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보건의료생물자원 종합관리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등록일  2014.06.11

조회수  705

정보 안내 표
사업명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기금)
주관연구기관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발행년 2007
키워드 보건의료생물자원 미래의학
관련링크 http://report.ndsl.kr/repDetail.do?cn=TRKO200700008227

보건의료생물자원 종합관리방안 연구
Investigation of biological resource management for the benefit of all humankind 원문보기 로그인을 먼저 해주세요. 복사신청

보고서 상세정보
사업명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기금)
과제명 보건의료 생물자원 종합관리방안 연구
주관연구기관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
연구책임자 박춘식
참여연구원 한복기
보고서유형 최종보고서
발행국가 대한민국
언어 Korean
발행년월 2007-02
과제시작년도 2006
주관부처 보건복지부
사업 관리 기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과제고유번호 1460004311
과학기술표준분류 소프트웨어
키워드 보건의료생물자원 미래의학.

 

 

초록

 

각종 질환의 발병 예측, 조기진단으로부터 개개인에 맞는 맞춤 약물 및 재생 장기의 생산으로 이어지기 위하여 반드시 많은 임상시료 및 정보가 축적된 유전체 역학 코호트가 있어야만 함. 따라서, 이러한 연구들을 성공적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것이 보건의료 생명자원을 효과적으로 모으고 관리하는 것임. 본 정책연구에서는 인간 개개인에 따른 질환 정보, 생활 정보 약물 정보 등이 포함되어있는 생물자원을 "보건의료 생물자원"이라 칭하였으며 이와 같은 "보건의료 생물자원"이 관리 되고 있는 현재 국내의 상황을 정리하는 한편, 선진 각국의 사례를 벤치마킹함으로서 우리에게 가장 알맞은 관리체계를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또한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이용됨으로서 일차적으로는 국민 보건에 이바지 하고 더 나아가 이를 이용한 산업적인 유용도를 높일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였음.

 

 

목차

 

표지 ...1
제출문 ...3
보고서 요약서 ...4
요약문(한글) ...5
요약문(영문) ...6
순서 ...7
1. 총괄과제: 보건의료생물자원 종합관리방안 연구 ...8
목차 ...8
제 1 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9
1. 연구개발의 필요성...9
1.1 연구개발대상 기술의 경제적.산업적 중요성 및 연구개발의 필요성...11
1.2 연구개발대상 기술의 국내.외 현황...11
2.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12
2.1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및 성격...12
2.2 연차별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12
3. 연구개발의 추진전략방법 및 추진체계...14
3.1 연구개발의 추진전략 방법...14
3.2 연구개발 추진체계...15
3.3 구성도...15
제 2 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16
1. 국내.외 관련분야에 대한 기술개발현황...16
2. 연구결과가 국내.외 기술개발현황에서 차지하는 위치...16
제 3 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18
1.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 내용 및 결과...18
1.1 연구 배경과 연구 대상에 대안 정의...18
1.2 보건의료생물자원 관리방안...20
1.2.1 선진 사례에 대한 벤치마킹...20
1.2.2 국내 현황...24
1.2.3 종합적인 관리 방안...27
1) 국가적 차원의 보건의료 생물자원 관리의 필요성...27
2) 국가적 차원의 보건의료 생물자원 관리에 의한 기대효과...29
3) 국가차원에서 관리하여야 할 보건의료 생물자원의 범위 및 내용...31
4) 한국형 보건의료 생물자원 관리 방안의 제시...34
1.2.4 보건의료 생물자원 활용 활성화 방안...49
1.3 병원성미생물 연구자원 활용체계 구축 방안...56
1.3.1 해외현황...56
1.3.2 국내현황...58
1.3.3. 병원성미생물 자원의 관리 및 활용 방안...61
1.4 질병매개곤충자원 관리 체계...65
1.4.1 현황 및 문제점...65
1.4.2 매개곤충자원 확보 및 관리 체계...66
2.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67
제 4 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69
1. 총괄연구개발과제의 목표달성도...69
2. 연구개발결과의 파급효과...69
제 5 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70
1.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및 추가연구의 필요성...70
제 6 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70
제 7 장 참고문헌...70
제 8 장 첨부서류...70
제 1 세부과제 : 보건의료생물자원 지원방안 및 장기적인 활용계획 수립 연구...71
목차 ...72
1.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표 ...73
2.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 ...74
3.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 ...75
3.1 인체유래 보건의료생물자원 관리방안 ...75
3.1.1 선진 사례에 대한 벤치마킹 ...75
1) 주요 국가별 현황 ...75
2) 특징 및 시사점 ...80
3.1.2 국내 현황 ...82
3.1.3 종합적인 관리방안 ...85
1) 국가적 차원의 보건의료 생물자원 관리의 필요성 ...85
2) 국가적 차원의 보건의료 생물자원 관리에 의한 기대효과 ...87
3) 국가차원에서 관리하여야 할 보건의료 생물자원의 범위 및 내용 ...90
4) 한국형 보건의료 생물자원 관리 방안의 제시 ...92
3.1.4 인체 유래 보건의료 생물자원 활용 활성화 방안 ...98
3.2 병원성 미생물 연구자원 활용체계 구축 방안 ...104
3.2.1 해외 현황 ...104
3.2.2 국내 현황 ...105
3.2.3 병원성 미생물 자원의 관리 및 활용 방안 ...108
3.3 질병매개곤충자원 관리 체계 ...112
3.3.1 현황 및 문제점 ...112
3.3.2 매개곤충자원 확보 및 관리 체계 ...113
4.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114
5. 제1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표달성도 ...115
6. 참고문헌 ...115
제 2 세부과제 : 보건의료생물자원 정보종합화 및 관리체계 연구...116
목차 ...117
1.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표 ...118
2.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연구대상 및 방법 ...119
3.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최종 연구개발결과 ...121
3.1 보건의료생물자원 수집, 저장 및 보존 표준화 방안 ...121
3.1.1 국내 현황 및 문제점 ...121
3.1.2 자원의 수집, 보존 및 저장 절차에 관한 문제점 ...127
3.1.3 수집 및 보존에 관한 표준화 지침 ...128
3.1.4 수집 및 보존 표준화를 위한 사업 제안 ...134
3.2 보건의료생물자원 분양 및 운영 활성화 방안 ...137
3.2.1 국내 자원 분양에 관한 분석 ...137
3.2.2 자원분양에 관한 일반 지침 ...137
3.2.3 자원분양 및 생물자원은행 활성화 방안 제안 ...139
3.3 보건의료생물자원 네트워크화 방안 ...142
3.3.1 국내 각 기관별 데이터보유 현황 ...142
3.3.2 네트워크화 방안제시 ...144
3.3.3 데이터베이스구축 및 정보 네트워크 관리 방안 ...148
3.4 병원성미생물 자원의 수집, 보존 및 분양 현황 ...151
3.4.1 국내 현황 ...151
3.4.2 국내 병원성 미생물 자원 관리의 문제점 ...161
3.4.3 수집, 보존 및 분양 표준화 사업 및 방안 제안 ...162
3.4.4 병원성미생물 자원의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화 방안 ...166
4. 제2세부 연구개발 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167
5. 제2세부연구개발과제의 목표달성도 ...168
6. 참고문헌 ...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