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33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페미니즘 연구 Vol.14 No.1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959028 

생명공학기술 시대의 장애와 재생산  :  ‘선택권’과 ‘생명권’을 넘어 재생산의 정치로 = Disability and Reproduction in the Age of Biotechnology: Beyond the Right to Choose and the Right to Life, Toward the Politics of Reproduction



초록 ( Abstract )

  • 생명 그리고 인간 재생산이라는 ‘권리들’의 문제는 최근 생명공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지식적 담론과 일상의 실천 양자가 동시에 급격한 변동을 겪고 있는 장이다. 특히 몸의 건강함 및 장...
  • 생명 그리고 인간 재생산이라는 ‘권리들’의 문제는 최근 생명공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지식적 담론과 일상의 실천 양자가 동시에 급격한 변동을 겪고 있는 장이다. 특히 몸의 건강함 및 장애, 질병과 관련해서 인간 재생산은 자기 몸에 대한 자기 ‘선택’적 행위의 가장 선구적이고 전형적인 장으로 비춰지고 있다. 이에 이러한 변화가 가져다주고 있는 긍부정성은 무엇인가, 특히 기존 장애인 인권 담론이나 여성 재생산권의 이슈에 있어서 함의하는 바는 무엇인가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상호교차적 분석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바, 그 출발점으로써 본 논문은 그동안 한국사회에서 철저히 비가시화 됐던, 장애나 질병을 가진 사람들의 재생산경험을 제대로 드러내는 것의 중요성을 역설한다. 이러한 작업은 선택권과 생명권이라는 추상적 담론 구도 안에 갇힌, 여성들의 다채로운 실제 재생산 경험과 실천을 효과적으로 드러내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장애여성들이 재생산과 관련해 보여주는 ‘정상성’과의 사투는, 여성주의 인식론과 실천이 뿌리 깊게 기반 해 온 정상성 규범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촉구한다. 이는 단지 여성이라는 범주에서 장애여성이라는 특수한 주체들의 정체성과 경험이 설명되지 못했다는 문제제기에 그치지 않는다. 장애, 질병 혹은 ‘정상성’ 규범을 여성주의 정치학에서 다루어왔던 ‘권리’의 문제와 상호교차적으로 바라볼 때, 기존의 그것이 다르게 보일 수 있고, 인식론적 지평의 확장과 새로운 정치가 가능하다는 것을 드러낸다.



    목차 ( Index )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여성주의 재생산권 담론과 “재생산 정치”

    3. ‘정상성’, 그리고 재생산과 시민권

    4. ‘맞춤아기’ 기술과 정상/비정상의 기제 (재)생산

    5. 마치며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추정적 의사 / 김필수 2012  61124
    32 12 낙태 임신중절의 핵심쟁점과 윤리적 논쟁들에 관한 연구 / 문수례 2007  4909
    31 12 낙태 사례연구 : 영국,미국,독일,프랑스의 낙태 규제 입법과 판례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 이희훈 2014  4749
    30 2 생명윤리 의료영역에서 인간의 존엄, 생명, 생명권의 관계 / 이석배, 김필수 2012  4417
    29 8 환자 의사 관계 생명윤리에서 생명권과 자기결정권 / 이석배 2007  3696
    28 20 죽음과 죽어감 우리나라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판례 평석 : 대법원 2009다17417 판결 및 헌법재판소 2008헌마385 결정을 중심으로 / 이희훈 2013  1227
    27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의 헌법적 근거와 연명치료중단에서의 생명권의 보호범위 / 엄주희 2013  876
    26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 고독사 연구 및 접근의 관점 / 권혁남 2014  858
    25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에 관한 자기결정권과 존엄사 / 김은철, 김태일 2013  663
    24 20 죽음과 죽어감 고독사에 관한 법과 윤리적 쟁점 / 권혁남 2013  630
    »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기술 시대의 장애와 재생산 : ‘선택권’과 ‘생명권’을 넘어 재생산의 정치로 / 황지성 2014  627
    22 1 윤리학 미국의 생명공학연구 규제입법의 헌법적 함의 / 이상경 2013  599
    21 12 낙태 헌법재판소의 낙태결정(2010헌바402)에 대한 헌법적 검토 / 정철 2013  583
    20 20 죽음과 죽어감 회생불가능한 환자의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헌법적 고찰 : 연명치료 중단에 관한 입법적 연구를 중심으로 / 강혜경 2016  538
    19 12 낙태 낙태에 있어 사람의 시기와 낙태의 허용범위에 관한 형사법적 고찰 / 김정오 2016  530
    18 12 낙태 생명권에 관한 헌법적 논의 / 김민우 2013  527
    17 14 재생산 기술 배아연구에 관한 법·윤리적 고찰/ 김향미 2009  519
    16 12 낙태 낙태에 관한 다초점 정책의 요청 : 생명권 대(對) 자기결정권의 대립을 넘어 / 양현아 2010  514
    1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의료책임법상의 과제 / 이무송 2010  473
    14 12 낙태 14일 이전 배아의 도덕적 지위 / 유호종 2001  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