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9월 27일] 피부암 관여 DNA 손상 복구 단백질 작용 규명 등

IBS, 피부암 관여 DNA 손상 복구 단백질 작용 규명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유전체항상성연구단의 올란도 쉐러(Orlando D. Schärer) 부연구단장 연구팀이 세포 내 색소건피증 단백질 A(XPA)와 복제 단백질 A(RPA)의 상호작용이 뉴클리오티드 절제 복구(Nucleotide excision repair·NER) 과정에서 DNA를 복구하는 단백질 집합체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27일 밝혔다.

  - 기사https://newsis.com/view/?id=NISX20220927_0002028128&cID=10807&pID=10800 

 

'복합 경구 피임약, 정맥 혈전 색전증 위험"

과체중 또는 비만 여성이 여성 호르몬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틴이 섞인 경구 피임약을 복용하면 정맥 혈전 색전증(VTE: venous thromboembolism)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정맥 혈전 색전증은 심부 정맥 혈전증(DVT: deep vein thrombosis)과 폐동맥 색전증(PE: pulmonary embolism)을 아우르는 명칭이다.

  - 기사https://www.yna.co.kr/view/AKR20220927059500009?input=1195m

 

작년 극단선택 13352'코로나 블루' 속 전년비 1.2%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극단적인 선택으로 숨진 이들이 전년도보다 소폭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10·20대의 자살률이 특히 높아졌는데,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우울감 증가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자살 사망자는 13352명으로 2020년보다 157(1.2%) 증가했다.

  - 기사: https://www.yna.co.kr/view/AKR20220927122200530?input=1195m

첨부파일
이미지 [메인사진]국가생명윤리정책원.PNG (43.7KB / 다운로드  47)
이전 글
다음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