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9
발행년 : 2010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여성학 Vol.26 No.4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500260 

낙태에 관한 다초점 정책의 요청 : 생명권 대(對) 자기결정권의 대립을 넘어 = Demanding the Multi-Focus Policy for Abortion : Beyond the Binary Code of Right for Life and Right for Self-Determination



초록 ( Abstract )

  • 본 연구는 최근의 낙태 처벌 강화 경향에 대한 대책과 함께 한국의 만성적인 낙태문제에 대한 인식론의 필요성이라는 두 수준의 문제를 가지고 출발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현행 낙태 관...
  • 본 연구는 최근의 낙태 처벌 강화 경향에 대한 대책과 함께 한국의 만성적인 낙태문제에 대한 인식론의 필요성이라는 두 수준의 문제를 가지고 출발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현행 낙태 관련법과 낙태를 둘러싼 생명권과 자기결정권이라는 가치론을 비판적으로 해석하고, 기존의 이분법적 대립을 넘어서는 사유의 방식과 정책의 비젼을 ‘다초점 정책’을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이 글에서 다초점 정책이란 모순되는 필요들을 동시적으로 고려하여 함께 보정하는 정책 방법을 의미한다. II부에서는 생명권 대 자기결정권의 양자택일이나 대립을 넘어서는 인식론적 전망을 모색한다. 먼저, 재생산권리(reproductive rights) 개념을 살펴본 후, 생명의 단계별로 접근하는 ‘생명의 질’ 접근을 제시하고, 여성의 ‘자기 결정권’이라는 선택 과정에 전개되는 고유한 ‘모성적 사유’에 대해 조망해 본다. 이렇게 생명권과 자기결정권은 여성의 재생산 결정에 있어 모두 요청되는 권리이자 가치로서 낙태 법정책의 기초가 된다.
    Ⅲ부에서는 먼저 형법상 낙태죄는 ‘사문화(死文化)’ 되어 있지 않고 실제 규범력을 행사하는 살아있는 법으로 해석한다. 또한, ‘임부의 생명 · 신체’라는 낙태죄의 보호이익은 낙태현실과 괴리되어 있는 것으로 평가하고, 사실상 관련법에는 임부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수용이 부재(不在)하다고 분석한다. 나아가, 여성의 특성에 기초할 때 성 · 임신 · 출산의 분리가 아닌 ‘통합성‘이 재생산 정책의 준거점이 되어야 하는데, 성과 임신과 출산 행위의 긴장과 갈등은 남성들이 당면하지 않는 문제이기에, 여성을 중심에 두지 않는 재생산 정책은 여성에 대한 심각한 차별 효과를 가지게 될 것임을 지적한다.
    이상의 분석에 기초하여, 결론에서는 관련 법률의 개정의 측면, 섹슈얼리티의 측면, 그리고 재생산의 측면에서 아홉 사안으로 다초점 정책의 내용을 짚어보았다. 이상과 같이 본 논문은 낙태에 관한 다초점 정책의 기초적 원리와 내용을 제시하였다.



    목차 ( Index )

    Ⅰ. 서론: 낙태를 둘러싼 최근 상황

    Ⅱ. 생명권‘과’ 자기결정권의 수용

    Ⅲ. 낙태관련법에서 ‘여성’은 어디에 있(었)는가

    Ⅳ. 결론: 다초점 정책의 구성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49 12 낙태 불교와 낙태 / 이미령 2018  107
    48 12 낙태 낙태죄의 비범죄화 논란에 대한 소고 / 이재학 2017  115
    47 12 낙태 낙태에 대한 형사처벌의 시대착오 / 하정옥 2018  116
    46 12 낙태 낙태행위의 법적 체계와 그 이해 / 신동일 2018  137
    45 12 낙태 낙태에서 장애여성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역량 강화/김문정, 심지원 2018  142
    44 12 낙태 피임과 낙태 정책에서의 재생산건강권 보장 방안 / 김동식 2014  145
    43 12 낙태 낙태죄 폐지 반대 운동만이 최선일까? / 정겨운 2018  147
    42 12 낙태 임신중절에 관한 드워킨의 가치 논변 연구 / 김상득 2018  166
    41 12 낙태 낙태절차에 관한 미국 연방대법원 결정이 우리나라 낙태규제에 주는 시사점 / 오영인 2017  196
    40 12 낙태 한국 사회에서의 낙태담론에 대한 여성철학적 성찰 / 김세서리아 2019  205
    39 12 낙태 서유럽 국가들에서의 낙태법 리뷰 / 박건 2018  214
    38 12 낙태 낙태죄 폐지논란으로 바라본 여성 주체성 회복의 필요성과 개선방안 / 문한나 2017  214
    37 12 낙태 낙태의 윤리에서 인격체 논변, 종의 원리, 그리고 생명의 권리 / 장동익 2018  215
    36 12 낙태 새로운 정책유형으로서 도덕정책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한국에서의 적용가능성 탐구: 낙태정책을 중심으로 / 노종호 2014  219
    35 2 생명윤리 생명윤리문화에 있어서 낙태에 대한 소고 / 정화성 2018  233
    34 12 낙태 낙태 예방 공익 캠페인 메시지 연구 / 조수영 2015  238
    33 1 윤리학 형법에 있어서 생명의 보호 / 이재석 2013  266
    32 12 낙태 낙태 논의에 있어서 태아의 존재론적 위상과 도덕적 위상 / 유호종 2003  266
    31 12 낙태 낙태(落胎)(죄(罪))와 불교(佛敎)의 생명관(生命觀)/이규호 2018  269
    30 12 낙태 통계로 본 가족실태 및 태도와 그 사목적 의의 / 조세희 2015  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