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0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사회과학연구 Vol.29 No.2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77040099 

대리임신의 문제점에 관한 고찰  :  최근 일본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Problems on the Gestational Agreement



초록 ( Abstract )

  • 상업적으로 자녀를 대리출산하는 경우인 소위 ‘대리모계약’의 경우에는 그 계약의 유효성 여부를 차치하더라도 대리임신에서 출산이 된 경우의 자의 모와 부를 결정하는 문제는 가족법...
  • 상업적으로 자녀를 대리출산하는 경우인 소위 ‘대리모계약’의 경우에는 그 계약의 유효성 여부를 차치하더라도 대리임신에서 출산이 된 경우의 자의 모와 부를 결정하는 문제는 가족법상 매우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우리 민법은 모자관계의 결정에 관해서 혼인 중의 자와 혼인외의 자의 경우를 묻지 않고 아무런 규정이 없이 출산한 모가 자의 모가 된다는 견해에 따르고 있고, 부자관계의 결정에 관해서는 모자관계의 결정과는 달리 복잡한 규정을 두고 있다.
    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민법의 규정 내지는 원리가 자연적인 출산의 경우에 적합한 것이고, 인공적인 출산의 경우에는 제대로 기능할 수 없다는 것이다. 특히 비배우자간의 인공수정의 경우나, 보조생식술을 이용하여 대리모가 출산하는 경우에는 위의 원리에 의해 부나 모를 정하는 것이 간단하지 않다.
    우리나라의 학계에서는 대리모계약이 공서양속에 위반되는 것이므로 무효라고 하고 있지만, 대리모계약에 관하여 직접 규정하고 있는 법률은 없다. 단지 생명과학기술에 관한 법률인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2004.1.29. 법률 제07150호, 2005.1.1. 시행)이 있지만, 그러나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은 직접 대리모계약을 규율하는 것이 아니고, 대리모계약은 합의에 의해 체결되기만 하면 병원에서의 시술에 그다지 큰 어려움이 없기 때문에 이 법률로는 무효인 대리모계약의 규율이 어려운 실정이다.
    일찍이 대리모계약이 사회문제가 되어 많은 논란을 거친 서구에서는 이에 관한 법률적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허용·불허용이 다를 뿐 대리모계약에 관한 직접적인 법률적 규율을 함으로써 사회적 혼란을 막고, 자칫 인신매매가 될 수 있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며, 불임부부의 희망을 제한적으로나마 해결해 줄 수 있는 길을 열어 놓고 있다. 특히 비배우자간 인공수정으로 출생한 자녀의 모자관계나 부자관계를 결정하는 원칙을 정함으로써 민법이 예측하지 못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있다.
    그 결론에는 인간의 존엄성 확보와 인간의 욕망의 실현이라는 서로 대립하는 가치가 있다. 이 중 어느 것에 더 가치를 둘 것인가. 우리 민법은 어디에 더 비중을 두어야 할 것인가? 참으로 어려운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 글에서는 이 시점에서 우리 민법도 이에 관한 대비책을 세워야 할 것임을 촉구하고자 한다. 이미 1990년대 초반에 대리모계약이나 인공적 임신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였는데도 아직 정부에서는 이렇다 할 案조차도 없는 실정인데, 일본에서의 논의에서 시사점을 찾아 적극 대처해야 할 것이라 생각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68 14 재생산 기술 인간배아복제에 대한 윤리학적 분석 / 홍자영 2006  815
    367 1 윤리학 사이버 침해사고 예방을 위한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강화 연구/ 이길호 2019  823
    366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 여성의 심리사회적 고통 체험 연구: Parse의 인간되어감 방법을 적용하여 / 김현경 2010  826
    365 9 보건의료 치매 관련 사회복지연구의 동향 분석 - 국내 사회복지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최희경 2016  832
    364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정보학 이해를 위한 영화 ‘The Island’ 활용 / 오진아 외 2015  832
    363 18 인체실험 무작위 임상시험의 윤리적,법적 문제 / 최경석 2008  834
    362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대한 생명윤리학적 고찰 / 김은진 2005  835
    361 20 죽음과 죽어감 중환자실 심폐소생술 금지(DNR)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애환에 대한 문화기술지 / 김현아 2013  837
    360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인의 전통 죽음관 / 권복규 2013  839
    359 15 유전학 식물연구에서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의 다양한 적용 / 배상수 2016  839
    358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임상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직무만족도 및 간호업무수행과의 관계 / 문미영, 전미경, 정애화 2013  841
    357 22 동물복지 실험동물과 윤리: 윤리적 동물실험의 기초를 위하여 / 추정완 2017  842
    356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 시대, 지능정보기술의 사회적 영향과 법적 과제 / 이시직 2017  846
    355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유방암 환자에서 발생한 흉막 전이에 의한 거대 종양 1예와 호흡곤란의 치료 / 이나리 2014  849
    354 12 낙태 임신중절에 대한 생명의료윤리학적 고찰 / 박소연 2004  849
    353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송성수 2001  855
    352 14 재생산 기술 생식과 비배우자 인공수정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 이해 / 양혜란 1995  856
    351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 고독사 연구 및 접근의 관점 / 권혁남 2014  859
    350 14 재생산 기술 The effect of artificial oocyte activation in IVF-ET procedure / 윤혜진 2014  860
    349 1 윤리학 수술 로봇의 윤리적 쟁점 / 송선영 외 2016  8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