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16 no.3 
관련링크 : http://ocean.kisti.re.kr/IS_mvpopo001P.d...&free= 

한국인의 전통 죽음관 /권복규

Koreans' Traditional View on Death

 

22784_한국인의전통죽음관_권복규.pdf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v.16 no.3, 2013년, pp.155-165

 

초록

 

한국인의 전통적 죽음관은 유교, 불교, 도교, 그리고 샤머니즘의 깊은 영향을 받았다. 유교에서는 죽음이 모든 생명이 겪는 자연스러운 운명이며, 죽음을 고민하기보다는 현세의 삶에 충실할 것을, 도교에서는 삶과 죽음이 크게 다르지 않으니 자연에 순응하여 살아갈 것을, 그리고 불교에서는 삶과 죽음이 모두 허상임을 깨달으면 궁극적인 진리에 도달하여 죽음을 극복할 수 있다는 가르침을 배웠다. 이러한 사상들은 한민족 고유의 샤머니즘과 결합하여 현세를 중시하지만 사후세계와 윤회전생을 믿는 태도를 낳기도 하였다. 이러한 모습들은 역사를 통해서 매우 다양한 내러티브들로 나타나며 현대 한국인들이 죽음을 맞는 모습에도 여전히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8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에 대한 윤리적 고찰 / 한민정 2008  4760
47 12 낙태 임신중절의 핵심쟁점과 윤리적 논쟁들에 관한 연구 / 문수례 2007  4915
46 5 과학 기술 사회 생명의료영역에서 여성인권존중의 필요성 / 신옥주 2017  4975
45 19 장기 조직 이식 간호대학생의 생존 시와 뇌사 시 장기기증 의도에 관한 구조모형/김은아외 2015  5054
4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서비스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임봉자 2008  5260
43 14 재생산 기술 인간 복제의 생명윤리학적 고찰 / 신혜정 2002  5391
42 10 성/젠더 #미투(MeToo)운동을 통해 본 법과 현실의 괴리/ 이미경 2018  5903
41 9 보건의료 The risks of risk aversion in drug regulation 2013  6004
40 20 죽음과 죽어감 신생아의 안락사에 관한 연구 / 주호노 2008  6084
39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 대한 간호사의 의사결정 분석 / 김현경 2002  6165
38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와 좋은 죽음의 문제 / 김미혜 2019  6184
37 9 보건의료 소아청소년 환자 진료에서의 윤리적 고려/박준동 2015  6542
36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에 있어서 존엄사의 법제화와 향후과제 / 주호노 2013  6645
35 5 과학 기술 사회 21세기 과학기술법의 과제 / 손경한, 박진아 2007  6795
34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의료거부죄의 해석과 정책 / 이석배 2009  6815
33 14 재생산 기술 가부장제와 한국의 저출산 문제 / 백수진 2009  6965
3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기준과 절차 : 대법원 2009. 5. 21. 선고 2009다17417 판결이 가지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 이석배 2009  7189
31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와 장기이식의 윤리적 문제에 관한 연구 / 이태관 2003  7227
30 1 윤리학 개인정보, 가명정보, 익명정보에 관한 4개국 법제 비교분석 / 전승재, 권헌영 2018  7708
29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윤리적 고찰 : 인간은 죽음을 선택할 권리가 있는가? / 박은숙 2011  80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