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4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페미니즘 연구 Vol.14 No.1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959028 

생명공학기술 시대의 장애와 재생산  :  ‘선택권’과 ‘생명권’을 넘어 재생산의 정치로 = Disability and Reproduction in the Age of Biotechnology: Beyond the Right to Choose and the Right to Life, Toward the Politics of Reproduction



초록 ( Abstract )

  • 생명 그리고 인간 재생산이라는 ‘권리들’의 문제는 최근 생명공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지식적 담론과 일상의 실천 양자가 동시에 급격한 변동을 겪고 있는 장이다. 특히 몸의 건강함 및 장...
  • 생명 그리고 인간 재생산이라는 ‘권리들’의 문제는 최근 생명공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지식적 담론과 일상의 실천 양자가 동시에 급격한 변동을 겪고 있는 장이다. 특히 몸의 건강함 및 장애, 질병과 관련해서 인간 재생산은 자기 몸에 대한 자기 ‘선택’적 행위의 가장 선구적이고 전형적인 장으로 비춰지고 있다. 이에 이러한 변화가 가져다주고 있는 긍부정성은 무엇인가, 특히 기존 장애인 인권 담론이나 여성 재생산권의 이슈에 있어서 함의하는 바는 무엇인가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상호교차적 분석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바, 그 출발점으로써 본 논문은 그동안 한국사회에서 철저히 비가시화 됐던, 장애나 질병을 가진 사람들의 재생산경험을 제대로 드러내는 것의 중요성을 역설한다. 이러한 작업은 선택권과 생명권이라는 추상적 담론 구도 안에 갇힌, 여성들의 다채로운 실제 재생산 경험과 실천을 효과적으로 드러내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장애여성들이 재생산과 관련해 보여주는 ‘정상성’과의 사투는, 여성주의 인식론과 실천이 뿌리 깊게 기반 해 온 정상성 규범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촉구한다. 이는 단지 여성이라는 범주에서 장애여성이라는 특수한 주체들의 정체성과 경험이 설명되지 못했다는 문제제기에 그치지 않는다. 장애, 질병 혹은 ‘정상성’ 규범을 여성주의 정치학에서 다루어왔던 ‘권리’의 문제와 상호교차적으로 바라볼 때, 기존의 그것이 다르게 보일 수 있고, 인식론적 지평의 확장과 새로운 정치가 가능하다는 것을 드러낸다.



    목차 ( Index )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여성주의 재생산권 담론과 “재생산 정치”

    3. ‘정상성’, 그리고 재생산과 시민권

    4. ‘맞춤아기’ 기술과 정상/비정상의 기제 (재)생산

    5. 마치며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4 5 과학 기술 사회 21세기 과학기술법의 과제 / 손경한, 박진아 2007  6795
    53 14 재생산 기술 '불임치료산업'과 한국의 재생산 정치 / 김선혜 2008  892
    52 14 재생산 기술 장애여성의 재생산 경험 : 재생산 정치의 관점에서 / 황지성 2011  649
    »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기술 시대의 장애와 재생산 : ‘선택권’과 ‘생명권’을 넘어 재생산의 정치로 / 황지성 2014  627
    50 5 과학 기술 사회 위험사회와 과학기술윤리 -생명공학을 중심으로 / 김환석 2006  613
    49 14 재생산 기술 새로운 임신 기술과 '위험', 그리고 아픈 아이들 : 보조생식술 결과의 국제비교를 중심으로 / 하정옥 2012  593
    48 16 환경 생체모방의 근본원리에 비춰본 4차 산업혁명 시대 생태문학의 의의/임도한 2018  584
    47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기술문명과 안락사 : 죽을 권리에 대한 신학 그리고 철학적 고찰 / 안경진 2002  549
    46 14 재생산 기술 한국 생식의료의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 소극적 정책보조자에서 산업개척자로 / 박종헌 2008  527
    45 5 과학 기술 사회 동아시아 생명과학의 발전과 바이오시민권의 형성가능성 / 김기흥 2012  526
    44 7 의료사회학 푸코의 자기기술 및 통치성 개념이 의료윤리 담론에 주는 몇 가지 함의 / 강명신 2012  513
    43 15 유전학 의료윤리분야 유전기술의 발전에 따른 도덕적 정당성 논쟁에 대한 고찰/정창록 2017  490
    42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기술과 대리모의 행위성 / 이은주 2008  484
    41 14 재생산 기술 일본의 재생산권 과제와 전망 : 인공임신중절에 관한 정책과 법에 관한 보고 / 이사도모코, 강유경 2009  470
    40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기술이 던지는 새로운 철학적 문제들에 대한 고찰 / 이중원 2016  449
    39 14 재생산 기술 한국 생명의료기술의 전환에 관한 연구 : 재생산기술로부터 생명공학기술로 / 하정옥 2006  441
    38 18 인체실험 줄기세포 기반 유전자치료 기술분야 특허분석을 통한 현황분석 및 시사점 도출 / 2013  435
    37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원격진료의 시범사업과 의료법의 문제점 / 김현주 외 2015  432
    36 1 윤리학 빅데이터 거버넌스와 표준화 동향 / 조완섭 2017  425
    35 5 과학 기술 사회 지구적 생명정치와 위험의 개인화 : OIE의 BSE 위험 관리를 중심으로 / 하대청 2013  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