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215138 
원격의료의 규제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Regulation Status and Improvement Method of Telemedicine - Focusing on User Perception Survey -
  • 저자[authors] 김홍광(金弘光),이미숙(李美淑)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2No.1[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지역정보화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7-51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descriptor] 정보통신기술,원격의료,규제,개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telemedicine,regulation,improvement

국문 초록[abstracts] 최근 산업 전반에서 대두되고 있는 ICT 기반의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의료부문에서도 ICT 기술의 활용과 적용이 이슈가 되면서 원격의료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원격의료의 사회적 편익에도 불구하고 현재 원격의료는 대부분 시범사업이나 일부 제한된 범위에서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원격의료의 적용을 제한하는 규제 현황을 살펴보고 사용자 인식조사와 전문가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원격의료 규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분석결과, 원격의료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고 원격의료활용이 유익하다고 인지하고 원격의료에 대한 전망이 긍정적일수록 원격의료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격의료의 활용이 유익하다고 생각할수록 원격의료를 이용할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담 및 건강관리를 위한 원격의료의 수요가 매우 높았으므로, 향후 원격의료의 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원격의료의 적용범위를 명확히 해야 하고 원격모니터링 관련 규제 개선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As the use and application of ICT technology became an issue in the medical sector, discussion regarding telemedicine is actively being done due to the ICT-base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at has emerged throughout the industry in recent years. However, in spite of the social benefits of telemedicine, telemedicine is currently operating only in pilot projects or limited ar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gulations that restrict the application of telemedicine and to suggest methods to improve telemedicin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user perspective survey and expert interview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ven though the recognition of telemedicine was high, the utilization of telemedicine was perceived as beneficial, and the prospect of telemedicine was considered positive, it was judged that further introduction of telemedicine was needed. Also, the more the use of telemedicine was perceived as beneficial, the more likely someone was to use telemedicine. Therefore, in order to stimulate the use of telemedicin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applicable scope of telemedicine and to improve regulation of telemonitoring.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 조사 설계  Ⅳ. 원격의료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  Ⅴ. 원격의료 규제에 대한 의견조사 및 개선사항 도출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4428 14 재생산 기술 원치 않은 아이에 따른 손해배상에 관한 연구 : 원치 않은 임신, 원치 않은 출산, 원치 않은 삶 / 이은영 2009  1146
4427 20 죽음과 죽어감 소극적 안락사 혹은 연명치료중단의 정당화 근거에 관한 고찰 / 손미숙 2014  1137
4426 15 유전학 형사법상 유전자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연구 / 김낙현 2013  1137
4425 9 보건의료 의료급여환자의 의료이용행태에 관한 질적 분석 / 박영희, 이용재 2017  1134
4424 24 기타 나고야 의정서 발효와 산업계 영향/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2015  1130
4423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와 윤리적 가치관 / 문정란 2013  1124
4422 20 죽음과 죽어감 청소년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 박현정 2016  1120
4421 2 생명윤리 간호과와 비 간호과 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비교 / 조미경 2013  1120
4420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 기술의 메타모포시스 / 김광연 2019  1118
4419 1 윤리학 프랑스의 사생활 보호권과 개인정보보호 /전학선 2018  1114
4418 9 보건의료 mHealth 도입요인의 우선순위 분석에 관한 연구 -국내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 강신영, 오재인 2019  1109
4417 13 인구 여성 저출산의 실태 및 원인분석 : 여성 저출산의 실태 및 원인분석 / 원정원 2004  1109
4416 2 생명윤리 현대 의학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연구 / 김정진 2006  1105
4415 14 재생산 기술 CRISPR 유전자 가위를 통한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에 대한 인격주의 생명윤리적 고찰 / 손정우 2019  1101
4414 9 보건의료 의료민영화가 의료서비스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 박기종 2017  1101
4413 17 신경과학 범죄인의 신경생물학적 기능손상과 교정치료/ 이명숙 2019  1097
4412 18 인체실험 IRB 심사 통과를 위한 효율적인 연구계획서 작성법 / 홍정화 2012  1097
4411 18 인체실험 인체 유래물 등과 역학정보의 폐기 / 정규원, 김수영 2013  1097
4410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의 권리 / 이창민 2016  1087
4409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준비프로그램이 포함된 호스피스 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죽음인식, 죽음태도와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효과 / 함미영 외 2017  1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