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교정담론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173314 
범죄인의 신경생물학적 기능손상과 교정치료.
= Neuro-biological defects and Correctional therapy for Criminals

  • 저자[authors] 이명숙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교정담론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3No.1[2019]
  • 발행처[publisher] 아시아교정포럼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73-9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국문 초록[abstracts] 
신경적 장애를 갖고 있거나 뇌기능 손상을 입은 개인들은 극단적인 문제들을 내포하고 있으며 특히 폭력적 범죄에 취약하다. 범죄인의 정신적 이상성에 관하여 종래에는 심리학적 ․ 정신의학적 관점이 주를 이루어 왔지만, 최근에는 신경생물학적 지식이 범죄 및 교정 치료에 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형사사법 분야에서 치료적 사법이념을 우선적으로 적용하여야 할 영역은 아동학대, 가정폭력, 성범죄, 약물중독, 소년비행 등이다.  신경생물학적 요인과 반사회적 행동간 관련성에 관한 연구들은 뇌의 전두엽, 변연계, 편도체 등 뇌의 구조적 이상에 초점을 맞춘 이론들과, 호르몬, 신경전달물질 등 내분비 이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전전두피질(prefrontal cortex)은 공격적 감정을 조절하거나 억제하는데, 이 부위에 결함이 있는 경우에는 분노 등 정서를 발생시키는 변연계의 활성을 억제하기 어려워 공격성이나 충동성이 높아지고, 사회적·도덕적 행동 및 의사결정기능에도 손상이 생긴다.  변연계의 일부인 해마(hippocampus)도 공격성과 충동성의 조절 및 처벌에 대한 예측에 관여한다. 해마에 이상이 생기면 사회적 상황의 애매모호한 자극을 잘못 인식하여 폭력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스테로이드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과 코르티졸이 공격성에 관여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 두 호르몬들간의 상호작용이 공격적 행동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조절기능을 한다. 테스토스테론과 공격성간의 연관성이 전전두엽의 기능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세로토닌 또한 인간의 충동성과 공격성, 행위중독 등의 시작과 중단을 조절하는 능력과 연관이 있다. ‘3중 불균형 가설’은 공격성 표출에 관여되는 세가지 물질인 테스토스테론, 코르티졸, 세로토닌간에 불균형이 생기면 공격성이 나타난다고 본다. 즉, 테스토스테론 호르몬은 높은데 비해 코르티졸 호르몬과 세로토닌 수준이 낮은 사람은 약한 자극에도 쉽사리 분노를 폭발시킨다.  청소년기 비행문제나 성인범의 범죄원인을 신경과학의 미세한 수준에서 이해하는 것은 아직 초기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향후 교정심리치료 연구에서 나아가야 할 방향은 특정한 심리치료방식을 통해 즉각적인 외현적 행동상 변화만 평가할 것이 아니라, 그러한 행동변화를 이끌어내는 병리생리학적 기제를 밝히는 수준까지 나아가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Individuals who have neurological defects or brain damage show extreme behavioral problems, especially violent crime. To understand criminals’ mental abnormality, traditional perspective has been based on psychological and psychiatric background. However, recent neuro-biological knowledge leads to new direction for correctional treatments.  Crimes, such as child abuse, family violence, sex crime, drug abuse, juvenile deliquence, are the principal area needing therapeutic jurisprudence.  Neuro-biological research focusing biological factors and antisocial behaviors, report criminal outcomes of brain abnormality and endocrine abnormality. Major findings of brain abnormality come from pre-frontal lobe, amygdala, and limbic system. Criminal’s major endocrine abnomality have been reported on testosterone, cortisol, serotonin, and dopamin. As a prominent finding on human aggression, Triple Imbalance Hypothesis explains the reciprocal relationship among three endocrine imbalance, testosterone, cortisol, and serotonin.  Nevertheless, the neurological findings about the causes of delinquence and violent crimes now is on starting point. Future  correctional psychological studies have to intereste on not only overt behavioral effect but also latent physio-psychological mechanism under the behavioral changes through therapeutic treatmen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448 2 생명윤리 미국 터스키기 매독연구의 생명윤리 논란과 그 영향/서이종 2009  1185
444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중단의 형법이론적 근거 / 손미숙 2016  1185
4446 19 장기 조직 이식 생존간기증: 내과 의사의 견해 / 신동현 2016  1180
4445 5 과학 기술 사회 AI시대의 정신과학적 통합심신치유/ 조효남 2019  1177
4444 9 보건의료 신종인수공통전염병의 출현 전망과 대응 전략 / 김우주 2016  1174
4443 18 인체실험 물리적 인장 자극에 의한 줄기세포의 분화에 동반되는 미토콘드리아의 특성 변화에 관한 고찰 / 신지원 외 2015  1172
4442 2 생명윤리 노인의료복지시설 간호사를 위한 PBL 문제개발 및 평가 : 윤리적 딜레마상황을 중심으로 / 김은정 2008  1170
4441 15 유전학 人體(인체)와 그 부분의 私法的(사법적) 地位(지위) -대법원 2008.11.20. 선고 2007다27670 판결 평석을 겸하여 / 성중모 2013  1167
4440 14 재생산 기술 난임 여성의 정신적 고통에 관한 연구 / 박춘선 2013  1165
4439 9 보건의료 국내 제약 기업 신약 파이프라인의 임상시험 단계별 개발 기간 분석 / 김잔디 2018  1155
4438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의 형법적 규제에 관한 연구-「생명윤리및안전에관한법률」(2005. 1. 1.)을 중심으로 / 김진희 2005  1154
4437 13 인구 저출산. 고령화 사회 대비 미래 교육 / 김지혜 2008  1152
4436 15 유전학 독일에서의 유전자정보 활용에 관한 입법 동향 및 최근의 논의 · 그 시사점 : 유전자정보 활용 대상범위의 측면에서 / 이정념 2014  1150
4435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조명 / 김평관 2005  1150
4434 9 보건의료 의약품 중 금속불순물 관리의 국제조화 : ICH Q3D 가이드라인 / 김은경 2015  1149
4433 1 윤리학 트랜스휴머니즘의 윤리적 고찰 : 한스 요나스의 책임윤리를 중심으로 / 김명은 2018  1145
4432 9 보건의료 알츠하이머 치매 약물치료의 현황과 미래 / 김성윤 2018  1144
4431 2 생명윤리 현행 고등학교 생물 교과서 내 생명윤리 관련 주제 분석과 고등학생들의 생명윤리에 대한 인식 / 김현우 2001  1142
4430 14 재생산 기술 원치 않은 아이에 따른 손해배상에 관한 연구 : 원치 않은 임신, 원치 않은 출산, 원치 않은 삶 / 이은영 2009  1142
4429 20 죽음과 죽어감 김 할머니 사건에 대한 대법원 판결의 논거 분석과 비판 / 최경석 2014  1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