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79
발행년 : 201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4 No.10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688038 

원저 : 한국의 보조생식술을 시행 받은 불임환자들의 상담실태에 대한 조사 = Original Articles : Current Status of Infertility Counseling in Korea



초록 ( Abstract )

  • 목적 본 연구에서는 불임부부 지원사업을 받아 보조생식술을 시행 받은 불임환자들을 대상으로 불임상담 실태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6년과 2008년 각각 1년 동안 불임부부...
  • 목적 본 연구에서는 불임부부 지원사업을 받아 보조생식술을 시행 받은 불임환자들을 대상으로 불임상담 실태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6년과 2008년 각각 1년 동안 불임부부 지원사업의 시술비를 지원받은 불임환자 2006년 19,131예 중 7,931예와 2008년 13,240예(총 21,171예)를 대상으로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불임시술 이전에 상담 받은 횟수는 2내지 3회 상담을 시행 받은 경우가 각각 409명(33.4%, 2006년), 534명(42.4%, 2008년)으로 가장 많았으며, 불임부부에게 불임상담을 해준 상담자로 불임전문의에게 상담을 받았다고 한 경우가 2006년은 1,009명(85.5%), 2008년은 879명(67.7%)으로 가장 많았다. 불임상담의 형태로는 진료실에서 불임환자나 부부 단독으로 구두상담 받은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불임상담시 심리검사를 하지 않았다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불임시술 중 가장 스트레스를 받은 경우는 ``임신결과 발표 시``로 나타났으며, 불임치료 시에는 가장 도움을 많이 준 사람으로 배우자가 가장 많았다. 결론 불임시술 전 과정이 불임환자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임신 결과 발표 시에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하였으며, 시술이전에 2-3회의 상담을 받았고, 상담 시 심리검사 등은 시행하지 않았다. 우리나라의 불임상담은 외국과는 달리 정신과 전문의나 정신건강전문가에게 받지 않고 대부분 불임전문의에게 상담받았다고 하였는데, 국내에서도 불임부부의 상담에 정신심리 전문가가 포함된 팀으로서의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불임상담과 임신율과의 상관 관계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9 1 윤리학 생명의료의 발전에 따른 민사책임의 발전과 과제 / 김기영 2012  223
    18 18 인체실험 인간배아줄기세포의 특허보호에 관한 유럽의 최신 동향 : 유럽사법재판소의 Brüstle v. Greenpeace 판결을 중심으로 / 한지영 2014  1223
    17 1 윤리학 미국의 생명공학연구 규제입법의 헌법적 함의 / 이상경 2013  599
    16 2 생명윤리 의료영역에서 인간의 존엄, 생명, 생명권의 관계 / 이석배, 김필수 2012  4417
    15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불교적 관점 / 윤종갑 2012  913
    14 14 재생산 기술 체세포복제배아 줄기세포의 최근 연구 동향과 관련 윤리지침 / 권복규, 안경진 2007  478
    13 1 윤리학 줄기세포주 등록과 관련된 생명윤리법 규정의 해석 / 민혜영 2014  679
    12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의 정당성에 관한 법적 쟁점 / 김민우 2014  647
    11 14 재생산 기술 ‘잔여’ 배아와 난자의 연구목적 이용을 둘러싼 쟁점 / 정연보 2013  628
    10 14 재생산 기술 치료 발전을 위한 인간복제배아 연구의 허용성 여부에 대한 검토 및 관련 생명윤리법 규정의 타당성 / 오정한 2013  687
    9 12 낙태 합리적인 낙태규제 방안 : 낙태는 자유인가 살인인가? / 김재윤 2013  974
    8 10 성/젠더 생명공학과 여성의 행위성 : 시험관아기 시술과 배아복제 연구 사이에서 / 조주현 2005  513
    7 14 재생산 기술 한국 생명의료기술의 전환에 관한 연구 : 재생산기술로부터 생명공학기술로 / 하정옥 2006  441
    6 14 재생산 기술 배아연구에 관한 법·윤리적 고찰/ 김향미 2009  519
    » 14 재생산 기술 원저 : 한국의 보조생식술을 시행 받은 불임환자들의 상담실태에 대한 조사 / 김라현 외 7인 2011  589
    4 14 재생산 기술 새로운 임신 기술과 '위험', 그리고 아픈 아이들 : 보조생식술 결과의 국제비교를 중심으로 / 하정옥 2012  593
    3 14 재생산 기술 보조생식술에 있어 Informed Consent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와 영국의 동의 체계 및 동의 서식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 김은애 2012  636
    2 15 유전학 생명공학적 인공배아와 인체유래물의 민법상 지위 / 유지홍, 강태성 2013  1322
    1 18 인체실험 인간배아줄기세포 연구와 임상시험의 문제점 / 류화신 2013  2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