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미래의 인간상 / 이을상

1 윤리학 조회 수 142 추천 수 0 2019.05.15 16:45:59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哲學論叢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356836 
미래의 인간상 = The Future Image of Human Being - Emergence of Post - Person

  • 저자[authors] 이을상(Lee, Eul-Sa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哲學論叢

  • 권호사항[Volume/Issue] Vol.92No.-[2018]

  • 발행처[publisher] 새한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73-97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도덕적 생명향상,포스트인격,도덕적 지위,면책권과 불가침권,정의의 원칙,bioenhancement,post-person,moral status,principle of justice,immunity and inviolability



국문 초록[abstracts] 
포스트인격의 출현은 ―지난 날 인간이 동물을 마구잡이로 학대해 온 사실을 상기해 볼때― 기존의 인간에게 큰 위협이 된다. 생명보수주의자들이 생명향상에 반대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그것은 다음과 같이 삼단논법으로 형식화된다.    전제 1. 인간의 심적 능력을 기술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은 포스트인격적인 도덕적 지위를 갖는 존재를 탄생시킬 수 있다.    전제 2. 포스트인격의 창조는 향상되지 못한 일상적 인간(human)에게 해악을 끼칠 것이다.    결 론. 따라서 우리는 현행 인류가 포스트인격을 만들어낼 인간적 향상을 촉구하지 말아야 할 충분한 도덕적 이유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오늘날 첨단 과학기술은 - “과학의 발전에는 후진기어가 없다.”는 황우석의 말처럼 - 생명향상 반대 주장을 일거에 돌파해 버릴 것이다. 그렇게 되면 우리는 한 순간에 ‘도덕적 진공상태’에 빠지고 만다. 이러한 진공상태에서는 우리가 - 독일 나치 치하에서 보듯이 - 아무 일도 할 수 없다. 이러한 도덕적 진공상태에 빠지지 않기 위해 우리는 먼저 전제1의 ‘형성 조건’에 대한 심도 있는 숙고와 다음으로 전제2를 형성하는 ‘해악의 성격’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끝으로 포스트인격 출현의 도덕성을 음미함으로써, ‘단순한 인격’과 ‘포스트인격’ 간의 공존 가능성을 모색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I think emergence of a post-person is a great threat to the existing human beings, recalling that humans have been indiscriminate abuse of impersonal animals in the past. So bioconservationists are against moral bioenhancement, to express whose argument in a syllogistic form, it is as follows.    Premise 1 : Improving human mental abilities technically can create a new existence with a post-personal moral status.    Premise 2 : Creation of post-persons will harm the ordinary human being who has not enhanced.    Conclusions : So we have enough moral reasons not to encourage certain human enhancement, that would create post-person.    But today, high-tech science will break through ―“The development of science has no reverse gear.” as Hwang said― the argument against bioenhancement. Then we are immediately thrown into a moral vacuum. In this vacuum we can do nothing, as we see under Nazi Germany. To avoid falling into this moral vacuum, we first put deep consideration into the ‘forming conditions’ of premise 1. and next examine the nature of harm that shapes premise 2 critically. Finally, we appreciate the morality of the emergence of post-person and this will help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existence between a mere person and a post-person.

목차[Table of content]
[한글요약]  Ⅰ. 머리말  Ⅱ. 도덕적 생명향상과 포스트인격의 출현 가능성  Ⅲ. 포스트인격에 의한 인격의 위해(危害) 가능성  Ⅳ. 포스트인격 출현의 도덕성  Ⅴ. 맺는말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628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영리병원 도입 시 재무적ㆍ경제적 효과 분석/김원식 2018  143
1627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 말기 의료 현황과 웰다잉법 / 이지은 외 2016  143
1626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예방 정책수단 평가 및 해결방안 연구 / 김정기 외 2017  143
1625 18 인체실험 의약품 임상시험에 있어서 노인 피험자 현황 / 박소윤 2012  143
1624 5 과학 기술 사회 온라인분쟁해결절차에서의 인공지능의 활용과 법적 함의 / 주강원 2016  143
1623 4 보건의료 철학 Enhancement and Obsolescence: Avoiding an ``Enhanced Rat Race'' 2015  143
1622 20 죽음과 죽어감 서비스 제도화에 관한 의식조사 : 보호자 없는 병원 제도화를 위한 예비연구 / 김철원 2010  143
» 1 윤리학 미래의 인간상 / 이을상 2018  142
1620 12 낙태 영화감상교육 강좌를 위한 영화 활용법 연구 - 안네 초라 베라체트의 영화 <24주>를 중심으로 - / 조수진 2019  142
1619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 남성의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과 사전의사결정 태도 / 안순녀 2019  142
1618 5 과학 기술 사회 바이오메트릭 데이터 활용 서비스에서 바이오정보 보호에 관한 연구 / 정부금 2019  142
1617 17 신경과학 정신건강복지법과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김혜연 2018  142
1616 15 유전학 착상전 유전자진단의 가벌성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독일 배아보호법 제3조a를 중심으로 - / 김재윤 2012  142
1615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에 관한 법·정책적 개선방안 연구 / 박미정 2018  142
1614 20 죽음과 죽어감 지면보수교육 -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에 관한 지침과 해설/한국가톨릭호스피스협회 2017  142
1613 9 보건의료 의료 분야에서의 개인정보보호 / 최계영 2016  142
1612 9 보건의료 의료 빅데이터를 위한 생체 신호 저장소 구축에 관한 연구 / 이석훈 2016  142
1611 9 보건의료 체외진단용 제품의 의료기기 허가 관리에 대한 고찰 / 이원규 2015  142
1610 15 유전학 유전성 대사질환의 착상전 유전진단 / 강인수 2005  142
1609 15 유전학 CRISPR/CAS system을 이용한 돼지 단위발생 배아에서 Oct-4 유전자의 삭제와 삽입 / 권정우 2015  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