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3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서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142999 

노인의 생전유언과 대리인 지정 및 관련요인 조사연구 = Perceptions, preferences and related factors of Korean elders toward Living Will and Durable Power of Attorney



초록 ( Abstract )

  • 현재 우리나라는 사전의료의향서 제도가 법제화되어 있지 않고 기관 별로 사용하는 사전의료의향서는 생전유언과 대리인 지정의 분리 구분없이 통합형태로만 존재한다. 따라서 사전의료의...
  • 현재 우리나라는 사전의료의향서 제도가 법제화되어 있지 않고 기관 별로 사용하는 사전의료의향서는 생전유언과 대리인 지정의 분리 구분없이 통합형태로만 존재한다. 따라서 사전의료의향서의 핵심요소인 생전 유언서와 대리인 지정서를 구분하여 접근하는 연구가 없었기에 실제 노인들이 이들 문서를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으며 어떤 문서를 선호하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복지관 이용 노인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인식과 선호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하는 요인을 조사하여 노인의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시 의사결정을 도모하고 이를 제도화하는데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12년 8월 13일부터 9월 8일까지였다. 자료수집 전에 해당 노인 복지관으로부터 연구의 허락을 받은 후,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연구대상자 보호 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 대상자는 총 180명이었으며, 대상노인과 구조화된 설문지로 일대일 개별면담을 통해 설문을 완료하였다.
    자료수집도구는 사전의료의향서, 생전유언 및 대리인 지정에 대한 인식과 선호, 대상노인의 일반적 특성 및 건강상태, 가족기능과 종교참여도에 관한 문항을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목적에 따라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χ²및 t-tes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복지관 이용 노인은 여성이 75.6%였으며 평균연령은 73.56(±6.33)세였고 교육 정도는 초졸 이하가 43.9%였다. 생전유언 및 대리인 지정에 대한 인식을 보면 연구 대상자의 76.7%가 생전유언을, 83.3%가 대리인 지정을 전혀 들어본 적이 없다고 하였고 오직 7.2%가 생전유언을, 5.6%가 대리인 지정을 정확히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생전유언 및 대리인 지정에 대한 선호에서는 연구 대상자의 31.7%가 두 문서 모두 작성하기를 원했고 17.8%는 생전 유언서만, 21.7%는 대리인 지정서만 작성하기를 원했다. 그리고 대리인 지정을 원하는 대상자 중 62.5%는 자녀를, 18.8%는 배우자를 대리인으로 지정하고 싶다고 하여 주로 가족을 대리인으로 지정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대상자의 생전유언 선호에 영향하는 요인을 보면 남성 노인에서, 대졸자에서, 본인이 최종의사결정자일 때, 한달 소득이 50만원 이상일 때 생전 유언서 작성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전유언 선호 예측요인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2.152배, 교육수준에서 중졸 이하보다 고졸 군은 3.515배, 대졸 군은 4.867배, 가족 내 최종의사결정자가 본인일 때 타인보다 1.966배 생전유언 선호도가 높았으며 한달 소득은 50만원 이상이 50만원 이하보다 3.464배 선호도가 높았다.

    넷째, 대리인 지정 선호에 대한 영향요인에서는 종교가 없고, 자녀와 한 달에 1회 이상 접촉할 때, 한달 소득이 50만원 이상일 때, 소소한 병원비 및 큰 병원비를 부담할 때 가족의 도움을 받는 경우에, 한 달에 의료기관 방문 횟수가 적은 경우, 가족기능이 좋은 경우 대리인 지정서 작성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리인 지정 선호 예측요인에서는 종교가 없는 군이 있는 군보다 2.229배, 자녀와 접촉 정도는 1달에 1회 이상이 1회 미만보다 2.398배, 한달 소득은 50만원 이상에서 50만원 이하보다 1.966배 대리인 지정 선호도가 높았다. 소소한 병원비 부담 방법에서는 정부보조를 받는 군보다 본인이 부담하는 군은 3.747배, 가족의 도움을 받는 군은 3.929배, 큰 병원비 부담의 경우 정부보조를 받는 군보다 본인 부담에서 3.643배, 가족의 도움을 받는 군에서 3.901배 선호도가 높았다. 한 달간 의료기관 방문횟수는 2회 이상보다 2회 미만에서 2.111배 선호도가 높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 우리나라 노인들은 두 문서에 대한 인식률이 낮았지만 용어의 의미를 이해한 후 절반 가량이 각각의 문서에 대해 작성 의사를 보여 교육을 통해 사전의료의향서 제도를 활성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두 문서에 대한 선호도 및 관련요인에 있어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간호사가 대상자와 사전의료의향에 대해 논의하게 될 때 대상자의 바램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대상자가 원하는 문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으며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시 필요한 간호 중재 개발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가족기능은 오직 대리인 지정과 관련이 있었으며 생전유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종교참여도는 대리인 지정 뿐만 아니라 생전유언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선행연구와 상반되는 결과로 반복연구를 통해 다시 확인할 필요가 있다.




    목차 ( Index )

    Ⅰ.서론 1

    1.연구의 필요성 1

    2.연구의 목적 4

    3.용어의 정의 5

    Ⅱ.문헌고찰 7

    1.사전의료의향서 7

    2.사전의료의향서 관련요인 12

    Ⅲ.연구방법 18

    1.연구 설계 18

    2.연구 대상 18

    3.연구 도구 19

    4.자료 수집 방법 21

    5.자료 분석 방법 22

    Ⅳ.연구결과 23

    1.대상자의 특성 23

    2.사전의료의향, 생전유언 및 대리인 지정에 관한 인식 28

    3.사전의료의향, 생전유언 및 대리인 지정에 대한 선호 29

    4.생전유언에 대한 선호와 관련요인 31

    5.대리인 지정에 대한 선호와 관련요인 38

    Ⅴ.논의 45

    Ⅵ. 결론 및 제언 56

    1.결론 56

    2.제언 59

    참고문헌 60

    부록 69

    ABSTRACT 8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588 17 신경과학 정신건강의학과 임상 및 연구에서 이해 상충 관련 문제 / 신은희 외 2015  107
    3587 18 인체실험 인간 대상 연구의 동의 관련 윤리 원칙/최경석 2018  107
    3586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소통(疏通)의 문제 : 황우석 스캔들에서 얻은 교훈/맹광호 2007  107
    3585 1 윤리학 규제샌드박스 성공적 안착을 위한 제언 / 배영임, 신혜리 2019  107
    3584 8 환자 의사 관계 보건의료전공 대학생들의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와 수행자신감 / 위성욱 2019  107
    3583 9 보건의료 의사의 의료행위와 한의사의 한방의료행위의 범위와 한계 / 정규원 2018  107
    3582 20 죽음과 죽어감 연구동향 : 한국 자살현상의 특징과 인류학적 연구의 가능성 / 이현정 2010  108
    3581 20 죽음과 죽어감 의존상태 노인의 의료에서의 존엄 / 김도경 2014  108
    3580 19 장기 조직 이식 생명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한 인체의 이용과 법적 규율 -인체의 소유권을 중심으로 / 양재모 2010  108
    3579 9 보건의료 의료광고 규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장해순 2007  108
    3578 15 유전학 산전검사 대상 질환에 대한 법적 규제의 문제점에 대한 고찰 / 최지영 2007  108
    3577 5 과학 기술 사회 IT기술의 발전과 개인정보보호 / 조대진 2017  108
    3576 20 죽음과 죽어감 의사조력자살에 대한 고찰 / 이기헌 2014  108
    3575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의료정보 재식별에 관한 국제 표준화 동향 - ISO DIS 25237을 중심으로 / 김철중 외 2017  108
    3574 20 죽음과 죽어감 지방정부의 자살예방정책이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 박영미, 김병규 2017  108
    3573 9 보건의료 치매 진단 검사법의 비용-효과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장수현 외 2018  108
    3572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을 위한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 정의정 2012  108
    3571 2 생명윤리 인격주의 생명윤리 측면에서의 『칠극』이해 - ‘해탐’(解貪)을 중심으로 - / 손보미 2018  108
    3570 9 보건의료 노인돌봄서비스 제공기관의 돌봄제공자 정서지원서비스 현황 및 영향요인 / 김유미 외 2018  108
    3569 10 성/젠더 한 중 미혼여성의 결혼 및 출산 가치관 비교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9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