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64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인구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451891 
저출산 시대의 인구정책
= Population Policies in the Era of Low Fertility - Current State and Future Directions in South Korea -

  • 저자[authors] 우해봉(Woo, Hae-Bo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인구학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1No.2[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인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1-59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저출산,인구변동,인구정책,인권,Low Fertility,Population Change,Population Policy,Human Rights

국문 초록[abstracts] 
한국 사회가 지난 수십 년간 경험한 압축적인 사회경제적 변화만큼 인구정책 환경 또한 복잡한 사회체계 속에서 다양한 행위자들과 관계되는 선진국형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인구변동과 인구정책에 대한 진단과 평가에 기초하여 향후 인구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검토하고 있다. 현재의 저출산 문제가 1960년대 이후 수십 년 동안 한국 사회가 보여 준 성장 중심의 발전론적 접근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사회 운영 원리의 근본적인 변화 없이 단기간에 출산율을 획기적으로 상승시키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단기적인 처방대신, 중장기적으로 현재의 저출산 문제를 근본적으로 완화할 수 있는 인구정책 방향 검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본 연구는 현재까지의 인구정책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한편 국제 인구정책 패러다임 전환에 맞춰 향후 우리나라 인구정책이 나아가야 할 기본 방향을 정립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인구정책의 경우 장기적 안목에 기초한 적기 대응의 중요성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인구정책 및 이를 둘러싼 이해관계가 복잡해짐에 따라 사회적 공감대에 기초한 일관되고도 지속적인 접근 또한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본 연구는 국제 인구정책 패러다임 전환에 맞춰 인권의 가치를 존중하는 인구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경제성장 중심의 발전 과정에서 지체된 사회권(복지권)을 강화하는 한편, 인구와 발전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에도 불구하고 그간 사회경제적 발전 과정에서 주변화되고 소외된 여성과 아동/청소년에 대한 우선적인 정책적 고려가 필요함을 지적하고 있다.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Similar to the compressive economic development since 1960s, South Korea also showed extremely rapid changes in demographic trends. Designing effective population policies are difficult since population issues are already sensitive and have the potential to trigger socio-political debates among the stakeholders and the general public. Since the past demographic processes since 1960s were closely connected to development-oriented strategies, instead of short-term policy measures for raising fertility rates in the near future, more attention requires to be paid to long-term population policy directions. This study critically reviews the past and current state of fertility policies in terms of the paradigm shift in the international population policy arena. Effective population polices need a critical awareness of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low fertility as well as a policy consensus on the actions needed to be taken. In particular, this study emphasizes human rights-based population policies in line with the paradigm shift in the international population policy arena. With regard to specific policy directions, this study suggests the enhancement of social rights (welfare rights) as well as prioritized attention to women and youth.

목차[Table of content] Ⅰ. 들어가며  Ⅱ. 인구정책의 주요 쟁점  Ⅲ. 한국의 인구변동과 인구정책: 진단과 평가  Ⅳ. 저출산 시대의 인구정책 방향  Ⅴ. 나가며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64 14 재생산 기술 독일법상 신뢰출산제도의 시행과 평가에 관한 소고 / 한명진 2019  216
63 13 인구 유럽의 인구동향 및 저출산 대응 가족정책과 한국 인구정책의 과제 / 전광희 2018  266
» 13 인구 저출산 시대의 인구정책 / 우해봉 2018  196
61 13 인구 결혼 및 출산에 대한 인식변화 분석과 저출산 원인의 유형화 / 최영미, 박윤환 2019  536
60 13 인구 일본의 출산정책의 변화와 젠더적 함의 / 이지영 2019  196
59 1 윤리학 저출산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세대를 위한 목회적 대응방안/ 송준용 2019  113
58 13 인구 결혼 및 출산에 대한 인식변화 분석과 저출산 원인의 유형화 / 최영미, 박윤환 2019  346
57 13 인구 일본의 출산율 향상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오미희 2018  106
56 14 재생산 기술 완전대리모/자궁대리모가 개입된 배우자간 보조생식술에서 법적 부모 결정 문제/ 김은애, 유수정 2018  735
55 14 재생산 기술 베트남 체외수정 및 대리출산 법제 개관 / 이재열 2017  120
54 12 낙태 낙태에 대한 형사처벌의 시대착오 / 하정옥 2018  116
53 13 인구 동유럽 국가의 저출산 및 가족 정책 현황과 시사점 / 신윤정 2017  104
52 14 재생산 기술 임신·출산 지원 보건의료정책의 현황과 추진 방향 / 이소영 2017  283
51 13 인구 저출산 해결을 위한 의사의 역할 / 하정훈 2017  234
50 13 인구 저출산시대에 인구감소 방지를 위한 고위험임신 관리방안 / 이난희, 송혜숙 2017  155
49 13 인구 결혼 여성의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김경아 2017  524
48 13 인구 국내외 정책 환경을 감안한 다문화가족정책 조정방안: 다문화인식개선사업 재고와 주류화 / 김혜순 2017  118
47 13 인구 저출산 시대, 지역사회 위기극복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 서동희 2017  62
46 1 윤리학 ‘가족의 위기’ 시대, 가족 이데올로기의 재구성/전주희 2017  169
45 13 인구 정책보고서의 인지지도 분석: 제3차 저출산고령화 기본계획의 사례/김동환 2017  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