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3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윤리교육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170087 
선에 대한 윤리학적 탐구 - 생명과학기술이 추구하는 선에 관한 성찰 -

  • 저자[authors] 홍석영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윤리교육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52No.-[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윤리교육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05-124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descriptor] 선, 윤리학, 생명과학기술, 아리스토텔레스, 인격주의,good, life science technology, Aristotle, true good, personalistic bioethics


국문 초록[abstracts]
중ㆍ고등학교의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과학기술 및 생명과학기술의 윤 리성에 대한 탐구와 성찰은 주요 학습 주제 중 하나이다. 생명과학기 술 및 생명공학의 현란한 성과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공존하고 있는 오늘날 이에 대한 윤리학적 성찰은 매우 중요하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은 자신의 행위와 선택, 기예와 탐구를 통해 선(善)의 실현을 목표 로 하는데, 그 중에 어떤 것은 “외견상의 선”을, 어떤 것은 “진리에 따 른 선”을 목표로 한다고 말한다. 본고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런 통찰을 활용하여, 생명과학기술 및 생명공학을 통해 인간이 실현하고 자 하는 선의 특징과 그 한계를 탐구하고, 그것이 “진리에 따른 선”을 지향하기 위해서는 어떤 숙고와 노력이 필요한지를 현상학적 가치론과 인격주의 생명윤리의 논의를 활용하여 성찰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Ethical inquiry and consideration on the life science technology is one of the main topics of moral subject curriculum. Today the expectation and concern on the outcomes of life science technology arise simultaneously. Ethical reflection on the life science technology is demanded in current situation. According to Aristotle, human every art and every inquiry and similarly every action and pursuit is thought to aim at some good. He told that the man of good character pursues the true good but the bad man seeks any chance thing, apparent good. This paper firstly inquiries the nature and limit of the good pursed by life science technology, secondary reflects that what consideration is required for the realization the true good on the basis of phenomenological value theory and personalistic bioethics.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생명과학기술: “외견상의 선” 추구  Ⅲ. “진리에 따른 선” 지향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0 죽음과 죽어감 뇌사의 법적 측면 / 주호노

발행년 2019 

  • 조회 수 141

20 죽음과 죽어감 뇌사 개념의 비교법적 논의와 민사법적 효과 / 김기영

발행년 2019 

  • 조회 수 67

20 죽음과 죽어감 미국의 죽음교육과 한국교육에 주는 시사점 / 강선보, 이동윤

발행년 2019 

  • 조회 수 169

20 죽음과 죽어감 마음챙김 명상 기반 죽음교육 커리큘럼 구성에 대한 탐색 / 문현공

발행년 2018 

  • 조회 수 97

20 죽음과 죽어감 장기기증을 위한 뇌사자의 안락사 문제 / 김태경

발행년 2019 

  • 조회 수 1244

5 과학 기술 사회 과학기술과 관련된 사회적 쟁점에 대한 논증 프로그램이 예비 생물교사들의 의사결정 유형과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 김선영

발행년 2018 

  • 조회 수 100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팀의 호스피스 및 연명의료결정참여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 한수연

발행년 2019 

  • 조회 수 152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태도 / 이경남, 이현주

발행년 2018 

  • 조회 수 250

9 보건의료 의료관련감염에서 감시 개선을 위한 평가 / 박창은

발행년 2019 

  • 조회 수 68

4 보건의료 철학 의사의 정당한 사유에 의한 의료계약 해지권 검토 : 환자의 진료협력의무 위반을 중점으로/ 민국현

발행년 2018 

  • 조회 수 135

9 보건의료 감염방지의무위반에 따른 민사상의 책임과 한계 : 독일의 판례와 증명책임완화규정을 중심으로 / 김기영

발행년 2018 

  • 조회 수 79

9 보건의료 불법의료기관 근절 대책을 위한 교육 자료 개발 연구 / 안덕선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59

22 동물복지 국내 동물용의료기기 시장 동향 및 향후 전망 / 강경묵 외

발행년 2019 

  • 조회 수 612

9 보건의료 의료규제 정책의 딜레마에 관한 연구: 신약 및 신의료기기 분야의 전문가 조사를 중심으로/ 이유현, 정일영

발행년 2018 

  • 조회 수 96

4 보건의료 철학 의료인의 지시에 의한 비의료인 또는 의료인의 무면허의료행위에 대한 형사법적 문제점에 관한 소고 / 장연화, 백경희

발행년 2018 

  • 조회 수 306

9 보건의료 재사용가능의료기기의 평가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 신승우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392

2 생명윤리 생명의료인권협약에 비추어 본 ‘모를 권리’ 문제 / 최정호

발행년 2018 

  • 조회 수 140

2 생명윤리 선에 대한 윤리학적 탐구 - 생명과학기술이 추구하는 선에 관한 성찰 -/ 홍석영

발행년 2019 

  • 조회 수 105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 제정과정과 문제점 검토 / 이한주

발행년 2019 

  • 조회 수 230

22 동물복지 동물윤리에 있어서 불교 실천윤리의 정립가능성에 대한 고찰 / 한명숙

발행년 2014 

  • 조회 수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