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9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언론정보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180153 
임신중절에 관한 포털뉴스와 댓글 담론의 근거이론적 분석
= Grounded Theory Analysis of Portal News and Comment Discourse on Abortion

  • 저자[authors] 김은진,강주현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언론정보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56No.2[2019]
  • 발행처[publisher]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88-24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discourse of abortion in portal news and comment column by grounded theory method. The discourse on abortion in the portal news commentary was a conflict between value and reality, there was a limit as 'constructive reality’ and the absence of problem solution in social structure dimension. Comments were influenced by the news related to the abortion crime, if the news simply delivered the event, the opinion was given mainly to the specific group. However, if the news provides in-depth analysis on the issue, the online users will have a concrete and serious opin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in the today online journalism which is soft and shortened article.  On the other hand, the recommendation function of the portal news comment can express opinions instead of comments, and persuasive opinions can be emphasized through recommendation.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of posts in the top ranking and the distribution of opinions by actual position. Therefore, the recommendation function of the portal news comment may not properly reflect the logical view of the opponent's position, or it may reveal the proportion of the public opinion differently.


국문 초록[abstracts]
이 연구는 포털뉴스와 포털뉴스의 댓글란에 나타난 임신중절 담론을 근거이론방법으로 분석했다. 낙태죄 폐지를 주장하는 청와대 청원이 20만 명을 돌파한 2017년 10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포털 Daum 뉴스에서 일간 댓글 많은 뉴스 가운데 낙태죄와 관련된 6개 뉴스를 선택하고, 해당 댓글 6,621개를 분석했다. 포털뉴스 댓글란에 나타난 임신중절 담론은 ‘낙태는 살인행위’, ‘무책임한 출산’, ‘성적 쾌락의 결과’, ‘댓글의 구성된 현실인식’이 라는 인과조건에 따라 ‘가치와 현실의 갈등’이라는 중심현상이 도출되었다. 포털뉴스 댓글은 중재적 조건인 ‘특정 그룹의 이벤트 전달 뉴스’, ‘이슈의 포괄적 논의 정보’, ‘구체적 해결책 제시의 부재’, ‘특정 입장의 추천 게시물 상단 노출’ 등에 따라 ‘젠더 편 가르기’, ‘비난’, ‘공방’, ‘싸움 회피’, ‘문제해결 접근’ 등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의 결과로 포털 뉴스 댓글은 ‘반발성 댓글’, ‘추천 많은 댓글과 댓글 분포 차이’, ‘구체성과 논리성 갖춘 댓글’ 등의 특징이 나타났다. 기사에 따른 댓글 특징을 유형화하면 ‘특정 그룹에 대한 반발형’, ‘상반된 의견 공존형’, ‘숙고 의견 제시형’의 유형이 나타났다. 즉 포털뉴스 댓글의 내용과 게시자의 태도는 뉴스가 이슈를 다루는 방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그래서 오늘날 연성적이고 기사 길이가 짧아지는 온라인 저널리즘 현실에서 뉴스의 부족한 심층성을 보완할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포털뉴스 댓글의 추천 상단 게시물의 입장별 비중과 전체 게시물의 입장별 비중은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추천 기능을 통해 드러나는 여론이 이 실제 게시물의 여론 비중과 다르게 드러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9 12 낙태 사례연구 : 영국,미국,독일,프랑스의 낙태 규제 입법과 판례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 이희훈 2014  4749
48 12 낙태 연구논문 : 낙태에 대한 태도와 종교: 한국, 일본, 미국, 필리핀 국제비교분석 / 김상욱 외 2015  1834
47 12 낙태 낙태 문제에 대한 조셉 플레처(Joseph Fletcher)의 상황윤리(Situation Ethics) 관점에서 본 이해와 비판 / 지장규 2008  1192
46 12 낙태 합리적인 낙태규제 방안 : 낙태는 자유인가 살인인가? / 김재윤 2013  974
45 12 낙태 논문 : 낙태 비범죄화론 / 조국 2013  871
44 2 생명윤리 생명권과 생명가치에 대한 연구 :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 김휘원 2010  741
43 12 낙태 성적 시민권의 부재와 사회적 고통 : 한국의 낙태 논쟁에서 여성 경험의 재현과 전문성의 정치 문제 / 백영경 2013  735
42 12 낙태 연구논문 : 낙태 법제에 대한 이론적 고찰 / 윤진숙 2012  678
41 12 낙태 멕시코의 폐미니스트운동과 낙태정책 : 2007년 멕세코시티 낙태합법화의 의미 / 강경희 2009  628
40 14 재생산 기술 인공자궁과 그 법적 함의 - 이 특수한 가정적 현실을 둘러싼 법적 접근을 위하여 / 안성준 2016  621
39 12 낙태 임신중절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목진수 2014  592
38 12 낙태 헌법재판소의 낙태결정(2010헌바402)에 대한 헌법적 검토 / 정철 2013  583
37 11 피임 응급피임약의 여성적 관점에 대한 성찰/유혜숙 2015  580
36 12 낙태 낙태에 대한 옹호와 비판 / 박승배 2013  538
35 12 낙태 낙태에 대한 여성의 인식과 태도 / 김도경 외 2013  538
34 12 낙태 낙태에 있어 사람의 시기와 낙태의 허용범위에 관한 형사법적 고찰 / 김정오 2016  530
33 12 낙태 낙태에 관한 유럽인권재판소의 입장 : 대한민국에서의 논의에의 시사점 / 오미영 2014  525
32 12 낙태 낙태에 관한 다초점 정책의 요청 : 생명권 대(對) 자기결정권의 대립을 넘어 / 양현아 2010  514
31 14 재생산 기술 일본의 재생산권 과제와 전망 : 인공임신중절에 관한 정책과 법에 관한 보고 / 이사도모코, 강유경 2009  470
30 12 낙태 인공유산에 대한 이해와 목회적 돌봄 / 이주형 1999  4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