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2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 병원행정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865891 

불임 여성들의 통합의료서비스 이용 영향요인 =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integrative health care services among infertile women


  • 저자 : 김이영
  • 형태사항 : v, 98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

    국문요약: p. i-ii
    Abstract: p. 93-94
    부록: 설문지
    지도교수: 한동운
    참고문헌: p. 73-84
    서지적 각주 수록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 병원행정전공 2012. 8
  • 발행국 : 서울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2
  • 주제어 : 병원행정


초록 ( Abstract )

  •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하면 전 세계 인구의 3/4 이상이 보완대체의료를 이용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여성들은 건강관리를 목적뿐만 아니라 임신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보완대체의료를 이용하...
  •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하면 전 세계 인구의 3/4 이상이 보완대체의료를 이용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여성들은 건강관리를 목적뿐만 아니라 임신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보완대체의료를 이용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한국의 몇 몇 연구에서는 서양의료의 보조적인 방법으로 전통 의료를 이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는 불임 여성들을 대상으로 통합의료 이용 현황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나아가 통합의료 서비스의 효율적인 모형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 2012년 6월 7일부터 14일까지 8일간 서울 강남구에 소재한 A병원, 성동구 B대학병원, 동대문구 C여성병원 외래를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참여의사를 물은 뒤 참여의사를 표명한 환자에게만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자가 직접 또는 연구자로부터 사전 교육을 받은 설문요원 2인이 해당 병원 외래에서 1:1 면담 후 대상자가 직접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배부된 설문지는 총 300부였으나 완성도가 미흡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실제로 분석에 이용된 설문지는 286부였으며 회수율은 95.3%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조사 도구와 설문 항목은 총 47문항으로 건강 특성 및 행태에 관한 14문항, 불임치료 서비스 이용에 관한 8문항, 보완대체의료 이용 경험에 대한 18문항, 인구사회학적 일반특성에 대한 7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연구를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18.0 Network Version(on release 18.0.1 of PASW Statistic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Chi-square test, t-test 그리고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Linear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응답한 대상자는 총 286명으로 이 중에서 보완대체의료 이용률은 62.2%였다. 보완대체의료 이용시점을 기준으로 [불임 진단 직후(치료 시작 이전)]과 [불임 치료 단계(불임 치료 중)] 이용을 시작한 군을 통합의료(IM) 이용으로 가정한 최병희(2010)연구와 동일 기준을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 통합의료 이용률은 26.9%였다.

    통합의료 이용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Linear Logistic Regression분석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최종 학력’의 [대학교 졸업]에서 유의한 결과가 확인되었으며(p<0.05), 건강 행태 관련 특성으로 ‘주관적 건강수준’에서 [좋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불임 여성들은 보완대체의료를 정통 서양의학 치료(보조생식술:ART)를 보완하는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의료진과 상의하지 않는 군이 2/3(64.6%) 정도이다. 이로 인해 보완대체의료의 오용이나 남용 등의 문제로 불임 치료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따라서 의료서비스 제공 방식도 대상자들의 요구를 이해하여 변화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제 우리사회가 의료의 다양성을 받아들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바, 이 연구를 통해 불임 여성들의 본질적 속성에 내재된 특성이 통합의료 이용 영향요인으로 이어지는 관계성을 확인한 것은 매우 의미 있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목차 ( Index )

     국문요약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3

    3. 용어의 정의 4


    Ⅱ. 이론적 고찰 6

    1. 보완대체의료(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 6

    1.1 보완대체의료 개념 6

    1.2 보완대체의료 분류 7

    2. 보완대체의료(CAM)와 통합의학(Integrative Medicine; IM) 8

    2.1 보완대체의료(CAM)의 이용 이유 8

    2.2 보완대체의료(CAM)의 동향 8

    2.3 통합의학(Integrative Medicine; IM) 10

    3. 임신 여성과 보완대체의학(CAM) 11

    4. 불임 ((Infertility) 15

    5. 불임부부 지원 사업 20


    Ⅲ. 연구 방법 25

    1. 연구 개념의 틀 25

    2. 연구 대상 26

    3. 연구 도구 및 구성 26

    4. 자료수집 방법 28

    5. 자료 분석 방법 28


    Ⅳ. 연구 결과 29

    1.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9

    2. 연구 대상자의 건강행태 관련 특성 30

    3. 연구대상자들의 불임 치료서비스 이용에 관한 특성 33

    4. 연구대상자들의 보완대체의료 이용에 관한 특성 34

    5. 연구대상자들 특성별 보완대체의료 및 통합의료 이용 관계 41

    6. 연구대상자들 특성과 정부 불임지원 여부의 관계 48

    7. 연구대상자들의 인식과 보완대체의료(CAM) 이용 평균 비교 52

    8. 연구대상자들의 인식과 통합의료(IM) 이용 평균 비교 53

    9. 연구대상자들의 통합의료 이용 예측요인 55


    Ⅴ. 고 찰 61

    1. 연구방법에 대한 고찰 61

    2. 연구결과에 대한 고찰 62


    Ⅵ. 결론 및 제언 66


    참 고 문 헌 72

    설 문 지 84

    ABSTRACT 9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8 20 죽음과 죽어감 보호의무자에 의한 정신질환자 강제입원·치료제도의 위헌성 -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의 관련 판례의 응용을 중심으로 / 정태호 2016  3778
    67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 금지(DNR)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갈등 / 김현아 2011  3783
    66 20 죽음과 죽어감 인간배아 복제에 대한 윤리적 고찰 / 진교훈 2009  3823
    6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후견주의와 환자의 자기결정권 - 의사의 설명의무를 중심으로 - / 이석배 2007  3836
    64 18 인체실험 Editorial: The 2013 special issue on stem cell biology / Dangsheng Li 2013  3950
    63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동의와 자율성의 법적ㆍ윤리적 고찰 / 이한주 2014  3972
    62 19 장기 조직 이식 잠재 뇌사자에서 성공적 장기 기증과 기증 동의와 관련된 인자/이은우 외 2017  4119
    61 1 윤리학 현행 형집행정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이석배 2013  4159
    60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판정과 장기이식의 윤리적 문제 / 이종원 2012  4173
    59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의 윤리·법·사회 문제 해결방안 / 이수빈 2019  4240
    58 15 유전학 유전자 검사와 치료에 대한 윤리적 문제 고찰 / 박태정 2006  4295
    57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사의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의 도덕적 의사결정에 대한 연구 / 심옥주 2002  4300
    56 18 인체실험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가치관과 윤리적 갈등문제에 관한 연구 / 안은숙 1994  4340
    55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가 전통지식보호에 미치는 영향과 그 대응책 -한의약에 관한 전통지식을 중심으로-/고광국 2013  4352
    54 2 생명윤리 의료영역에서 인간의 존엄, 생명, 생명권의 관계 / 이석배, 김필수 2012  4417
    53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의사에 반하는 연명의료 중단ㆍ유지와 손해배상 / 이재경 2018  4433
    52 9 보건의료 바이오제네릭 의약품의 허가심사제도에 관한 고찰 / 송태은 2009  4449
    51 18 인체실험 The Silent Majority: Who Speaks at IRB Meetings? 2012  4577
    50 1 윤리학 테일러의 생명중심주의 사상의 환경윤리교육적 함의 / 이제용 2014  4640
    49 12 낙태 사례연구 : 영국,미국,독일,프랑스의 낙태 규제 입법과 판례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 이희훈 2014  47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