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4
발행년 : 200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선진상사법률연구 No.37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60157866 

21세기 과학기술법의 과제 = Challenges of the Law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21st Century



초록 ( Abstract )

  • 21세기 지식정보사회는 이미 인간사회와 생활의 중추적 요소로 자리 잡은 과학기술의 사회적 함의를 정확하게 이해함으로써 법제도와 과학기술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끊임없는 성찰이 필요...
  • 21세기 지식정보사회는 이미 인간사회와 생활의 중추적 요소로 자리 잡은 과학기술의 사회적 함의를 정확하게 이해함으로써 법제도와 과학기술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끊임없는 성찰이 필요한 시대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발전하는 과학기술을 위축시키지 않으면서 어떻게 부작용 없이 법제도로 수용할 것인가를 검토하여 과학기술을 십이분 이용하는 법제의 연구가 필요하다하겠다.
    본고에서는 먼저 과학기술과 사회 및 법 간의 관계와 과학기술법의 개념과 범위에 대하여 고찰한 후, 과학기술법이 해결하여야 할 과제로서 다음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인간복제, 휴먼로봇, 사이버인간과 같이 인간의 존엄성에 도전하는 과학기술에 대응하여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지키는 법제도로서 생명윤리에 관한 법제도, 휴먼로봇의 통제를 위한 법제도, 사이버인격에 관한 법제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둘째,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개인정보와 프라이버시(privacy)가 침해되기 쉬운 상황이 도래하였는바 이에 대응하여 프라이버시권보호법제와 사적정보보호법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정보통신기술과 생명공학기술 등 여러 첨단기술들이 결합되면서 사적정보가 공유되어 발생하는 사적정보의 침해문제에 대한 법적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것도 앞으로의 큰 과제임을 언급하였다.
    셋째, 원자력에너지와 화학물질의 개발과 유전공학의 발달 등으로 인간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위협의 증가에 대응하여 인간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는 법제도로서 위험기술이용을 통제하고 위험의 제거와 감소를 위한 법제도, 환경보호기술법제가 필요함을 들었다.
    넷째, 과학기술사회에 진입하면서 전통적인 지적재산권제도가 커다란 위기에 직면하고 있는바 지적재산권을 적절히 보호하는 법제도를 마련하기 위한 과제를 고찰하였다. 그 밖에도 기술표준화와 독점의 통제, 과학기술법의 세계화에 관하여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목차 ( Index )

    Ⅰ. 서론

    1. 과학기술의 발전

    2. 과학기술과 사회 및 법간의 관계

    4. 21세기 과학기술법의 과제 개관

    Ⅱ.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지키는 법제도

    1. 인간의 존엄성에 도전하는 과학기술

    2. 생명윤리에 관한 법제도

    3. 휴먼로봇의 통제를 위한 법제도

    4. 사이버인격에 관한 법제도

    Ⅲ.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법제도

    1. 프라이버시 침해의 위험성

    2. 프라이버시권(Right to Privacy)보호 법제

    3. 사적정보보호 법제

    Ⅳ. 인간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는 법제도

    1. 건강과 안전에 대한 위협

    2. 위험기술 이용에 대한 통제

    3. 위험의 제거와 감소를 위한 법제도

    4. 환경보호기술법제

    Ⅴ. 지적재산권을 적정히 보호하는 법제도

    1. 정보·아이디어, 자연의 재산화

    2. 지적재산권제도의 한계

    3. 새로운 지적재산권제도의 검토

    Ⅵ. 기술의 표준화와 독점의 통제에 관한 법제도

    1. 기술표준의 개념과 분류

    2. 기술표준화의 필요성과 현황

    3. 기술표준화의 촉진을 위한 법제

    4. 기술독점과 그에 대한 통제

    5. 소결

    Ⅶ. 과학기술법의 세계화를 위한 법제도

    1. 서

    2. 과학기술연구·개발의 세계화 법제

    3. 과학기술 보호의 세계화 법제

    4. 과학기술 유통의 세계화 법제

    5. 과학기술 규제의 세계화 법제

    6. 과학기술법 세계화를 위한 국제적 협력

    Ⅷ. 결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 5 과학 기술 사회 21세기 과학기술법의 과제 / 손경한, 박진아 2007  6795
    53 14 재생산 기술 '불임치료산업'과 한국의 재생산 정치 / 김선혜 2008  892
    52 14 재생산 기술 장애여성의 재생산 경험 : 재생산 정치의 관점에서 / 황지성 2011  649
    51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기술 시대의 장애와 재생산 : ‘선택권’과 ‘생명권’을 넘어 재생산의 정치로 / 황지성 2014  627
    50 5 과학 기술 사회 위험사회와 과학기술윤리 -생명공학을 중심으로 / 김환석 2006  613
    49 14 재생산 기술 새로운 임신 기술과 '위험', 그리고 아픈 아이들 : 보조생식술 결과의 국제비교를 중심으로 / 하정옥 2012  593
    48 16 환경 생체모방의 근본원리에 비춰본 4차 산업혁명 시대 생태문학의 의의/임도한 2018  584
    47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기술문명과 안락사 : 죽을 권리에 대한 신학 그리고 철학적 고찰 / 안경진 2002  549
    46 14 재생산 기술 한국 생식의료의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 소극적 정책보조자에서 산업개척자로 / 박종헌 2008  527
    45 5 과학 기술 사회 동아시아 생명과학의 발전과 바이오시민권의 형성가능성 / 김기흥 2012  526
    44 7 의료사회학 푸코의 자기기술 및 통치성 개념이 의료윤리 담론에 주는 몇 가지 함의 / 강명신 2012  513
    43 15 유전학 의료윤리분야 유전기술의 발전에 따른 도덕적 정당성 논쟁에 대한 고찰/정창록 2017  490
    42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기술과 대리모의 행위성 / 이은주 2008  484
    41 14 재생산 기술 일본의 재생산권 과제와 전망 : 인공임신중절에 관한 정책과 법에 관한 보고 / 이사도모코, 강유경 2009  470
    40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기술이 던지는 새로운 철학적 문제들에 대한 고찰 / 이중원 2016  449
    39 14 재생산 기술 한국 생명의료기술의 전환에 관한 연구 : 재생산기술로부터 생명공학기술로 / 하정옥 2006  441
    38 18 인체실험 줄기세포 기반 유전자치료 기술분야 특허분석을 통한 현황분석 및 시사점 도출 / 2013  435
    37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원격진료의 시범사업과 의료법의 문제점 / 김현주 외 2015  432
    36 1 윤리학 빅데이터 거버넌스와 표준화 동향 / 조완섭 2017  425
    35 5 과학 기술 사회 지구적 생명정치와 위험의 개인화 : OIE의 BSE 위험 관리를 중심으로 / 하대청 2013  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