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294
발행년 : 200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선진상사법률연구 No.37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60157866 

21세기 과학기술법의 과제 = Challenges of the Law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21st Century



초록 ( Abstract )

  • 21세기 지식정보사회는 이미 인간사회와 생활의 중추적 요소로 자리 잡은 과학기술의 사회적 함의를 정확하게 이해함으로써 법제도와 과학기술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끊임없는 성찰이 필요...
  • 21세기 지식정보사회는 이미 인간사회와 생활의 중추적 요소로 자리 잡은 과학기술의 사회적 함의를 정확하게 이해함으로써 법제도와 과학기술간의 상관관계에 관한 끊임없는 성찰이 필요한 시대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발전하는 과학기술을 위축시키지 않으면서 어떻게 부작용 없이 법제도로 수용할 것인가를 검토하여 과학기술을 십이분 이용하는 법제의 연구가 필요하다하겠다.
    본고에서는 먼저 과학기술과 사회 및 법 간의 관계와 과학기술법의 개념과 범위에 대하여 고찰한 후, 과학기술법이 해결하여야 할 과제로서 다음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인간복제, 휴먼로봇, 사이버인간과 같이 인간의 존엄성에 도전하는 과학기술에 대응하여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지키는 법제도로서 생명윤리에 관한 법제도, 휴먼로봇의 통제를 위한 법제도, 사이버인격에 관한 법제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둘째,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개인정보와 프라이버시(privacy)가 침해되기 쉬운 상황이 도래하였는바 이에 대응하여 프라이버시권보호법제와 사적정보보호법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특히 정보통신기술과 생명공학기술 등 여러 첨단기술들이 결합되면서 사적정보가 공유되어 발생하는 사적정보의 침해문제에 대한 법적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것도 앞으로의 큰 과제임을 언급하였다.
    셋째, 원자력에너지와 화학물질의 개발과 유전공학의 발달 등으로 인간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위협의 증가에 대응하여 인간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는 법제도로서 위험기술이용을 통제하고 위험의 제거와 감소를 위한 법제도, 환경보호기술법제가 필요함을 들었다.
    넷째, 과학기술사회에 진입하면서 전통적인 지적재산권제도가 커다란 위기에 직면하고 있는바 지적재산권을 적절히 보호하는 법제도를 마련하기 위한 과제를 고찰하였다. 그 밖에도 기술표준화와 독점의 통제, 과학기술법의 세계화에 관하여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목차 ( Index )

    Ⅰ. 서론

    1. 과학기술의 발전

    2. 과학기술과 사회 및 법간의 관계

    4. 21세기 과학기술법의 과제 개관

    Ⅱ.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지키는 법제도

    1. 인간의 존엄성에 도전하는 과학기술

    2. 생명윤리에 관한 법제도

    3. 휴먼로봇의 통제를 위한 법제도

    4. 사이버인격에 관한 법제도

    Ⅲ.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법제도

    1. 프라이버시 침해의 위험성

    2. 프라이버시권(Right to Privacy)보호 법제

    3. 사적정보보호 법제

    Ⅳ. 인간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는 법제도

    1. 건강과 안전에 대한 위협

    2. 위험기술 이용에 대한 통제

    3. 위험의 제거와 감소를 위한 법제도

    4. 환경보호기술법제

    Ⅴ. 지적재산권을 적정히 보호하는 법제도

    1. 정보·아이디어, 자연의 재산화

    2. 지적재산권제도의 한계

    3. 새로운 지적재산권제도의 검토

    Ⅵ. 기술의 표준화와 독점의 통제에 관한 법제도

    1. 기술표준의 개념과 분류

    2. 기술표준화의 필요성과 현황

    3. 기술표준화의 촉진을 위한 법제

    4. 기술독점과 그에 대한 통제

    5. 소결

    Ⅶ. 과학기술법의 세계화를 위한 법제도

    1. 서

    2. 과학기술연구·개발의 세계화 법제

    3. 과학기술 보호의 세계화 법제

    4. 과학기술 유통의 세계화 법제

    5. 과학기술 규제의 세계화 법제

    6. 과학기술법 세계화를 위한 국제적 협력

    Ⅷ. 결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94 9 보건의료 지구화된 의료시장에서 연구자와 환자의 정체성 / 한광희 2019  79
    293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 윤리의식 교육 / 김선영 2016  90
    292 15 유전학 바이오경제 시대에 대응한 생명공학 육성 법제 정비방안 / 윤종민 2018  98
    291 2 생명윤리 인간 자유의 토대와 한계/구인회 2015  106
    290 2 생명윤리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구성 및 운영의 개선방안 / 이인영 2006  107
    289 2 생명윤리 생명윤리와 소통(疏通)의 문제 : 황우석 스캔들에서 얻은 교훈/맹광호 2007  107
    288 2 생명윤리 생명윤리에서의 '자율성'에 대한 이해 / 김광태 2015  113
    287 2 생명윤리 중등 도덕과 생명의료윤리교육에 대한 비판적 검토/김상돈 2006  114
    286 15 유전학 한국과 프랑스 생명과학교사들이 가지는 사람의 사회적 행동에 대한 유전자 결정론적 인식의 차이/서혜애 외 2018  116
    285 18 인체실험 인체유래물의 이용과 형사법적 규제 / 최민영 2018  116
    284 15 유전학 인체 시료 및 유전자은행의 윤리ㆍ사회적 고찰 / 최은경 2008  117
    283 20 죽음과 죽어감 [특별기고] 생명말기에 관한 논쟁과 인격주의 생명윤리/곤잘로 미란다 2016  118
    282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적 결정'에 대한 윤리적 정당성의 근거 / 정재우 2015  121
    281 20 죽음과 죽어감 “내가 죽으면”: 초고령화 일본사회에서 생명정치와 죽음윤리 / 김희경 2018  124
    280 2 생명윤리 [시론] 생명의 가치와 삶의 질/정재우 2016  130
    279 18 인체실험 황우석 사태 이후 서울대 IRB / 서이종 2015  135
    278 1 윤리학 건강인 대상 Direct to Consumer Genetic Test의 사회적·윤리적 쟁점 (2015 수정논문) / 김수정 2013  144
    277 15 유전학 생명공학 분야에서의 특허보호 대상에 관한 연구 / 손민 2015  151
    276 1 윤리학 일본 생명윤리법제의 현황 : 가톨릭적 관점에서 / 정종휴 2015  152
    275 20 죽음과 죽어감 [논고] 이른바 '죽을 권리'는 '죽일 권리'인가/윤성혜 2016  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