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인구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451891 
저출산 시대의 인구정책
= Population Policies in the Era of Low Fertility - Current State and Future Directions in South Korea -

  • 저자[authors] 우해봉(Woo, Hae-Bo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인구학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1No.2[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인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1-59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저출산,인구변동,인구정책,인권,Low Fertility,Population Change,Population Policy,Human Rights

국문 초록[abstracts] 
한국 사회가 지난 수십 년간 경험한 압축적인 사회경제적 변화만큼 인구정책 환경 또한 복잡한 사회체계 속에서 다양한 행위자들과 관계되는 선진국형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인구변동과 인구정책에 대한 진단과 평가에 기초하여 향후 인구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검토하고 있다. 현재의 저출산 문제가 1960년대 이후 수십 년 동안 한국 사회가 보여 준 성장 중심의 발전론적 접근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사회 운영 원리의 근본적인 변화 없이 단기간에 출산율을 획기적으로 상승시키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단기적인 처방대신, 중장기적으로 현재의 저출산 문제를 근본적으로 완화할 수 있는 인구정책 방향 검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본 연구는 현재까지의 인구정책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한편 국제 인구정책 패러다임 전환에 맞춰 향후 우리나라 인구정책이 나아가야 할 기본 방향을 정립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인구정책의 경우 장기적 안목에 기초한 적기 대응의 중요성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인구정책 및 이를 둘러싼 이해관계가 복잡해짐에 따라 사회적 공감대에 기초한 일관되고도 지속적인 접근 또한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본 연구는 국제 인구정책 패러다임 전환에 맞춰 인권의 가치를 존중하는 인구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경제성장 중심의 발전 과정에서 지체된 사회권(복지권)을 강화하는 한편, 인구와 발전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에도 불구하고 그간 사회경제적 발전 과정에서 주변화되고 소외된 여성과 아동/청소년에 대한 우선적인 정책적 고려가 필요함을 지적하고 있다.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Similar to the compressive economic development since 1960s, South Korea also showed extremely rapid changes in demographic trends. Designing effective population policies are difficult since population issues are already sensitive and have the potential to trigger socio-political debates among the stakeholders and the general public. Since the past demographic processes since 1960s were closely connected to development-oriented strategies, instead of short-term policy measures for raising fertility rates in the near future, more attention requires to be paid to long-term population policy directions. This study critically reviews the past and current state of fertility policies in terms of the paradigm shift in the international population policy arena. Effective population polices need a critical awareness of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low fertility as well as a policy consensus on the actions needed to be taken. In particular, this study emphasizes human rights-based population policies in line with the paradigm shift in the international population policy arena. With regard to specific policy directions, this study suggests the enhancement of social rights (welfare rights) as well as prioritized attention to women and youth.

목차[Table of content] Ⅰ. 들어가며  Ⅱ. 인구정책의 주요 쟁점  Ⅲ. 한국의 인구변동과 인구정책: 진단과 평가  Ⅳ. 저출산 시대의 인구정책 방향  Ⅴ. 나가며  참고문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468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과실로 인한 의료사고와 환자안전법에 대한 고찰 / 성은정 2015  1247
4467 19 장기 조직 이식 우리나라 사형수의 장기이식 현황 / 안상희 2012  1247
4466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비실시(DNR)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 암환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 강영순 2006  1246
4465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기증을 위한 뇌사자의 안락사 문제 / 김태경 2019  1244
4464 15 유전학 LMO의 최근 동향과 문제점/문상혁 2011  1242
4463 20 죽음과 죽어감 국가별 사전의료의향서 서식 분석 및 사전의료의향서 표준 서식 제안/이은영 외 2011  1235
4462 20 죽음과 죽어감 우리나라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판례 평석 : 대법원 2009다17417 판결 및 헌법재판소 2008헌마385 결정을 중심으로 / 이희훈 2013  1229
4461 6 전문직윤리 강령 위상 간호사 윤리에 관한 연구 / 유인철 2001  1228
4460 19 장기 조직 이식 장기이식에서의 RNA간섭 치료법의 전망 / 김재영 2015  1225
4459 18 인체실험 인간배아줄기세포의 특허보호에 관한 유럽의 최신 동향 : 유럽사법재판소의 Brüstle v. Greenpeace 판결을 중심으로 / 한지영 2014  1223
4458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의 빅데이터 활용을 위한 법적 연구 : 저작물과 개인정보를 포함한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 양관석 2019  1221
4457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를 규제하는 국제규범 -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과 개정방향 모색 / 류병운 2014  1213
4456 14 재생산 기술 Human cloning laws, human dignity and the poverty of the policy making dialogue / Timothy Caulfield 2003  1210
4455 18 인체실험 배아줄기세포와 암세포에서 공통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의 특성 분석/신정아 2012  1206
4454 13 인구 출산정책의 문제점 및 향후 개선 방향 연구 / 박숙현 2015  1203
4453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 권리에 대한 개념 분석 / 전혜숙 2019  1200
4452 9 보건의료 대학병원 의료종사자의 감염예방 표준주의 인지도와 수행도 / 이소리 2018  1200
4451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규제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김홍광, 이미숙 2019  1197
4450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 치료의 결정 / 박소연 2018  1194
4449 12 낙태 낙태 문제에 대한 조셉 플레처(Joseph Fletcher)의 상황윤리(Situation Ethics) 관점에서 본 이해와 비판 / 지장규 2008  1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