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60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격주의 생명윤리 Vol.3 No.1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89057 

시험관아기시술에 관한 생명윤리적 쟁점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Bioethical Issues in In Vitro Fertilization



초록 ( Abstract )

  • 오늘날 시험관아기시술은 보조생식술에서 가장 보편적인 불임치료의 한 방법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시험관아기시술이 인간 생명의 인위적인 조작을 하며 출산에 개입함으로써 초래하는 ...
  • 오늘날 시험관아기시술은 보조생식술에서 가장 보편적인 불임치료의 한 방법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시험관아기시술이 인간 생명의 인위적인 조작을 하며 출산에 개입함으로써 초래하는 생명윤리적 쟁점들에 대하여 검토해보고자 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불임률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으며 더불어 불임환자의 수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로 인하여 보조생식술에 의한 임신과 출산이 늘어나면서 시험관아기시술은 불임치료를 위한 의학적 조치로 자리매김 되고 있으며, 이제는 불임이 아닌 경우에도 이를 이용하려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시험관아기시술은 부부의 성과출산을 분리시키며 그에 따라 태어날 아이는 기술행위의 산물이 되고 있다. 또한 인간 생명을 더 이상 하느님의 고귀한 선물로 여기지 않게 되고, 생명 자체를 통제와 조작이 가능한 단순한 사물로 전락시켜 인간의 존엄성을 훼손하고 있다. 결국 자녀출산이 아무리 높은 가치를 갖는다 하더라도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이 정당하지 못하면 목적의 가치도 정당화되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인간은 자기 자신에 대하여 묻고 자신을 밝히는 존재라고 한다. 오늘날 부각되고 있는 생명윤리라는 용어는 더 이상 낯설거나 어려운 용어가 아니다. 우리는 삶에서 만나게 되는 생명윤리의 문제들에서 무엇이 옳고 그른지를, 왜 해야 하며 왜 하지 말아야 하는지를 판단하여 자신의 삶으로 가져와야 한다. 곧 생명윤리는 우리가 스스로의 존엄성을 지키고자 하는 노력으로, 그 바탕에는 인간과 삶에 대한 진정한 가치와 의미에 관한 성찰이 있음을 알아야 한다.



    목차 ( Index )

    Ⅰ. 서론

    Ⅱ. 시험관아기시술의 의학적 내용

    Ⅲ. 시험관아기시술에 따르는 생명윤리적 쟁점들

    Ⅳ. 결론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60 2 생명윤리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의 개선방안 / 이인영 2006  107
    159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소통(疏通)의 문제 : 황우석 스캔들에서 얻은 교훈/맹광호 2007  107
    158 2 생명윤리 생명윤리에서의 '자율성'에 대한 이해 / 김광태 2015  113
    157 2 생명윤리 중등 도덕과 생명의료윤리교육에 대한 비판적 검토/김상돈 2006  114
    156 15 유전학 인체 시료 및 유전자은행의 윤리ㆍ사회적 고찰 / 최은경 2008  117
    155 18 인체실험 인체유래물의 이용과 형사법적 규제 / 최민영 2018  117
    154 20 죽음과 죽어감 [특별기고] 생명말기에 관한 논쟁과 인격주의 생명윤리/곤잘로 미란다 2016  118
    15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적 결정'에 대한 윤리적 정당성의 근거 / 정재우 2015  121
    152 2 생명윤리 [시론] 생명의 가치와 삶의 질/정재우 2016  131
    151 18 인체실험 황우석 사태 이후 서울대 IRB / 서이종 2015  135
    150 1 윤리학 건강인 대상 Direct to Consumer Genetic Test의 사회적·윤리적 쟁점 (2015 수정논문) / 김수정 2013  144
    149 1 윤리학 일본 생명윤리법제의 현황 : 가톨릭적 관점에서 / 정종휴 2015  152
    148 20 죽음과 죽어감 [논고] 이른바 '죽을 권리'는 '죽일 권리'인가/윤성혜 2016  152
    147 2 생명윤리 2014년 미국 생명윤리와 인문학 학회 컨퍼런스 참관기 / 김수정 2015  153
    146 1 윤리학 원불교적 관점에서 본 생명윤리쟁점 고찰 / 김은숙 2014  157
    145 2 생명윤리 미국 생명의료윤리학의 최근 동향 / 엄영란 2001  171
    144 2 생명윤리 생명윤리법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김현철 2016  176
    143 20 죽음과 죽어감 삶의 마지막 단계 / 박충구 2015  182
    142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김근면 2017  182
    141 5 과학 기술 사회 미토콘드리아 대체 기술 적용의 윤리적·법적 문제 / 배현아 2017  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