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美國憲法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174821 
인공지능 기반 자동행정과 법치주의
= Automatic Administration based on AI and rule of law

  • 저자[authors] 김도승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美國憲法硏究

  • 권호사항[Volume/Issue] Vol.30No.1[2019]

  • 발행처[publisher] 미국헌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05-13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국문 초록[abstracts] 
행정은 헌법적 가치의 실현이라는 본연의 목적에 충실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을 통해 행정의 효율성과 합리성, 민주성을 제고해 왔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이 서로 접목되면서 우리사회는 산업혁명, 정보혁명을 넘어 이제 지능정보기술에 기반해 인간과 사물의 인지・사고 능력을 강화시키는 지능혁명을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최근 종종 4차산업혁명으로 총칭되기도 한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새로운 정보기술은 엔터테인먼트, 의료, 금융, 주식투자, 자동차 운전, 건축 설계, 우주항공 등 사회전반에서 인공지능을 통하여 처리할 수 있는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4차산업혁명을 견인하는 대표적인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인공지능기술은 민간의 영역은 물론 치안, 교통관리, 재난대응, 안전관리 등 다양한 행정의 영역에서 그 활용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아직은 기술적인 수준이 기존 전자적 행정과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는 현실적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인공지능기술이 규제행정에 있어 합리성과 효율성을 제고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는 향후 공행정 분야에 있어 인공지능기술의 활용 범위를 확대시켜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기존 업무에 대한 인공지능의 기술적 대체가능성, 비용 및 편익 등과 같은 현실적인 기준이 중요한 일반 민간분야와 달리 행정의 책임성과 공공성을 본질적 요소로 하는 공공분야에서는 과연 행정작용에 있어 인공지능을 활용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다른 측면의 검토가 필요하다. 특히, 인공지능기술에 따라 산출된 자동적 행정결정의 경우에는 기존의 단순한 행정자동결정(예: 과속단속카메라에 의한 과속단속, 컴퓨터추첨에 따른 학교배정 등)과 달리 알고리즘의 복잡성, 결과예측곤란성 등으로 인해 전통적인 행정법이론의 적용에 적지 않은 논란을 야기할 것으로 예상된다. 즉, 행정작용이 인공지능시스템을 활용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행정(이하 ‘인공지능 기반 자동행정’이라 한다)의 경우, 그에 따라 산출된 행정작용의 법적 성질, 재량행위의 영역에서의 제한성, 법치주의 관점에서의 수용성과 합법성 조건 등에 관한 법이론적 검토가 요구된다. 아울러 인공지능기반 자동행정에 의해 국민이 손해를 입은 경우 현행 국가배상법의 규정과 법리를 고려할 때 구제상 장애는 없는지도 살펴야 할 것이다.  이에 아래에서는 인공지능의 기술적 특성과 활용 현황을 살펴보고, 인공지능기술이 공행정의 영역에서 가지는 가능성과 한계는 무엇이며, 행정에 있어서 인공지능기술 활용시 담보되어야 할 합헌성・합법성 요소는 무엇인지에 대해 논한다. 비록 현재 인공지능 기반 행정 사례의 현실적인 제한성으로 말미암아 불가피하게 일정한 가정과 추상성을 토대로 분석하는 한계를 지닐 것이나 인공지능기술을 공행정 분야에 활용하는데 최소한의 공법적 기준을 제시하고, 향후 법이론적 발전의 단초를 제공하는 시론적 고찰의 의미를 가질 것으로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Administrations have improved the efficiency, rationality and democracy of administration through various technologies in order to be faithful to the purpose of realizing constitutional values. Recently, with the integration of ICT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our society is going beyond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information revolution, and now it is intellectual revolution that strengthens the recognition and thinking ability of people and things based on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These changes are often referred to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recent years.  A few administrative agencies have already begun to adopt this technology, while others have clear potential in the near term to use algorithms to shape official decisions over both rulemaking and adjudication. It is no longer fanciful to envision a future in which government agencies could effectively make law by robot, a prospect that understandably conjures up dystopian images of individuals surrendering their liberty to the control of computerized overlords. The idea of algorithmic regulation might appear to offend one or more traditional doctrines, such as the nondelegation doctrine, procedural due process, equal protection, or principles of reason-giving and transparency. Governmental reliance on machine learning should be approached with measured optimism about the potential benefits such technology can offer society by making government smarter and its decisions more efficient and just.  In the following, we examine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ts application, what ar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field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what are the constitutional and legitimate elements to be secured in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4408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 찬반론에 대한 고찰 / 구인회 2003  1077
4407 1 윤리학 ‘의료화’에서 ‘생의료화’로 : 정신장애의 사례 / 김환석 2014  1065
4406 5 과학 기술 사회 특허분석을 통한 인공지능 기술분야의 연구동향 / 노승민 2017  1062
4405 9 보건의료 DNR에 대한 응급의료종사자들의 인식과 윤리적 태도 / 박학영 2010  1060
4404 10 성/젠더 젠더-거버넌스(Gender-Governance) 관점에서 모자보건법의 문제점과 합리화 방안에 관한 고찰 / 전수영 2014  1060
4403 20 죽음과 죽어감 사별가족의 슬픔 적응 경험 : 지역사회 호스피스 간호를 받은 가족을 중심으로 / 두현정 2008  1059
4402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대한 기독교적 입장 및 대안 / 박상중 2003  1051
4401 18 인체실험 치의학 분야의 줄기세포 연구와 임상적 동향 / 김현옥 2017  1043
4400 9 보건의료 사용자의 의료정보 전달력을 향상시킨 국민건강검진 결과지 디자인 개선 / 김예림 외 2018  1042
4399 2 생명윤리 영화를 이용한 생명의료윤리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효과 / 김선영 2014  1041
4398 15 유전학 유전자편집기술에 관한 미국의 입법동향과 시사점 / 장인호 2019  1038
4397 17 신경과학 위기가족 유형들의 생태체계 분석-위기상담사례를 중심으로- /장정문 2018  1035
4396 13 인구 한국의 저출산 원인과 출산정책의 방향성 연구 / 방문주 2010  1035
4395 15 유전학 유전자검사에 관한 규제 현황과 미비점에 관한 고찰 / 백수진 2014  1034
4394 14 재생산 기술 배아의 존재론적 지위와 그 존엄성에 관한 연구 : 샌델과 하버마스의 논의를 중심으로 / 김광연 2014  1033
4393 17 신경과학 청소년 폭력과 인지행동치료에 대한 뇌신경과학적 고찰 / 권해수, 윤일홍 2019  1028
4392 14 재생산 기술 민법상 대리모계약에 관한 입법방향 / 박종렬 2013  1028
4391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대한 형법적 고찰 / 이화선 2004  1027
4390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사 협력에 대한 간호사 및 의사의 인식 / 김가희 외 2018  1026
4389 15 유전학 인간게놈연구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 김용성 2003  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