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카프카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005733 
문학과 영화 속 복제인간- 샤를로테 케르너의 소설과 롤프 슈벨의 영화 <블루프린트>를 중심으로
= Das Klon-Motiv in Literatur und Film - eine vergleichende Untersuchung am Beispiel von Charlotte Kerners und Rolf Schübels Blueprint

  • 저자[authors] 천현순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카프카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0No.31[2014]
  • 발행처[publisher] 한국카프카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13-13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4



국문 초록[abstracts] 
1996년 영국의 로슬린 연구소의 이안 윌머트 Ian Wilmut와 그의 동료 과학자들은처음으로 ‘돌리 Dolly’라는 이름의 복제양을 탄생시키는데 성공하였다. 이들은 핵이제거된 성숙한 양의 난자에 또 다른 성숙한 양에서 축출한 체세포 핵을 융합시켜 체세포 핵을 제공한 양과 동일한 복제양을 탄생시켰다. 이로써 포유동물을 복제할 수있는 새로운 복제기술이 개발되었으며, 이는 곧 인간복제도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해주고 있다. 1990년대 중반 복제양 돌리의 탄생은 이로써 인간의 역사에 커다란 전환점을 가져다준 중대한 사건으로 기록되고 있다.  현대 과학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미래에는 인간복제도 가능할 것이라는 인간의 상상력은 지금까지 줄곧 문학과 영화 등 대중매체에서 끊임없이 다루어져 왔던주제이다. 문학의 경우 인간복제에 관한 소재는 영국의 작가 올더스 헉슬리 Aldous L. Huxley가 1932년에 저술한『멋진 신세계 Brave New World』에서 첨예하게 그려지고 있다.1) 헉슬리가 그려내는 미래의 신세계에서는 자연적인 출생은 전혀 찾아볼수 없으며, 인간생명체는 과학적인 방법에 따라 시험관 속에서 인공적으로 배양되고복제된다. 영화의 경우 복제인간에 관한 소재는 특히 마이클 베이 Michael Bay 감독이 2005년에 제작한 SF 영화 <아일랜드 The Island>에서 첨예하게 묘사되고 있다. SF 영화 <아일랜드>는 소수의 특권계층에게 장기나 신체부위를 제공할 목적으로 인간복제가 계획적으로 이루어지는 디스토피아적 미래세계를 보여준다.  독일의 경우 복제인간에 관한 소재는 샤를로테 케르너 Charlotte Kerner의 『블루프린트 blueprint - blaupause』에서 첨예하게 다루어지고 있다.2) 이 소설은 복제인간을 소재로 한 독일어권 문학 가운데 가장 잘 알려진 작품에 해당하며3), 독일에서는수업용 교재로도 활용되고 있다.4) 케르너는 이 소설로 2000년 독일 청소년문학상을받았으며, 그녀의 소설은 2003년 독일의 영화감독 롤프 슈벨 Rolf Schübel에 의해동명의 제목으로 다시 영화화되었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샤를로테 케르너의 소설과롤프 슈벨의 영화 <블루프린트>에 관한 연구는 각각 문학과 영화라는 독립된 매체들을 중심으로 분석이 이루어진 바 있다. 문학과 연관된 연구는 케르너의 소설 속에 등장하는 복제인간을 포스트휴먼 시대의 새로운 인간정체성의 한 유형으로 파악할 수있는지를 고찰함으로써 현대 과학기술의 발전과 변화하는 인간정체성과의 밀접한 연관성에 대해 탐구하고 있다.5) 영화와 연관된 연구는 롤프 슈벨의 영화 <블루프린트> 에 구현된 인간복제 모티프의 특성을 영화의 주요 등장인물들 사이의 욕망구조와 갈등관계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있다.6) 지금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선행연구와는 달리, 본고는 여기서 케르너의 소설과슈벨의 영화를 서로 비교분석하면서 앞으로 심각하게 대두될 인간복제를 둘러싼 윤리적인 문제점을 심층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생명공학 및 유전공학기술이 급속도로발전하고 있는 21세기 현대에 있어서 인간복제는 이제 더 이상 기술적인 문제가 아니라 윤리적인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지금까지 인간과 기술의 관계는 인간이 기술을사용하는 주체였으며, 기술의 대상은 자연이었다. 그러나 오늘날 첨단 과학기술의 급진적 발전은 자연을 넘어서서 인간 자체도 기술의 대상으로 삼고 있으며, 이로써 기존의 인간이해에도 엄청난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인간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108 5 과학 기술 사회 사물인터넷 시대의 개인정보 보호의 과제 - 일본의 2015년 9월 개정 개인정보보호법을 중심으로 / 손영화 2017  75
4107 9 보건의료 의료기관 종사자의 직무만족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영향요인 / 김혜경, 김성수 2019  75
4106 9 보건의료 보건의료관련 학과 간 환자안전 교육 / 하성민 외 2019  75
4105 2 생명윤리 의사윤리 개정의 필요성과 개정방향 / 유상호 2015  76
4104 9 보건의료 고위험병원체 관련 범죄에 대한 형사입법 고찰/이인영 2009  76
4103 9 보건의료 혁신기반 의료산업 발전 방안 / 김석관 2012  76
4102 19 장기 조직 이식 기획논문 : 뇌사와 장기이식 ;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의 이해 2000  76
4101 2 생명윤리 독일 장기와 조직의 기증, 적출 및 이식에 관한 법 개정에 대한 일고찰 / 이현아, 김명희 2017  76
4100 9 보건의료 한국의 의약품 허가-특허연계제도에서 제네릭 시장독점제도의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정용익 2014  76
4099 1 윤리학 강제입원의 위법과 손해배상책임 / 신권철 2017  76
4098 2 생명윤리 미국에서의 생명정치(Bio-Politique), 1890년대-1930년대 / 김호연 2018  76
4097 9 보건의료 일반병원직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 요구도에 관한 융합 연구 / 권춘혜 2017  76
4096 23 연구윤리 새로운 의료시술의 도입과 임상적용 시의 윤리적 절차 / 강명신 외 2013  76
4095 20 죽음과 죽어감 비뇨의학전문의로서 연명의료결정법의 이해 / 허정식 2018  76
4094 13 인구 한국의 초저출산과 국민연금 기금의 사회적 투자 / 조원희 외 2018  76
4093 9 보건의료 프랑스의 공법상 의료피해구제제도에 관한 연구 / 황정현 2018  76
4092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사의 복음적 이해와 목회상담적 돌봄방안 / 양병모 2018  76
4091 12 낙태 온라인 기반 낙태 이슈 변화 분석 / 김찬우 2018  76
4090 9 보건의료 의료 소비자의 의학적 지식 유무와 의료서비스만족도 관계 / 최형석, 김규형 2018  76
4089 14 재생산 기술 불임관련 기술 사용시 여성이 자신의 임신, 출산에 대해 가지는 통제권에 관한 연구 / 조영미 1994  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