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생명윤리와 연구윤리 / 최경석

2 생명윤리 조회 수 566 추천 수 0 2014.05.29 16:45:33
발행년 : 200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사고와표현 (제2집 1호)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1049638 

 

관련 논문을 소개합니다. 해당 자료의 원문을 원하실 경우 도서관으로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생명윤리와 연구윤리 / 최경석

 

 

 

  • 발행기관 : 한국사고와표현학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 PDF
  •  

     

    목차

    1. 생명과학과 연구자의 인테그러티
    2. 생명윤리와 연구윤리
    3. 연구윤리의 주요 교육 내용
    4. 생명윤리 및 연구윤리 관련 제도적 측면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생명윤리”는 학제적 연구영역으로서의 생명윤리학과 전문직 윤리로서의 생명윤리란 이중적 의미를 지닌다. 연구윤리는 책임 있는 연구자가 지녀야 할 윤리원칙이나 행동양식으로서 연구 수행전반에 대한 전문직 윤리를 의미한다. 생명윤리와 연구윤리는 각각 독자적인 연구 영역과 교육 내용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피험자 보호의 문제는 생명윤리와 연구윤리의 공통된 관심 영역이다.
    생명윤리는 치료거부의 문제, 안락사, 임신중절, 죽음의 기준 문제, 장기이식, 인간대상연구, 배아 및 줄기세포연구, 보조생식술, 유전공학과 유전자 검사, 진단 및 치료, 의료자원의 분배 문제 등을 다룬다. 연구윤리는 데이터의 획득, 관리, 공유, 소유권, 동료심의, 위조, 변조 및 표절의 문제, 제보 처리 및 조사, 연구책임자와 연구원, 연구보조원과의 관계, 공동 연구의 문제, 이해관계의 갈등, 피험자 보호, 제보자 보호, 저자 자격 부여 및 출판 문제, 재정 문제, 연구의 안전성과 연구자의 사회에 대한 책임 문제를 다룬다. 연구의 진실성 확보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것은 연구부정행위를 방지하는 것이다. 연구부정행위에는 위조, 변조, 표절이 있다.
    우리나라는 피험자 보호란 생명윤리 문제와 관련하여, 임상시험은 〈의약품임 상시험관리기준〉의 규율을 받고 있고, 배아의 생명 및 연구, 체세포복제배아연구, 줄기세포연구, 유전자 검사, 연구 및 치료와 유전자은행은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규율을 받고 있다. 이 법률은 인체유래물에 대한 연구를 규율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비침습적인 인간대상연구에 대한 법령을 갖고 있지 않다.
    연구윤리 중 연구부정행위와 관련하여,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지침〉이란 훈령이 있다. 이 훈령에 따라 연구부정행위에 대한 제보 시 이를 조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연구진실성위원회가 일선 연구기관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 훈령은 모든 연구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라는 한계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8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과 가톨릭 교회 / 이동익 2018  36
    27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소송상 환자보호를 위한 방안의 검토 : 입증부담의 경감방안 및 적극적 위자료 인정의 필요성을 중심으로 / 한태일 2017  36
    26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에 대한 주요국의 대응전략 및 한국의 정치발전을 위한 제언 / 박종선 2017  36
    25 1 윤리학 국가정책과 법이 양심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유혜숙 2017  36
    24 15 유전학 유전자교정과 인간유전체 연구의 개념적 구별과 최근동향 / 김형래 2016  36
    23 19 장기 조직 이식 Iran's Experience on Living and Brain-Dead Organ Donation: A Critical Review / Aramesh, Kiarash 2016  36
    22 19 장기 조직 이식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in Germany / Breidenbach, Thomas 2016  36
    21 19 장기 조직 이식 Saving Lives with Assisted Suicide and Euthanasia: Organ Donation After Assisted Dying / Shaw, David M. 2015  36
    20 5 과학 기술 사회 [제402회 과학기술정책포럼] 미래사회 변화를 선도할 핵심기술 / 이세민 2016  36
    19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연구 : 성년후견제도를 중심으로 / 최창익 2015  35
    18 20 죽음과 죽어감 재가 및 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경험 및 선호도 / 박재원 2013  35
    17 8 환자 의사 관계 개정된 의료분쟁조정법 하위법령에 대한 고찰 / 김필수 2017  35
    16 9 보건의료 의료기술평가 기반으로서의 데이터 연계 / 박종연 2018  34
    15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 데이터 허브 구축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향 / 이규철 2018  34
    14 9 보건의료 심사체계 개편 방향성 / 윤석준 2018  34
    13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의 날을 보내며 / 이동우 2018  34
    12 9 보건의료 정부의 통합형 만성질환 관리 사업에 대한 제언 / 김종웅 2018  34
    11 9 보건의료 의료분쟁조정절차의 개시요건에 관한 연구 / 고형석 2018  34
    10 15 유전학 Disabled by Design: Justifying and Limiting Parental Authority to Choose Future Children with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 Stramondo, Joseph 2017  34
    9 9 보건의료 What Makes Health Care Special? An Argument for Health Care Insurance / Horne, L. Chad 2017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