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교정담론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173314 
범죄인의 신경생물학적 기능손상과 교정치료.
= Neuro-biological defects and Correctional therapy for Criminals

  • 저자[authors] 이명숙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교정담론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3No.1[2019]
  • 발행처[publisher] 아시아교정포럼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73-9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국문 초록[abstracts] 
신경적 장애를 갖고 있거나 뇌기능 손상을 입은 개인들은 극단적인 문제들을 내포하고 있으며 특히 폭력적 범죄에 취약하다. 범죄인의 정신적 이상성에 관하여 종래에는 심리학적 ․ 정신의학적 관점이 주를 이루어 왔지만, 최근에는 신경생물학적 지식이 범죄 및 교정 치료에 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형사사법 분야에서 치료적 사법이념을 우선적으로 적용하여야 할 영역은 아동학대, 가정폭력, 성범죄, 약물중독, 소년비행 등이다.  신경생물학적 요인과 반사회적 행동간 관련성에 관한 연구들은 뇌의 전두엽, 변연계, 편도체 등 뇌의 구조적 이상에 초점을 맞춘 이론들과, 호르몬, 신경전달물질 등 내분비 이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전전두피질(prefrontal cortex)은 공격적 감정을 조절하거나 억제하는데, 이 부위에 결함이 있는 경우에는 분노 등 정서를 발생시키는 변연계의 활성을 억제하기 어려워 공격성이나 충동성이 높아지고, 사회적·도덕적 행동 및 의사결정기능에도 손상이 생긴다.  변연계의 일부인 해마(hippocampus)도 공격성과 충동성의 조절 및 처벌에 대한 예측에 관여한다. 해마에 이상이 생기면 사회적 상황의 애매모호한 자극을 잘못 인식하여 폭력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스테로이드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과 코르티졸이 공격성에 관여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 두 호르몬들간의 상호작용이 공격적 행동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조절기능을 한다. 테스토스테론과 공격성간의 연관성이 전전두엽의 기능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세로토닌 또한 인간의 충동성과 공격성, 행위중독 등의 시작과 중단을 조절하는 능력과 연관이 있다. ‘3중 불균형 가설’은 공격성 표출에 관여되는 세가지 물질인 테스토스테론, 코르티졸, 세로토닌간에 불균형이 생기면 공격성이 나타난다고 본다. 즉, 테스토스테론 호르몬은 높은데 비해 코르티졸 호르몬과 세로토닌 수준이 낮은 사람은 약한 자극에도 쉽사리 분노를 폭발시킨다.  청소년기 비행문제나 성인범의 범죄원인을 신경과학의 미세한 수준에서 이해하는 것은 아직 초기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향후 교정심리치료 연구에서 나아가야 할 방향은 특정한 심리치료방식을 통해 즉각적인 외현적 행동상 변화만 평가할 것이 아니라, 그러한 행동변화를 이끌어내는 병리생리학적 기제를 밝히는 수준까지 나아가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Individuals who have neurological defects or brain damage show extreme behavioral problems, especially violent crime. To understand criminals’ mental abnormality, traditional perspective has been based on psychological and psychiatric background. However, recent neuro-biological knowledge leads to new direction for correctional treatments.  Crimes, such as child abuse, family violence, sex crime, drug abuse, juvenile deliquence, are the principal area needing therapeutic jurisprudence.  Neuro-biological research focusing biological factors and antisocial behaviors, report criminal outcomes of brain abnormality and endocrine abnormality. Major findings of brain abnormality come from pre-frontal lobe, amygdala, and limbic system. Criminal’s major endocrine abnomality have been reported on testosterone, cortisol, serotonin, and dopamin. As a prominent finding on human aggression, Triple Imbalance Hypothesis explains the reciprocal relationship among three endocrine imbalance, testosterone, cortisol, and serotonin.  Nevertheless, the neurological findings about the causes of delinquence and violent crimes now is on starting point. Future  correctional psychological studies have to intereste on not only overt behavioral effect but also latent physio-psychological mechanism under the behavioral changes through therapeutic treatmen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268 9 보건의료 사용자의 의료정보 전달력을 향상시킨 국민건강검진 결과지 디자인 개선 / 김예림 외 2018  1042
267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대한 기독교적 입장 및 대안 / 박상중 2003  1045
266 20 죽음과 죽어감 사별가족의 슬픔 적응 경험 : 지역사회 호스피스 간호를 받은 가족을 중심으로 / 두현정 2008  1056
265 10 성/젠더 젠더-거버넌스(Gender-Governance) 관점에서 모자보건법의 문제점과 합리화 방안에 관한 고찰 / 전수영 2014  1060
264 9 보건의료 DNR에 대한 응급의료종사자들의 인식과 윤리적 태도 / 박학영 2010  1060
263 5 과학 기술 사회 특허분석을 통한 인공지능 기술분야의 연구동향 / 노승민 2017  1062
262 1 윤리학 ‘의료화’에서 ‘생의료화’로 : 정신장애의 사례 / 김환석 2014  1065
261 14 재생산 기술 CRISPR 유전자 가위를 통한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에 대한 인격주의 생명윤리적 고찰 / 손정우 2019  1067
260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 찬반론에 대한 고찰 / 구인회 2003  1075
259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준비프로그램이 포함된 호스피스 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죽음인식, 죽음태도와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효과 / 함미영 외 2017  1078
258 5 과학 기술 사회 로봇의 권리 / 이창민 2016  1084
257 9 보건의료 의료민영화가 의료서비스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 박기종 2017  1090
» 17 신경과학 범죄인의 신경생물학적 기능손상과 교정치료/ 이명숙 2019  1094
255 18 인체실험 인체 유래물 등과 역학정보의 폐기 / 정규원, 김수영 2013  1097
254 18 인체실험 IRB 심사 통과를 위한 효율적인 연구계획서 작성법 / 홍정화 2012  1097
253 2 생명윤리 현대 의학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연구 / 김정진 2006  1100
252 9 보건의료 mHealth 도입요인의 우선순위 분석에 관한 연구 -국내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 강신영, 오재인 2019  1107
251 13 인구 여성 저출산의 실태 및 원인분석 : 여성 저출산의 실태 및 원인분석 / 원정원 2004  1109
250 1 윤리학 프랑스의 사생활 보호권과 개인정보보호 /전학선 2018  1113
249 20 죽음과 죽어감 간호사의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와 윤리적 가치관 / 문정란 2013  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