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3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法學硏究 第54輯, 2014.6, 309-325 (17 pages)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3458192 

 

성인지적 관점에서 본 모성보호의 사회법적 한계

A Limitation by Social Law on the Protection of maternity in a Gender Perspective

 

  • 발행기관 : 한국법학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 등재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 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3458192
  •  

     

    목차

    국문요약
    Ⅰ. 들어가며
    Ⅱ. 모성보호에 관한 새로운 한계 설정의 필요성
    Ⅲ. 여성근로자 건강권의 의의 및 권리범위
    Ⅳ. 모성보호의 내용구성 및 한계
    Ⅴ. 마치며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여성근로자에 대한 건강보장은 국민으로서의 인간다운 생활권에 기인한 보편적 건강보장권 및 근로권의 측면에서 출발하여 남성근로자에 대별하는 국가의 여성근로에 대한 특별보호의무를 그 헌법적 근거로 하여 권리내용이 구체화 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장기화 되고 있는 경기불황과 일자리부족 등의 노동문제를 비롯하여 이와 더불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저출산․고령화 현상은 과거 산업부흥기로 대별되던 시기에 이루어져 온 사회법영역에 있어서의 여성근로자 보호 차원에서의 건강보장을 구성하는 단순 법리로 이에 대응하기에 적절하지 않다. 즉, 과거 사회법영역에서 규정되던 여성근로자의 건강보장이 남성에 대한 여성 보호의 필요성에 기인하여 그 보호법리가 구성되고 이를 근거로 하여 법의 내용을 규정하는데 치중하였다면, 현재는 노동현실의 변화에 따라 성인지적 관점에서 모성 보호의 구체적 한계를 설정하는데 그 역량이 발휘되어야 할 것이다. 여성근로자의 건강보장은 근로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여성근로자 개인의 건강보장의 의의 뿐만 아니라 모성기능의 발현을 통하여 건전하고 지속적인 세대유지를 도모하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의의를 동시에 가지므로 여성근로자에 대한 특별 보호는 곧 모성보호로 귀결되는데, 이러한 특별 보호는 그 구체적 권리내용의 범위를 설정함에 있어서 모성유지 및 모성발현에 대한 보호의 내용을 개별 보호영역의 세분화에 따라 구체적으로 규정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보호의 필요성에 근거한 입법은 자칫 보호의 과잉으로 이어져 역차별의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모성보호의 사회법적 한계는 여성근로자의 건강 보장을 위한 최대범위 설정의 기준이 근로관계에 있어서의 남녀평등대우의 원칙의 예외로서의 최소허용범위 기준과 대체로 일치되는 수준에서 설정되어야 한다. 즉, 모성보장권의 구체적 권리내용의 규정 시, i) 모성유지 및 모성발현 보호를 위한 건강보장수준이 어느 정도를 의미하는 것인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설정이 어렵다는 점, ii) 여성근로자의 건강보장을 위한 조치가 곧 모성보호로 이어지는지에 대한 객관적 증명이 어렵다는 점, iii) 여성근로자의 건강한 상태를 유지·보호하기 위한 근로조건의 수준이 여성근로자 개인마다 다를 수 있다는 점 등의 입법과제를 인지하고 각각의 문제에 대한 해결에 관하여 여성 보호 필요성의 관점이 아닌 성인지적 한계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3 2 생명윤리 의료영역에서 인간의 존엄, 생명, 생명권의 관계 / 이석배, 김필수 2012  4417
    52 19 장기 조직 이식 잠재 뇌사자에서 성공적 장기 기증과 기증 동의와 관련된 인자/이은우 외 2017  4118
    51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동의와 자율성의 법적ㆍ윤리적 고찰 / 이한주 2014  3972
    50 22 동물복지 유기동물 안락사의 윤리적 고찰과 사례를 통한 발전적 해결방안 / 박종무 2014  2684
    49 1 윤리학 생명윤리에 대한 형법적 보호의 범위와 한계 / 이석배 2008  1472
    48 20 죽음과 죽어감 Do Not Resuscitate (DNR)와 Advance Directives (AD)에 대한 환자 보호자와 의료인의 인식 / 이선라, 신동수, 최용준 2014  976
    47 18 인체실험 IRB 심의 운영에 대한 분석 : 2013년 세브란스병원 IRB 심의를 바탕으로 / 노양희 2015  730
    46 14 재생산 기술 치료 발전을 위한 인간복제배아 연구의 허용성 여부에 대한 검토 및 관련 생명윤리법 규정의 타당성 / 오정한 2013  687
    45 18 인체실험 미국 임상시험심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인증체계에 대한 연구 / 김수정 2007  636
    44 1 윤리학 개인정보 국외이전에 관한 법제 정비 방안/ 김유림 2019  626
    43 8 환자 의사 관계 형법상 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이얼 2013  585
    42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프라이버시 및 정보보호의 법적 근거 고찰 / 박지용 2012  575
    41 20 죽음과 죽어감 법정책학연구논문 ; 연명치료 중단 문제의 해결방안 / 조홍석 2015  560
    » 10 성/젠더 성인지적 관점에서 본 모성보호의 사회법적 한계 / 손미정 2014  548
    39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에서 취약한 피험자의 권리 / 김민우 2013  547
    38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연구와 중개연구에 있어서 연구대상자보호의 규제에 관한 고찰 / 박수헌 2014  534
    37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동의과정에서 피험자 보호 방안 / 이연진 2013  532
    36 18 인체실험 생명윤리원칙에 근거한 인간대상연구의 개인정보보호방안 모색 / 백소영 2016  527
    35 22 동물복지 관람에 이용되는 동물의 법적 보호에 관한 연구- 영국의 야생 동물 공연 금지 법안을 중심으로/정소영 2015  521
    34 8 환자 의사 관계 치위생학생의 윤리성향과 자아존중감이 환자 의료정보보호 인지에 미치는 영향 / 김영인 2014  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