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권법평론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139204 


생명의료인권협약에 비추어 본 ‘모를 권리’ 문제 

= Das sog. Recht auf Nichtwissen im Lichte der Europarat-Biomedizinkonvention 1997


  • 저자[authors] 최정호(CHOI, Jeongho)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인권법평론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1No.1[2018]

  • 발행처[publisher] 전남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89-329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360

  • 주제어[descriptor] 모를 권리,알 권리,기본권포기,개인정보 자기결정권,생명의료인권협약,Recht auf Wissen,Recht auf Nichtwissen,Grundrechtsverzicht,Recht auf informationelle Selbstbestimmung,EuroparatBiomedizinkonvention



국문 초록[abstracts] 이 논문에서 다루려는 ‘모를 권리’ 문제는 유전공학의 발달에 따른 비교적 새로운 인권 문제이며, 이에 대한 대응은 국제법적 차원 및 타국의 국내 법적 차원에서 시도되고 있다. 유전자 검사를 통해 우리는 유전병에 대해 예방적 조치를 취하거나 생활방식 또는 환경을 바꿈으로써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때로는 자신의 유전정보를 앎으로써 구체적인 발병여부나 시기에 대한 두려움 또는 차별대우 등으로 오히려 고통만 커질 수 있고, 이때에는 차라리 무지의 상태를 택하는 권리를 구상해볼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모를 권리’라는 이름으로 논의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모를 권리’를 둘러싼 국내 논의와 규정을 검토하고, 생명의료인권협약의 규정을 고찰하였다.‘모를 권리’를 둘러싼 국내 논의는 ‘모를 권리’의 개념, 윤리적 및 법적 정당화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다만, 각각의 논의에서의 ‘모를 권리’에 대한 개념정의에 차이가 있어서 통일적인 논의를 어렵게 한다. 권리의 헌법적 정당화가 본격적으로 시도되지 않았고, 실정법적 해석론이나 입법적 대안을 제시하는 데에 한계도 보인다. 그리고 보다 근본적인 질문으로서 일반적인 의료 정보와 유전정보의 다른 취급에 대한 고찰인 유전자 예외주의에로 논의가 확장될 필요도 있을 것이다. 생명의료인권협약은 ‘모를 권리’를 법전화 했다는 점에서 논의의 장을 열었다는 의의를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규정이 다소 모호하고, 당사국의 국내법으로 위임된 문제가 있다. 본 협약과 추가 의정서는 유전정보 제공자의 사생활을 존중하는 토대에 서 있으면서, 그가 유전정보를 알 수있는 권리를 부여한다. 동시에 알고 싶지 않다는 의사가 존중되도록 규정하고 있다. 나아가 자신의 유전정보에 대한 알 권리 내지 ‘모를 권리’의 행사가 유전정보를 공유하는 가족 구성원 등과의 관계에서 제한될 수 있다는 점을 규정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협약에서는 환자 자신의 이익을 위해, 추가 의정서에서는 가족의 이익을 위해, 권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추가 의정서의 규정은 일반적 공익을 이유로 한 제한과 별개로 당사자와 제3자간 갈등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어 보인다.



목차[Table of content] Ⅰ. 서론 Ⅱ. 이른바 ‘모를 권리’ 논쟁 Ⅲ. 국내법적 고찰 Ⅳ. 생명의료인권협약의 규정 Ⅴ. 결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108 22 동물복지 체세포 복제견의 임신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박강배 2016  138
3107 19 장기 조직 이식 대학생의 장기기증에 대한 지식과 실천의지에 관한 조사연구 / 이선옥 2017  138
3106 5 과학 기술 사회 「규제 샌드박스(Regulatory Sandbox)」 정책 동향 및 시사점 / 최해옥 2017  138
3105 12 낙태 낙태에 관한 인터넷 포럼에서의 플레이밍 현상 / 이성범 2018  138
3104 23 연구윤리 과학기술분야 출연연구기관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개선방안 제안 / 윤국원, 강선준 2018  138
3103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분쟁조정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 절차 및 재원조달을 중심으로 / 김효영 2008  139
3102 15 유전학 산전 세포유전진단 시행에 있어서 유전상담의 효과 / 송찬호 외 1992  139
3101 18 인체실험 인간 배아줄기세포와 인간 역분화줄기세포의 유전체 수준 비교 / 백진아 외 2013  139
3100 5 과학 기술 사회 한국 생명공학 정책의제형성과정에 대한 연구 / 김훈기 2002  139
3099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시대의 인간복제는 새로운 책임윤리를 요청하는가? - 한스 요나스의 『기술,의료 윤리』를 중심으로 / 양해림 2003  139
3098 9 보건의료 병원경영진단 사례연구-문제점과 개선안을 중심으로 / 정기선 1995  139
3097 5 과학 기술 사회 세상속으로: 해외동향 : 미국: IBM 왓슨(Watson)을 통해 살펴본 인공 지능 기술과 빅 데이터의 접목과 활용 가능성 / 윤창근 2012  139
3096 1 윤리학 정부기관의 정보열람 요구와 ISP의 협조의무 / 박훤일 2016  139
3095 9 보건의료 주요국의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예방의료서비스 현황 조사 / 김계현 2017  139
3094 8 환자 의사 관계 보건의료법제 하에서 인공지능기술의 의료영역 도입의 의의와 법적 문제 / 배현아 2017  139
3093 12 낙태 낙태죄 헌법소원과 여성의 ‘목소리’[2] ―법과 낙태실천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양현아 2018  139
3092 1 윤리학 민법상 친자관계의 결정 / 우병창 2018  139
3091 9 보건의료 감정노동과 직무소진과의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과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 허수진 2017  139
3090 4 보건의료 철학 한국 의사들의 의학 전문직업성과 소명에 관한 평생교육에 관한 연구 / 최숙희 2012  140
3089 9 보건의료 의약품 거래규제에 관한 일고찰 / 이종인, 이승신 2012  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