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공안행정학회보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118468 
청소년 폭력과 인지행동치료에  대한 뇌신경과학적 고찰 
= A Neuroscientific Perspective on Youth Violence and  Cognitive-Behavioral Therapy

  • 저자[authors] 권해수,윤일홍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공안행정학회보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8No.1[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공안행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45-7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국문 초록[abstracts] 
최근 20여 년 동안 서구 범죄학자들은 유전학, 뇌과학, 생물학 등의 생명과학적 지식을 폭력행위의 설명에 적극 도입하고 있다. 폭력행위는 생명체인 사람의 행위다. 따라서 생명체를 구성하는 유전자, 뇌, 호르몬 등 생명과학적 변인들을 무시한 채 폭력행위를 완벽하게 설명한다는 것은 사실 불가능하다. 이논문에서는 뇌신경과학적 설명 중 특히 시냅스와 신경회로의 개념을 중심으로폭력발현 메커니즘에 대해 소개하였다. 또한 폭력재범 예방 프로그램 중 가장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진 인지행동치료가 폭력 감소의 결과를 가져오는 뇌신경과학적 메카니즘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폭력의 발현에 관한 뇌신경과학적 지식이 제시하는 정책적 함의에 대해 소개하였다.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During the past 20 years, a cadre of western criminologists has actively been incorporating advanced knowledge in areas of genetics, brain science, and biology in their attempts to explain the causal mechanisms underlying aggression and violence. Human aggressive behaviors are performed by human beings, which are undoubtedly living organisms. It is thus impossible to fully explain human aggression without taking into account biological variables such as genes, the brain, and hormones. In the present article, the authors present neuroscientific explications of youth violence particularly focusing on synapses and neural pathways. In addition, it is well-known that cognitive-behavioral therapy, among others, is most effective in preventing violence. Thus, we also introduce recent findings on the neuroscientific mechanisms by which cognitive behavioral therapies bring about a reduction of violence. The authors further discuss the policy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knowledge base of recent neuroscience on human aggressio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647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제도의 현황 및 개선방안 / 신진경 2007  15310
4646 20 죽음과 죽어감 마약성 진통제 사용과 부신기능부전 / 정지훈, 최윤선, 김정은, 김이연 2014  14318
4645 9 보건의료 3D 프린터를 이용한 맞춤형 의료기기의 제조 및 품질관리 기법/송유빈 2016  12996
4644 18 인체실험 의약품 안정성 시험의 통계적 고찰 / 전정우 2009  11936
4643 1 윤리학 독일의 출생신고 법제에 관한 소고 / 한명진 2019  11781
4642 1 윤리학 일본형법상 성범죄 관련 규정의 개정내용 검토 / 홍태석 2018  11127
4641 20 죽음과 죽어감 무의미한 생명연장치료 중단에 관한 법 윤리적 고찰 : 법원의 존엄사 판결에 대한 비판적 성찰 / 김학태 2009  11067
4640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의 윤리적 고찰 : 인간은 죽음을 선택할 권리가 있는가? / 박은숙 2011  8036
4639 1 윤리학 개인정보, 가명정보, 익명정보에 관한 4개국 법제 비교분석 / 전승재, 권헌영 2018  7708
4638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와 장기이식의 윤리적 문제에 관한 연구 / 이태관 2003  7224
463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의 기준과 절차 : 대법원 2009. 5. 21. 선고 2009다17417 판결이 가지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 이석배 2009  7185
4636 14 재생산 기술 가부장제와 한국의 저출산 문제 / 백수진 2009  6965
4635 5 과학 기술 사회 21세기 과학기술법의 과제 / 손경한, 박진아 2007  6795
4634 8 환자 의사 관계 응급의료거부죄의 해석과 정책 / 이석배 2009  6726
4633 20 죽음과 죽어감 독일에 있어서 존엄사의 법제화와 향후과제 / 주호노 2013  6645
4632 9 보건의료 소아청소년 환자 진료에서의 윤리적 고려/박준동 2015  6541
4631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윤리적 딜레마 사례에 대한 간호사의 의사결정 분석 / 김현경 2002  6158
4630 20 죽음과 죽어감 안락사와 좋은 죽음의 문제 / 김미혜 2019  6123
4629 20 죽음과 죽어감 신생아의 안락사에 관한 연구 / 주호노 2008  60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