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토지공법연구 Vol.63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878863 

비교법적 고찰을 통한 생명윤리법상 유전자진단 규정의 개선방안 연구  :  독일 유전자진단법과 비교를 통하여 살펴본 유전자진단법 제정 필요성 = Eine Studie über die Notwendigkeit des neuen Gendiagnostikgesetzes - Ein Vergleich mit deutschem Gendiagnostikgesetz




초록 ( Abstract )

  •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이 개정되어 2013년 2월 2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개정법률을 통해 생명윤리정책의 영역을 확대하여 인간 및 인체유래물로까지 확대되었고, 연구대상자 동의 권...
  •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이 개정되어 2013년 2월 2일부터 시행되고 있다. 개정법률을 통해 생명윤리정책의 영역을 확대하여 인간 및 인체유래물로까지 확대되었고, 연구대상자 동의 권리와 건강의 보호가 개선되었다. 또한 국가 및 기관 생명윤리위원회 등 생명윤리 인프라 확대를 위한 법적 근거를 강화하였으며, 인체유래물은행 및 유전자검사기관에 관한 규정을 정비하는 등 구법상 나타난 미비점이 개선·보완된 측면도 있다. 그러나 유전적 진단으로 범위를 제한하여 생명윤리법을 비교법적으로 살펴본 결과 현행 생명윤리법은 구법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사항들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고 본다. 특히 유전정보에 의한 차별 금지규정, 유전자치료, 유전자치료기관, 유전자검사기관, 배아와 태아의 유전자검사의 제한 등 유전자 관련규정, 유전자검사의 동의규정 등에서 문제점이 나타난다. 또한 생명윤리법이 유전적 정보의 보호 등과 같은 기본권보호를 담보하기 위하여 위해 필요한 중요한 규정들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점도 나타났다. 특히 설명의무, 동의능력 없는 사람의 동의, 친자확인을 위한 유전자 검사, 근로영역에서의 노동보호를 위한 유전자 검사, 유전자진단위원회 규정이 도입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러한 문제점은 생명윤리법의 개정을 통해서도 해결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생명윤리법을 각 영역별 분법을 하는 방법을 취하여도 가능하다. 필자는 유전자 관련부분을 유전자진단법으로 분법을 하는 것이 기본권의 확보가 더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유전자진단은 유전자진단의 예외적인 허용상황에서 유전정보를 최대한 보호하여 정보자기결정권과 인간존엄을 보호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므로 생명윤리법이 가지는 입법목적과 그 목적을 달리하기 때문이다. 즉, 유전정보는 자신뿐만 아니라 자신의 가족까지도 관련이 있는 매우 중요한 생체정보이므로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보호가 필요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서는 생명윤리법에서부터 유전자진단에 관련된 부분을 분리하고 미비한 점을 보충하여 유전자진단법을 제정하는 것이 유전적인 특성에 근거한 차별을 저해하고, 특히 인간존엄에 대한 존중 및 보호에 대한 국가적 의무와 정보의 자기결정권을 지키기에 더욱 부합하는 방식이라고 생각한다.



    목차 ( Index )

    국문초록

    Zusammenfassung

    Ⅰ. 서론

    Ⅱ. 독일 유전자진단법의 주요내용 고찰

    Ⅲ. DNA-감정서와 개인정보자기결정권에 대한 연방헌법재판소의 결정

    Ⅳ. 현행 생명윤리법상 유전자진단관련 규정의 헌법적 문제점 및 개선방향

    Ⅴ. 결론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 생명윤리 인간생명의 보호가 법정책의 기반이어야 / 정재우

    발행년 2018 

    • 조회 수 50

    9 보건의료 특집 : 의료 제 문제의 공법적 해석 = A Public Law Review of Medical Issues / 이한주

    발행년 2015 

    • 조회 수 50

    9 보건의료 의료행위의 규범적 통제 방식에 대한 소고(小考) - 독일의 의료보험체계에 비추어 본 임의비급여 통제의 정당성 / 김나경

    발행년 2009 

    • 조회 수 50

    19 장기 조직 이식 웹기반 조혈모세포이식 정보제공 프로그램 개발/정문주,김동희

    발행년 2013 

    • 조회 수 50

    9 보건의료 의약품 특허의 강제실시청구에 관한 심사기준 고찰 -인간기능이론을 중심으로 / 민창식

    발행년 2012 

    • 조회 수 50

    19 장기 조직 이식 Preliminary Marked Increase in the National Organ Donation Rate in Israel Following Implementation of a New Organ Transplantation Law / Lavee, J.

    발행년 2013 

    • 조회 수 50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의 연구자 인식조사 / 김태연

    발행년 2016 

    • 조회 수 50

    9 보건의료 병원 내 의료인 안전 향상을 위한 개념적 틀과 정책적 대응 / 강희정

    발행년 2019 

    • 조회 수 49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 개선 방안 / 김세민

    발행년 2017 

    • 조회 수 49

    14 재생산 기술 착상전진단술에 대한 생명형법적 고찰 / 신동일

    발행년 2006 

    • 조회 수 49

    9 보건의료 노인의료 발전을 위한 간병비 급여화 방안 / 이윤환

    발행년 2017 

    • 조회 수 49

    1 윤리학 통합 개인정보보호법안의 입법체계 검토 / 황태정

    발행년 2009 

    • 조회 수 49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기증 의사표시에 대한 민사적 제문제 / 윤부찬

    발행년 2009 

    • 조회 수 49

    2 생명윤리 생명윤리에 관한 법규범력 확보와 그 한계 / 황만성

    발행년 2011 

    • 조회 수 49

    19 장기 조직 이식 Living kidney donation: outcomes, ethics, and uncertainty

    발행년 2015 

    • 조회 수 49

    4 보건의료 철학 Direct vs. Indirect Moral Enhancement

    발행년 2015 

    • 조회 수 49

    5 과학 기술 사회 개인정보 침해 관련 정보 제공 서비스 사용 의도 분석 / 김택영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48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규제와 자녀의 복리 원칙 - I. Glenn Cohen의 논의를 중심으로 - / 권재문

    발행년 2017 

    • 조회 수 48

    1 윤리학 의료광고 사전심의제도에 대한 윤리적 고찰 / 김준혁

    발행년 2018 

    • 조회 수 48

    2 생명윤리 주류 언론의 황우석 사태 보도에서 주변화된 여성주의 생명윤리 / 김명혜

    발행년 2006 

    • 조회 수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