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法學硏究 第54輯, 2014.6, 309-325 (17 pages)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3458192 

 

성인지적 관점에서 본 모성보호의 사회법적 한계

A Limitation by Social Law on the Protection of maternity in a Gender Perspective

 

  • 발행기관 : 한국법학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 등재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 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3458192
  •  

     

    목차

    국문요약
    Ⅰ. 들어가며
    Ⅱ. 모성보호에 관한 새로운 한계 설정의 필요성
    Ⅲ. 여성근로자 건강권의 의의 및 권리범위
    Ⅳ. 모성보호의 내용구성 및 한계
    Ⅴ. 마치며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여성근로자에 대한 건강보장은 국민으로서의 인간다운 생활권에 기인한 보편적 건강보장권 및 근로권의 측면에서 출발하여 남성근로자에 대별하는 국가의 여성근로에 대한 특별보호의무를 그 헌법적 근거로 하여 권리내용이 구체화 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장기화 되고 있는 경기불황과 일자리부족 등의 노동문제를 비롯하여 이와 더불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저출산․고령화 현상은 과거 산업부흥기로 대별되던 시기에 이루어져 온 사회법영역에 있어서의 여성근로자 보호 차원에서의 건강보장을 구성하는 단순 법리로 이에 대응하기에 적절하지 않다. 즉, 과거 사회법영역에서 규정되던 여성근로자의 건강보장이 남성에 대한 여성 보호의 필요성에 기인하여 그 보호법리가 구성되고 이를 근거로 하여 법의 내용을 규정하는데 치중하였다면, 현재는 노동현실의 변화에 따라 성인지적 관점에서 모성 보호의 구체적 한계를 설정하는데 그 역량이 발휘되어야 할 것이다. 여성근로자의 건강보장은 근로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여성근로자 개인의 건강보장의 의의 뿐만 아니라 모성기능의 발현을 통하여 건전하고 지속적인 세대유지를 도모하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의의를 동시에 가지므로 여성근로자에 대한 특별 보호는 곧 모성보호로 귀결되는데, 이러한 특별 보호는 그 구체적 권리내용의 범위를 설정함에 있어서 모성유지 및 모성발현에 대한 보호의 내용을 개별 보호영역의 세분화에 따라 구체적으로 규정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보호의 필요성에 근거한 입법은 자칫 보호의 과잉으로 이어져 역차별의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모성보호의 사회법적 한계는 여성근로자의 건강 보장을 위한 최대범위 설정의 기준이 근로관계에 있어서의 남녀평등대우의 원칙의 예외로서의 최소허용범위 기준과 대체로 일치되는 수준에서 설정되어야 한다. 즉, 모성보장권의 구체적 권리내용의 규정 시, i) 모성유지 및 모성발현 보호를 위한 건강보장수준이 어느 정도를 의미하는 것인지에 대한 명확한 기준설정이 어렵다는 점, ii) 여성근로자의 건강보장을 위한 조치가 곧 모성보호로 이어지는지에 대한 객관적 증명이 어렵다는 점, iii) 여성근로자의 건강한 상태를 유지·보호하기 위한 근로조건의 수준이 여성근로자 개인마다 다를 수 있다는 점 등의 입법과제를 인지하고 각각의 문제에 대한 해결에 관하여 여성 보호 필요성의 관점이 아닌 성인지적 한계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8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에 대한 윤리적 고찰 / 한민정 2008  4760
    47 12 낙태 임신중절의 핵심쟁점과 윤리적 논쟁들에 관한 연구 / 문수례 2007  4915
    46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의료영역에서 여성인권존중의 필요성 / 신옥주 2017  4975
    45 19 장기 조직 이식 간호대학생의 생존 시와 뇌사 시 장기기증 의도에 관한 구조모형/김은아외 2015  5054
    4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서비스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임봉자 2008  5260
    43 14 재생산 기술 인간 복제의 생명윤리학적 고찰 / 신혜정 2002  5391
    42 10 성/젠더 #미투(MeToo)운동을 통해 본 법과 현실의 괴리/ 이미경 2018  5903
    41 9 보건의료 The risks of risk aversion in drug regulation 2013  6004
    40 20 죽음과 죽어감 신생아의 안락사에 관한 연구 / 주호노 2008  6084
    39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 대한 간호사의 의사결정 분석 / 김현경 2002  6165
    3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와 좋은 죽음의 문제 / 김미혜 2019  6184
    37 9 보건의료 소아청소년 환자 진료에서의 윤리적 고려/박준동 2015  6542
    36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에 있어서 존엄사의 법제화와 향후과제 / 주호노 2013  6645
    35 5 과학 기술 사회 21세기 과학기술법의 과제 / 손경한, 박진아 2007  6795
    34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의료거부죄의 해석과 정책 / 이석배 2009  6812
    33 14 재생산 기술 가부장제와 한국의 저출산 문제 / 백수진 2009  6965
    3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기준과 절차 : 대법원 2009. 5. 21. 선고 2009다17417 판결이 가지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 이석배 2009  7189
    31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와 장기이식의 윤리적 문제에 관한 연구 / 이태관 2003  7227
    30 1 윤리학 개인정보, 가명정보, 익명정보에 관한 4개국 법제 비교분석 / 전승재, 권헌영 2018  7708
    29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윤리적 고찰 : 인간은 죽음을 선택할 권리가 있는가? / 박은숙 2011  80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