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과 정책연구 Vol.13 No.4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884561 

 

 
인체 유래물 등과 역학정보의 폐기
 = Disposal of Human Biological Materials and Epidemiological Data
 
 


저자명 : 정규원 ( Kyu Won Jung ) ,김수영 ( Su Young Kim )
학술지명 : 법과 정책연구
권호사항 : Vol.13 No.4 [2013]
발행처 : 한국법정책학회
자료유형 : 학술저널
수록면 : 1901-1921(21쪽)
언어 : Korean [※ 본문의 언어가 다를 수 있으니 미리보기를 확인해 주십시오]
발행년도 : 2013년
등재정보 : KCI등재
주제어 : 인체유래물 ,인체유래물은행 ,동의철회 ,연구대상자의 동의 ,의생명과학연구 ,Human Biological Material ,Biobank ,Withdrawal of Consent ,Informed Consent ,Biomedical Research
판매처 : 한국학술정보 한국학술정보 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초록
의료행위나 의생명과학연구에 있어서 자율성 존중의 원칙은 환자나 피험자의 동의를 통해 실현되며 동의의 취득뿐 아니라 철회까지 연결된다. 동의 철회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를 연구자 입장에서 보면 연구중단. 변경과 같은 상황을 발생시켜 연구를 매우 불안한 상황에 놓이게 할 것이며, 연구자의 자유는 환자 혹은 피험자의 자기결정권 존중과 충돌되게 될 것이다. 특히, 대량의 인체유래물과 역학정보를 인체유래물은행에 보관. 관리하는 인간유전학연구는 개인이 아닌 집단의 특성을 다룰 수 있으므로, 한 개인이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의 범위가 문제시 된다. 인체유래물과 역학정보에 대한 폐기요청의 이론적 근거는 자율성 존중의 원칙과 사생활 비밀 보호이다. 인간은 누구나 자신의 삶과 신체의 처분에 대하여 스스로 결정할 권리를 가지게 되고 법적으로는 자기결정권이라는 권리로 연결된다. 인체유래물과 역학정보는 자기결정권이 인정되는 대상이며 동의가 필요하듯 폐기의 요구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개인의 정보에 대해서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비밀이 보장되어야 하며 이 두 가지 이론적 근거는 <생명윤리및안전에관한법률>과 <개인정보보호법>에서 규정하고 있다. 뉘른베르크 코드에서도 연구에서 이탈할 수 있는 권리에 대해 규정하였고, 오늘날 연구윤리에서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연구로부터 이탈함에 따라 제공되었던 인체유래물과 역학정보의 폐기의 범위 및 그 기준을 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며 이를 법적으로 규율하는 것은 더욱 그러할 것이다. 어느 정도의 법적 규율이 적절한지 또 어떠한 방식으로 규율 할 것인지는 의생명과학의 실제 수행과정과 그 특성에 대한 이해 없이는 판단이 쉽지 않고 생명과학연구가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하며 어느 방향으로 진행될지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법적 규율의 어려움은 더할 것이다. 자기 결정권의 존중과 사생활 비밀을 보호 그리고 연구 진행의 이익을 모두 고려되어야 하고 경우에 따라 인체유래물과 역학정보의 폐기권은 제한 될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법적 규율 또한 변화하는 의생명과학연구의 현장을 충분히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7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생명연장치료 중단에 관한 법 윤리적 고찰 : 법원의 존엄사 판결에 대한 비판적 성찰 / 김학태 2009  11067
26 1 윤리학 일본형법상 성범죄 관련 규정의 개정내용 검토 / 홍태석 2018  11127
25 1 윤리학 독일의 출생신고 법제에 관한 소고 / 한명진 2019  11781
24 18 인체실험 의약품 안정성 시험의 통계적 고찰 / 전정우 2009  11936
23 9 보건의료 3D 프린터를 이용한 맞춤형 의료기기의 제조 및 품질관리 기법/송유빈 2016  12996
22 20 죽음과 죽어감 마약성 진통제 사용과 부신기능부전 / 정지훈, 최윤선, 김정은, 김이연 2014  14318
21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제도의 현황 및 개선방안 / 신진경 2007  15310
20 22 동물복지 대체 시험법을 활용한 줄기세포 화장품의 자극성 평가 / 오한슬 외 2016  15341
19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요인 / 박성준 2019  16016
18 14 재생산 기술 미토콘드리아DNA 대체요법의 법적 고찰 -세칭 “세 부모 아이” 체외수정시술의 규제현황과 향후 임상적용의 규제방향- / 이민규 외 2017  16750
17 9 보건의료 119 구급대 이용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 배현아, 유지영, 어은경, 정구영 2004  16899
16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신장 공여자의 공여 후 적응 경험 / 강다해솜 외 2016  18232
15 4 보건의료 철학 임상시험 코디네이터로 근무하는 간호사의 근무환경, 직무만족, 조직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김슬기 2018  18489
14 20 죽음과 죽어감 영화 「씨 인사이드(2004. 스페인)」와 「아무르(2012.프랑스, 오스트리아, 독일 합작)」 그리고 「행복한 엠마, 행복한 돼지 그리고 남자(2006.독일)」에 나타난 죽음의 문제-안락사 및 존엄사의 역사 및 시대적 배경을 중심으로 / 전경화 2016  18718
13 12 낙태 낙태죄의 현실적응력 : 의사의 면허와 관련하여 / 김혜경 2007  19061
12 8 환자 의사 관계 독일의 환자사전의사표시법 / 이석배 2010  19874
11 12 낙태 미국에서의 낙태 규범과 범죄와의 상관관계 분석연구에 대한 고찰 / 이인영 2012  20336
10 18 인체실험 일본의 「임상연구법」이 한국의 관련 규제에 주는 시사점 / 김보배 2018  22160
9 9 보건의료 임종간호수행 요양병원간호사의 소진 구조 모형 / 김원순 2017  22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