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9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입법정책 Vol.7 No.2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11201 

합리적인 낙태규제 방안  :  낙태는 자유인가 살인인가? = Rationale Regulierungsmaßnahmen des Schwangerschaftsabbruchs



초록 ( Abstract )

  • 낙태의 허용은 인류의 영원한 주제이다. 낙태 논쟁에는 종교적·윤 리적 견해, 사회적 요청, 여성의 자기결정권과 배아 내지 태아의 생명 권이 혼재해 있다. 이 때문에 서로 다른 윤리적 판단...
  • 낙태의 허용은 인류의 영원한 주제이다. 낙태 논쟁에는 종교적·윤 리적 견해, 사회적 요청, 여성의 자기결정권과 배아 내지 태아의 생명 권이 혼재해 있다. 이 때문에 서로 다른 윤리적 판단과 법률규정이 도출된다. 즉 임부의 결정권을 폭넓게 보호하는 곳에서부터 엄격한 형벌로 금지하는 곳까지 다양하다. 우리나라에서 낙태는 원칙적으로 고의로 행하여지는 한 형벌로 금지되어 있다. 형벌은 자기낙태죄인지 (형법 제269조 제1항), 의사 등에 의한 업무상낙태죄(형법 제270조 제1항)인지, 동의낙태죄인지(형법 제269조 제2항), 비동의낙태죄(형 법 제270조 제2항)인지에 따라 서로 다르게 부과된다. 우리나라에서 낙태규정(형법 제269조, 제270조)에 대한 개정 논의 는 1990년대부터 시작되어 격렬한 논쟁이 이루어졌다. 여성계를 중심 으로 한 일부에서는 획일적인 형벌위협은 이미 아무런 효과가 없음이 입증되었고 단지 수많은 여성들로 하여금 불법적인 낙태시술을 선택 하게 하고 그 결과 여성의 건강에 대한 현저한 위험을 감수하게 할 뿐이어서 낙태 관련 법률이 개정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낙태규정의 내용과 문제점, 그리고 낙태의 합리적인 규제방안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졌다. 결론적으로 태아생명의 보호와 관련하여 여성의 자기결정권을 보다 충실히 보호하기 위해 모자보건법상 낙태의 정당화사유로서 “사 회적·경제적 사유”가 도입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나아가 임부에게 낙태를 직접적으로 시술하지 않는 의사로부터 문서로 된 확인서, 의 학적 상담 및 사회적 원조의 제공, 그리고 이를 통해 의사에게 접근이 열려져 있게 함으로써 지금보다 더 태아의 생명이 보호되어야 할 것 이다.



    목차 ( Index )

    Ⅰ. 들어가는 말

    Ⅱ. 태아의 생명권과 임부의 프라이버시권 간의 충돌 : 낙태는 살인인가 아니면 자유인가?

    Ⅲ. 우리나라 낙태규제의 내용과 문제점

    Ⅳ. 합리적인 낙태규제 방안: 낙태, 어디까지 허용할 것인가?

    Ⅴ.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국문요약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9 12 낙태 불교와 낙태 / 이미령 2018  107
    48 12 낙태 낙태죄의 비범죄화 논란에 대한 소고 / 이재학 2017  115
    47 12 낙태 낙태에 대한 형사처벌의 시대착오 / 하정옥 2018  116
    46 12 낙태 낙태행위의 법적 체계와 그 이해 / 신동일 2018  137
    45 12 낙태 낙태에서 장애여성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역량 강화/김문정, 심지원 2018  141
    44 12 낙태 피임과 낙태 정책에서의 재생산건강권 보장 방안 / 김동식 2014  145
    43 12 낙태 낙태죄 폐지 반대 운동만이 최선일까? / 정겨운 2018  146
    42 12 낙태 임신중절에 관한 드워킨의 가치 논변 연구 / 김상득 2018  166
    41 12 낙태 낙태절차에 관한 미국 연방대법원 결정이 우리나라 낙태규제에 주는 시사점 / 오영인 2017  195
    40 12 낙태 한국 사회에서의 낙태담론에 대한 여성철학적 성찰 / 김세서리아 2019  205
    39 12 낙태 서유럽 국가들에서의 낙태법 리뷰 / 박건 2018  214
    38 12 낙태 낙태죄 폐지논란으로 바라본 여성 주체성 회복의 필요성과 개선방안 / 문한나 2017  214
    37 12 낙태 낙태의 윤리에서 인격체 논변, 종의 원리, 그리고 생명의 권리 / 장동익 2018  215
    36 12 낙태 새로운 정책유형으로서 도덕정책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한국에서의 적용가능성 탐구: 낙태정책을 중심으로 / 노종호 2014  219
    35 2 생명윤리 생명윤리문화에 있어서 낙태에 대한 소고 / 정화성 2018  232
    34 12 낙태 낙태 예방 공익 캠페인 메시지 연구 / 조수영 2015  238
    33 1 윤리학 형법에 있어서 생명의 보호 / 이재석 2013  265
    32 12 낙태 낙태 논의에 있어서 태아의 존재론적 위상과 도덕적 위상 / 유호종 2003  266
    31 12 낙태 낙태(落胎)(죄(罪))와 불교(佛敎)의 생명관(生命觀)/이규호 2018  268
    30 12 낙태 통계로 본 가족실태 및 태도와 그 사목적 의의 / 조세희 2015  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