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초등도덕교육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107044 
신경과학에 대한 도덕교육적 검토 -도덕적 행위자의 문제를 중심으로-
= Moral Education Review for Neuroscience - Focusing on the Problem of Moral Agent -

  • 저자[authors] 이슬비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초등도덕교육
  • 권호사항[Volume/Issue] Vol.0No.63[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53-7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Moral education can be defined as intentional educational intervention aimed at cultivating moral agent. Especially, as agent of moral education, agents have the ontological meaning as the realizers of the purpose of mor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onditions of moral agents required in moral education as first-person perspective’s self-experience and autonomy and to reveal limitations of understanding moral agents in neuroscience, focusing on purpose of moral education, moral intuition and moral reflection. And as a complement to these limitations, we will present the minimal self and narrative self composed from the first-person perspective. This argument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it shows the process of moral education review of neuroscience and investigation of the condition of moral agent which can not be reduced to neuroscientific explanations.

국문 초록[abstracts] 도덕교육은 행위자의 도덕성 함양을 목적으로 하는 의도적인 교육적 개입으로 정의될 수 있다. 특히 도덕교육의 대상자로서 행위자는 도덕교육이 지향하는 목적의 실현자로 그 존재론적 의미를 갖는다. 본 논문은 도덕교육에서 요구하는 도덕적 행위자의 조건을 일인칭적 자기 경험과 자율성으로 제시하고 도덕교육의 목적, 도덕적 직관화, 도덕적 성찰을 중심으로 신경과학에서의 도덕적 행위자에 대한 이해가 갖는 한계를 드러낼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한계의 보완으로 일인칭적 관점을 통해 구성된 최소 자아와 서사 자아를 제시할 것이다. 이러한 논의는 신경과학적 설명으로 환원되지 않는 도덕교육이 가능한 도덕적 행위자의 조건에 대한 탐구와 함께 신경과학에 대한 도덕교육적 검토의 과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468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재현된 의료담론분석 / 황지영 2019  53
4467 18 인체실험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운영에서 얻은 교훈 / 이동익 2007  54
4466 15 유전학 인간학과 의학 / 김인경 2004  54
4465 18 인체실험 줄기세포은행 운영방안에 대한 제안 / 정교민 2009  54
4464 14 재생산 기술 代理母 契約에 關한 硏究 / 서나영 2016  54
4463 5 과학 기술 사회 창조경제의 신산업 발전전략 모색을 통한 3D 프린팅 산업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박현욱 2016  54
4462 9 보건의료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지원시스템 모델 개발 / 장광수 2013  54
4461 15 유전학 4차 산업혁명과 정밀의료시대를 대비한 유전자 차별 금지법 제정 필요성 검토 토론문 / 신현호 2017  54
4460 15 유전학 4차 산업혁명과 정밀의료시대를 대비한 유전자 차별 금지법 제정 필요성 검토 / 김소윤 2017  54
4459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성 개념의 명료화를 통한트랜스휴머니즘의 비판적 고찰 / 정연재 2015  54
4458 18 인체실험 임상시험과 환자를 위한 구체적 의료행위의 구분기준에 관한 고찰 / 강한철 2013  54
4457 15 유전학 발현 유전자 분석을 위한 고성능 클라우드 서비스 구축 / 이병욱 외 2015  54
4456 5 과학 기술 사회 중국 인공지능 시장 진출 전략 연구 / 박성철 2018  54
4455 9 보건의료 의약품 시판허가심사에 있어 정보공개 영향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 김나경 2018  54
4454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판례의 동향과 문제 / 백경희 외 2018  54
4453 9 보건의료 의료 빅 데이터의 활용과 인간공학적 의미에 대한 문헌연구 / 박희석 2018  54
4452 13 인구 초저출산 극복을 위한 정책의 패러다임변화 필요한가?/백선희 2018  54
4451 20 죽음과 죽어감 죽음을 연상시키는 기부 캠페인의 효과적인 메시지 전략 / 김재휘 외 2015  54
4450 9 보건의료 성년후견제도의 도입에 관한 논의에서 의료행위와 관련한 과제 / 김민중 2009  54
4449 20 죽음과 죽어감 죽은 사람의 마음 / 김의선 외 2018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