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0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논총 Vol.17 No.2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586633 

이주여성의 재생산권에 대한 국제인권법적 보호 = The Protection of Migrant Women's Reproductive Rights under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초록 ( Abstract )

  • 세계화가 진행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이주의 여성화는 이주 여성들의 기본적 자유 및 자율에 관한 권리를 확인하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다. 그러나 한...
  • 세계화가 진행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이주의 여성화는 이주 여성들의 기본적 자유 및 자율에 관한 권리를 확인하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이주 여성에 대한 무관심으로 인하여 이들의 재생산권 보호가 간과됨으로써, 결국 이주여성들의 건강에 심각한 위해가 가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을 양산하기도 한다. 현행 국제법체계는 이러한 재생산권의 침해로부터 이주 여성을 보호하고 있다. 특히 일부 국제인권법규는 이주여성의 생명권, 성폭력 및 착취로부터 자유로울 권리, 의학적 치료를 받을 권리, 재생산적 자결권, 비차별의 권리 등을 명시적으로 보장하고 있다. 이러한 국제법상의 규정을 통한 입법적 보호를 바탕으로, 각 국 정부는 상기한 국제법규를 준수하여 이주여성이 자신의 재생산권을 보다 실질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체계를 확립할 의무가 있다. 이를 위해서 우선 각국 정부는 자신이 이주여성의 재생산권 보호에 실효성을 기할 수 있는 주요한 주체임을 인식하여야 한다. 또한 각국 정부는 합법적인 이주여성 및 밀입국한 이주여성을 막론하고 그들의 재생산권을 보호할 권리가 있으며 아울러 의무도 가지고 있음을 인식하여야 한다. 이와 관련한 제반 규정 및 정책은 이주여성의 재생산권 보호라는 목적에 집중하여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한 차원에서 이들에게 필요한 주요 정보를 제공하고 수시로 교육하며, 충분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인신매매 및 성폭력 등 근본적인 공포 및 해악으로부터 이들을 자유롭게 하는 것이 각국 정부가 우선적으로 집중해야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각국 정부의 노력만으로 이주여성의 재생산권 보호가 실효성을 나타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관련 국제기구 및 지역적 기구를 비롯한 모든 국제공동체의 구성원들도 이주여성의 재생산권 보호 및 그 침해상황 그리고 보호체계를 인정하고 이러한 사항을 문서화 · 객관화하는데 우선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아울러 현실적 측면에서 재생산권을 침해당한 이주여성들이 법적으로 구제를 받을 수 있고, 이들의 보호를 위한 시설을 마련하기 위한 기금 조성 등의 노력도 간과될 수 없다. 이주여성들의 재생산권을 보호하고 그 침해에 대한 구제수단을 마련해 줄 수 있는 상기한 여러 주체들은 보다 체계적인 대안을 마련하고, 법적인 개혁을 통해 기존 국제법적 보호체계를 보다 강력하고 실효성 있게 이행함으로써, 이주여성들을 위한 제반 여건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목차 ( Index )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주여성의 재생산권의 범위 및 성격

    Ⅲ. 이주여성의 재생산권 보호 실태

    Ⅳ. 이주여성의 재생산권 보호 강화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268 9 보건의료 이탈리아 정신보건개혁의 정책적 함의 / 이용표 2017  126
    3267 5 과학 기술 사회 3 차원 세포프린팅을 위한 탈세포화 된 간 조직 유래 바이오잉크의 개발 / 한원일 외 2017  126
    3266 12 낙태 법여성주의를 통해 본 낙태죄의 비판적 고찰 : 여성의 낙태권과 태아의 생명권을 중심으로 / 오승이 2007  126
    3265 8 환자 의사 관계 임상시험심사위원회(IRB)의 리베이트 통제 역할에 관한 소고 / 강한철 2013  126
    3264 15 유전학 인간 유전자(DNA)의 법적지위와 개발기술의 합리적 보호방안/유지홍 2018  126
    3263 9 보건의료 임상시험 결과의(Clinical Trials Outcome) 성공율을 높이기 위한 강화전략(Enrichment Strategy) 탐색 : 일개 병원 EMR 자료를 이용하여 / 이지선 2018  126
    3262 9 보건의료 노인복지정책의 관점에서 본 치매대응체계 진단과 과제/권중돈 2018  126
    3261 19 장기 조직 이식 국내에서 시행한 뇌사자 신장이식과 비교한 중국 원정 신장이식의 문제점 / 주만기 외 2006  126
    3260 1 윤리학 인공적 도덕 행위자 설계를 위한 고려사항 / 목광수 2018  126
    3259 4 보건의료 철학 외국인 환자 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문화역량 영향요인 / 안정원 외 2019  126
    3258 4 보건의료 철학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간호단위 관리자의 대응 양상 : Q 방법론 적용 / 최진규 2019  126
    3257 20 죽음과 죽어감 벨기에 법에서의 질병과 삶의 종말 / 이브앙리르뢰 2015  127
    3256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교사의 나노기술에 대한 인식과 태도 / 김현정, 홍훈기 2010  127
    3255 5 과학 기술 사회 법패러다임 변화의 관점에서 인공지능과 법담론 : 법에서 탈근대성의 수용과 발전/정채연 2016  127
    3254 13 인구 인구감소시대에서의 빈집 문제에 대한 국가-지방자치단체의 정책 대응/심재승 2017  127
    3253 15 유전학 CRISPR/Cas9 기반 유전자 교정 시스템과 전달 방법 / 송민정 외 2017  127
    3252 18 인체실험 한국 다문화 정책의 입법현황 / 민태은 2017  127
    3251 15 유전학 구강조직유래 유도만능줄기세포-생체재료 복합체의 재생의료 동향 / 전수경 외 2017  127
    3250 20 죽음과 죽어감 네팔의 자살과 자살 예방 정책에 관한 연구 /Bimala Sharma 2018  127
    3249 1 윤리학 취약한 존재를 위한 정의론 / 김은희 2018  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