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시대와 철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105886 
한국 사회에서의 낙태담론에 대한 여성철학적 성찰 - 한국 가톨릭교회의 낙태죄폐지반대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
= Feminist Philosophical Reflections on Abortion Discussions in Korean Society - Focused on criticism by the Catholic Church of Korea against abortion -


  • 저자[authors] 김세서리아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시대와 철학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0No.1[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철학사상연구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43-76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proposes a philosophical theoretical mechanism that will reflect on the recent discussion of abortion in the Korean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t philosophy and readjust its position of opposing abortion crime while only emphasizing ʻlife protectionʼ.  In this paper, we note the position of the Catholic Church of Korea, which has been highly critical of the abolition of abortion and has even issued signatures of one million people, and recognize critically that the Catholic Church's position pays attention to the legitimacy, rights, universality, inconvenience, judgment, injury, and so on.  And in this paper, the position of feminist philosophy is brought in as a theoretical mechanism to resist the opposition to abolishing abortion crime, including relationship, care, context, difference, and ethical subject.

국문 초록[abstracts] 
본 논문은 최근 한국 사회에서 일어났던 낙태죄폐지와 그 반대 논의들을 여성철학적 입장에서 성찰한다. 특히 ʻ생명중시ʼ만을 강조하면서 낙태죄폐지에 대해 매우 강력한 반대 입장을 표명하고 100만인 서명을 벌이기도 했던 한국 가톨릭교회의 입장을 비판적으로 인식한다. 논문이 다루는주요한 문제의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태아의 독립적 생명에 주목하는 것이 서구 근대의 고립적이고 원자적인 ʻ개인ʼ에 주목하는 방식임을 드러낸다. 그리하여 독립적 개인으로서의 태아를 강조하기 위하여 선택한 전략이 어떻게 어머니-태아의 관계성을 훼손하고 어머니(여성)의 몸을 지우는지, 여성의 몸을 통제, 억압하는가부장적 의식을 강화하는지, 더 나아가 현대 사회의 생식테크놀로지가 추구하는 자본화, 인간 신체의 상품화와 결을 같이 하는지를 살펴본다. 둘째, 현재 생명 수호를 강조하는 낙태 담론이 기반하고 있는 이론적 근거, 예컨대 개인의 권리, 보편성의 논리가 어떻게 타자 소외와 배제의 문제를야기하면서 오류를 범하는지 살펴본다. 셋째, 낙태를 죄로 규정하는 입장이 어떻게 윤리적 폭력성과 연결되면서 가톨릭교회가 표방하는 규범성과모순되는지 등을 살펴본다.  논문에서는 한국 가톨릭교회의 낙태담론이 당사자성, 권리, 보편성, 불편부당함, 판단, 상해(傷害) 등에 기반하고 있음을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이를 대체하는 이론 근거로 관계, 보살핌, 맥락, 차이, 인정, 윤리적 주체등의 여성주의 철학적 논리를 들여온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488 5 과학 기술 사회 페이스북의 각 기능 이용이 개인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이승엽 2016  53
4487 9 보건의료 새로운 과학기술도입과 의료기기 해당성 판단 / 배현아 2015  53
4486 15 유전학 유전자원에 대한 접근 및 이익 공유체제와 다른 국제 규범의 관계 / 김홍균 2017  53
4485 9 보건의료 해외 전문 인력을 활용한 한국 바이오 및 제약 산업의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 구축 방안 / 김형주 2010  53
4484 5 과학 기술 사회 ’17년 산업부 로봇 R&D 정책 방향 / 김경훈 2017  53
4483 20 죽음과 죽어감 End-of-Life Care in Taiwan from the Perspectives of Asian Bioethics / Michael Cheng tek Tai 2017  53
4482 15 유전학 나고야의정서 하에서 생물유전자원 이용의 최적계약 연구 / 박호정 2017  53
4481 19 장기 조직 이식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신체활동상태에 따른 신체구성과 영양 및 골대사 지표에 관한 조사/ 우상구 전혜린 2015  53
4480 20 죽음과 죽어감 임종기 환자 치료 결정에 있어서 그리스도교 바탕의 온정적 간섭주의 의사 환자 관계 / 오승민 2012  53
4479 18 인체실험 만성 질환 임상시험 참여 대상자의 태도와 참여 결정 시 고려사항 / 이주연 2017  53
4478 18 인체실험 임상시험과 환자를 위한 구체적 의료행위의 구분기준에 관한 고찰 / 강한철 2013  53
4477 2 생명윤리 생명윤리 문제에 대한 의사결정 유형 검사 도구 개발 / 최예진 2017  53
4476 9 보건의료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의료빅데이터 활용방안 설계 / 유예나 외 2015  53
4475 20 죽음과 죽어감 죽어감(dying)에서 노인여성의 위치와 의존에 관한 연구 / 이동옥 2008  53
4474 1 윤리학 2017년 여성·가족 관련 주요 법률 개정 동향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8  53
4473 5 과학 기술 사회 빅데이터 환경에서 개인정보 제공 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윤승욱 2018  53
4472 9 보건의료 2018년 지방선거 보건·복지 분야 정책제안/조준희 2018  53
4471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완화의료 병상필요량 추정: 말기암환자를 중심으로 / 박수경 2017  53
4470 15 유전학 바이오정보 활용에 대한 시민 인식 조사 연구 / 최규진 외 2017  53
4469 9 보건의료 새로운 수혈 가이드라인 / 김현옥 2011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