진단 규정의 개선방안 연구 / 신옥주 2013  495
    3858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기기 재활로봇 (로봇보조정형용운동장치) 국내 허가ㆍ심사 가이드라인 개발/배영우 외 2018  494
    3857 22 동물복지 동물실험은 윤리적으로 옹호 가능한가?/최훈 2016  494
    3856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일개 대학 간호학생의 성별, 윤리적 가치관 및 생명의료윤리 특성이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 정계선 2013  494
    3855 1 윤리학 포스트휴먼은 인간의 존엄성을 위협하는가? / 이재숭 2018  493
    3854 9 보건의료 의료협동조합의 의료기관 개설·운영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의료기관 개설기준 위반을 중심으로 -/김준래, 백남복, 이윤학 2015  492
    3853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와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우리나라의 최근 동향 / 최지윤, 권복규 2009  492
    3852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에 근거한 유전자치료 연구의 윤리/전방욱 2016  491
    3851 15 유전학 착상 전 유전자 진단에 관한 연구/서계원 2012  491
    3850 22 동물복지 동물윤리와 과학적 창의성 사이의 정합적 관계 : 동물행동학을 중심으로 / 하대청 2009  491
    3849 16 환경 환경윤리에서 실천 문제에 대한 덕 윤리적 접근 / 김완구 2017  4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