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4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996334 
생명공학기술 기반 서비스 산업의 딥러닝
  • 저자[authors] 황용득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018No.11[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경영정보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48-4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국문 초록[abstracts] 
생명공학기술(Life-Bio Technology)은 다양한 생체 정보를 계측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사용해 왔다. 빅데이터의 근간이라 할 수 있는 여러 기술들이 생명공학기술과 함께 공진화하고 있다는 점은 고무적이다. 한편으로 생명공학기술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서비스 개발도 착실히 진행 중이다. 특히 IBM 왓슨(Watson)의 활용 사례가 의료 생명 분야라는 점은 주목되어야 한다. 생명공학 분야의 빅데이터는 대부분의 병원에서 환자들의 병리 정보가 누적되면서 축적된다. 환자들의 유전체 정보 역시 커지고 있으며 데이터 축적의 속도도 점차 빨라지고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는 정형화된 데이터 베이스에 축적되어 있어 비정형적 데이터를 근간으로 하는 웹의 각종 서비스 영역과는 달리 데이터의 품질이 높은 편이다. 따라서 딥러닝과 같은 계량적 추론 방법, 혹은 머신러닝의 활용 가능성이 높다. 생명공학기술 분야의 데이터 마이닝 기술은 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깊이가 확장되는 모양새다. 최근 딥러닝(Deep Learning) 혹은 다층신경망 구조에 관한 연구 성과들이 축적되고 있어 주목된다. 최근의 혁신적인 딥러닝 연구들은 생명공학 분야의 전통 산업들이 수행해 온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강력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이미지 인식, 자연어 처리 등을 포함한 광범위한 기술적 대안들은 인공 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기반 서비스의 탄생과 대중화를 예고하고 있다. 또한 성능 면에 있어서도 괄목할만 하다. 생명공학기술의 빅데이터 축적과 딥러닝 기술의 발전이 교차되면서 탄생하는 서비스 과학의 진화적 발전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어야 할 이유는 충분하다. 본 논문을 통해 이 진보의 교차점을 이해하고 앞으로의 방향성을 고민해본다. 또한 딥러닝을 바이오 빅데이터에 적용한 최근의 연구들이 어떻게 극적인 결과들을 가져오고 있는지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연구들이 앞으로 헬스케어 시장에 줄 영향에 대해 살펴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54 5 과학 기술 사회 21세기 과학기술법의 과제 / 손경한, 박진아 2007  6795
53 14 재생산 기술 '불임치료산업'과 한국의 재생산 정치 / 김선혜 2008  892
52 14 재생산 기술 장애여성의 재생산 경험 : 재생산 정치의 관점에서 / 황지성 2011  649
51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기술 시대의 장애와 재생산 : ‘선택권’과 ‘생명권’을 넘어 재생산의 정치로 / 황지성 2014  627
50 5 과학 기술 사회 위험사회와 과학기술윤리 -생명공학을 중심으로 / 김환석 2006  612
49 14 재생산 기술 새로운 임신 기술과 '위험', 그리고 아픈 아이들 : 보조생식술 결과의 국제비교를 중심으로 / 하정옥 2012  593
48 16 환경 생체모방의 근본원리에 비춰본 4차 산업혁명 시대 생태문학의 의의/임도한 2018  579
47 20 죽음과 죽어감 현대기술문명과 안락사 : 죽을 권리에 대한 신학 그리고 철학적 고찰 / 안경진 2002  547
46 14 재생산 기술 한국 생식의료의 전개과정에 관한 연구 : 소극적 정책보조자에서 산업개척자로 / 박종헌 2008  527
45 5 과학 기술 사회 동아시아 생명과학의 발전과 바이오시민권의 형성가능성 / 김기흥 2012  526
44 7 의료사회학 푸코의 자기기술 및 통치성 개념이 의료윤리 담론에 주는 몇 가지 함의 / 강명신 2012  513
43 15 유전학 의료윤리분야 유전기술의 발전에 따른 도덕적 정당성 논쟁에 대한 고찰/정창록 2017  490
42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기술과 대리모의 행위성 / 이은주 2008  484
41 14 재생산 기술 일본의 재생산권 과제와 전망 : 인공임신중절에 관한 정책과 법에 관한 보고 / 이사도모코, 강유경 2009  470
40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기술이 던지는 새로운 철학적 문제들에 대한 고찰 / 이중원 2016  449
39 14 재생산 기술 한국 생명의료기술의 전환에 관한 연구 : 재생산기술로부터 생명공학기술로 / 하정옥 2006  441
38 18 인체실험 줄기세포 기반 유전자치료 기술분야 특허분석을 통한 현황분석 및 시사점 도출 / 2013  435
37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원격진료의 시범사업과 의료법의 문제점 / 김현주 외 2015  432
36 1 윤리학 빅데이터 거버넌스와 표준화 동향 / 조완섭 2017  425
35 5 과학 기술 사회 지구적 생명정치와 위험의 개인화 : OIE의 BSE 위험 관리를 중심으로 / 하대청 2013  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