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3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佛敎硏究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160478 


동물윤리에 있어서 불교 실천윤리의 정립가능성에 대한 고찰 

- 율장(律藏 : Vinaya Piṭaka)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possible establishment of Buddhism Practical ethics in the Animal ethics - focusing on Vinaya Piṭaka


  • 저자[authors] 한명숙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佛敎硏究

  • 권호사항[Volume/Issue] Vol.0No.40[2014]

  • 발행처[publisher] 한국불교연구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65-295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4


국문 초록[abstracts]

여러 학자들은 불교에 있어서 동물윤리의 정립가능성에 대해 회의를 표하고 있다.  그 비판적 시각은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불교의 동물윤리는 서양의 동물윤리의 복제에 불과하다.  둘째 불교의 동물윤리는 원리적인 측면에 치우쳐 있다. 따라서 정작 동물윤리가 실질적 효과를 얻기 위해서 제시해야 할 실천적 행위의 준칙은 찾을 수 없다. 예컨대 불살생의 원리는 당장 단백질을 섭취해야 하는 현실에 처한 어린이 혹은 병자가 그 행위를 선택하려고 할 때, 실질적으로 어떤 도움도 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필자는 본논문에서 다음과 같은 것을 밝혔다.  첫째 서양의 동물윤리는 다양한 한계를 지니고 있는데, 불교의 동물윤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다양한 사유체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복제적이라고 하는 말은 타당하지 않다.  둘째 불교의 동물윤리를 원리적인 측면과 실천적인 측면의 둘로 나누어서 고찰함으로써, 원리적인 측면에서 해결할 수 없었던, 현실적 행위의 준칙을 도출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실천적인 측면에서 취약하다는 말은 타당하지 않다.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Several scholars doubt the possible establishment of Animal ethics in Buddhism.  The critical point of view is organized in two things.  First, The animal ethics in Buddhism is only the replica of that in the West.  Second, the animal ethics in Buddhism is partial to the principle side. So, to get a substantial effect, the animal ethics should present the rule for the practical behavior, but the rule cannot be[is not] found. For example, the principle of no life-destruction is not helpful in case a child or a patient who needs a protein right away is willing to select the behavior.  The writer revealed the following in this thesis.  First, while the animal ethics of the West has a variety of limitation, that of Buddhism has a variety of the thinking system to be able to overcome this limitation. So the insistence on the reproduction is improper.  Second, by considering the Buddhism animal ethics into both principle and practice, the rule of the practical behavior could be deduced, not in the principle but in the practice. So, the insistence that the animal ethics is weak to the practice is imprope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0 죽음과 죽어감 뇌사의 법적 측면 / 주호노

발행년 2019 

  • 조회 수 141

20 죽음과 죽어감 뇌사 개념의 비교법적 논의와 민사법적 효과 / 김기영

발행년 2019 

  • 조회 수 67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의 죽음교육과 한국교육에 주는 시사점 / 강선보, 이동윤

발행년 2019 

  • 조회 수 169

20 죽음과 죽어감 마음챙김 명상 기반 죽음교육 커리큘럼 구성에 대한 탐색 / 문현공

발행년 2018 

  • 조회 수 97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기증을 위한 뇌사자의 안락사 문제 / 김태경

발행년 2019 

  • 조회 수 1244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과 관련된 사회적 쟁점에 대한 논증 프로그램이 예비 생물교사들의 의사결정 유형과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 김선영

발행년 2018 

  • 조회 수 10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팀의 호스피스 및 연명의료결정참여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 한수연

발행년 2019 

  • 조회 수 15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태도 / 이경남, 이현주

발행년 2018 

  • 조회 수 250

9 보건의료 의료관련감염에서 감시 개선을 위한 평가 / 박창은

발행년 2019 

  • 조회 수 68

4 보건의료 철학 의사의 정당한 사유에 의한 의료계약 해지권 검토 : 환자의 진료협력의무 위반을 중점으로/ 민국현

발행년 2018 

  • 조회 수 135

9 보건의료 감염방지의무위반에 따른 민사상의 책임과 한계 : 독일의 판례와 증명책임완화규정을 중심으로 / 김기영

발행년 2018 

  • 조회 수 79

9 보건의료 불법의료기관 근절 대책을 위한 교육 자료 개발 연구 / 안덕선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59

22 동물복지 국내 동물용의료기기 시장 동향 및 향후 전망 / 강경묵 외

발행년 2019 

  • 조회 수 612

9 보건의료 의료규제 정책의 딜레마에 관한 연구: 신약 및 신의료기기 분야의 전문가 조사를 중심으로/ 이유현, 정일영

발행년 2018 

  • 조회 수 96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인의 지시에 의한 비의료인 또는 의료인의 무면허의료행위에 대한 형사법적 문제점에 관한 소고 / 장연화, 백경희

발행년 2018 

  • 조회 수 306

9 보건의료 재사용가능의료기기의 평가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 신승우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392

2 생명윤리 생명의료인권협약에 비추어 본 ‘모를 권리’ 문제 / 최정호

발행년 2018 

  • 조회 수 140

2 생명윤리 선에 대한 윤리학적 탐구 - 생명과학기술이 추구하는 선에 관한 성찰 -/ 홍석영

발행년 2019 

  • 조회 수 10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 제정과정과 문제점 검토 / 이한주

발행년 2019 

  • 조회 수 230

22 동물복지 동물윤리에 있어서 불교 실천윤리의 정립가능성에 대한 고찰 / 한명숙

발행년 2014 

  • 조회 수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