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초등도덕교육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107093 


4차 산업혁명 시대 인공지능 기술과  미래 어린이철학교육의 전망 -시대적 인재상의 변화 분석을 중심으로- 

=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Future Prospects of Philosophy for Children Education - Focusing on the Aanalysis of Change of Human Talent in this Age -


  • 저자[authors] 김민수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초등도덕교육

  • 권호사항[Volume/Issue] Vol.0No.63[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53-285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nge of human talent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the ag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suggests the prospect that Philosophy for Children Education is important in future moral education. In order to support the argument, first of all, we will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g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prospects of future human talent, and the present human talent in government policies. Next, we will focus on the expansion and crisis of the expert system that will intensify ethical problems in future society by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Based on these, we will derive what future moral education should pursue. In the process,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 value of 'doing philosophy' pursued by Philosophy for Children Education and the method of philosophical community of inquiry are important in future moral education.


국문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에 따른 시대적 인재상의 변화에 주목하면서, 어린이철학교육이 미래 도덕과 교육에서 중요하다는 전망을 제시하는 시론적 성격의 연구이다. 논지를 뒷받침하기 위해서 우선,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특징과 미래 인재상의 전망 그리고 정부 정책 및 그에 따라 변화되고 있는 시대적 인재상을 분석할 것이다. 다음,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이 미래 사회에서 윤리적 문제를 심화시킬 것이라는 점을 전문가(expert system)의 확장과 위기를 중심으로 고찰할 것이다. 이를 토대로 미래 도덕교육이 추구해야 할 방향이 무엇인지를 도출할 것이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어린이철학교육이 추구하는 ‘철학함’의 가치와 철학적 탐구공동체의 방법 등이 미래 도덕교육에서 중요하다는 주장을 제시하고자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4608 9 보건의료 응급환자 전원에 관한 판례의 태도 - 대법원 2005. 6. 24. 선고 2005다16713 판 / 이재열 2009  39
4607 9 보건의료 국민 중심 보건의료체계 구축을 위한 통계 생산 과제 /신정우 2017  39
4606 9 보건의료 의료과실판단에서의 가이드라인의 역할-일본에서의 논의를 참고하여 / 송영민 2010  40
4605 15 유전학 유전체 분석 초기 단계에서 유전자 리스트 작성을 위한 방법론 / 오정수 외 2003  40
4604 20 죽음과 죽어감 When Is ``Dead'' Actually Dead? 2014  41
4603 10 성/젠더 민주주의 의식과 젠더 의식의 군집 유형과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김경희, 송리라 2016  41
4602 13 인구 부산광역시 초저출산의 가족학적 요인 및 가족친화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적 제안 / 윤경자 2010  41
4601 2 생명윤리 규제에서 소통으로: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변화에 관한 제언 / 이일학 2017  41
4600 13 인구 사회변화와 대안가족 / 김영민 2018  41
4599 9 보건의료 사람의 생명·신체·건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법적 통제/조승현 2016  41
4598 9 보건의료 학계 입장에서 바라본 정부의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평가/장성인 2018  41
4597 5 과학 기술 사회 의료 데이터 허브 구축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향 - 지정 토론문 / 박미정 2018  41
4596 9 보건의료 Applying a Global Justice Lens to Health Systems Research Ethics: An Initial Exploration 2015  42
4595 1 윤리학 과학 기술 시대의 도덕 교육의 위기와 극복 방안 연구 / 정결 2017  42
4594 9 보건의료 간호 인력 확보수준 구성이 병원 내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의 병원 특성별 비교 / 윤경일 2017  42
4593 15 유전학 게놈 편집 기술을 통한 Streptomyces coelicolor의 β-agarase 발현조절 유전자 기능 분석 / 심소헌 2018  42
4592 5 과학 기술 사회 4차 산업혁명시대 개인정보권의 법리적 재검토 / 정하명 2017  43
4591 20 죽음과 죽어감 한국형 사전의료의향서 평가 / 김기숙 2016  43
4590 9 보건의료 의료정보의 2차 이용을 위한 국내 비식별화 대상 정보에 관한 연구 / 김철중 외 2016  43
4589 15 유전학 웹 기반의 유전자 서열 분석 및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허진석 2002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