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FDC법제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47090 
재사용가능의료기기의 평가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 저자[authors] 신승우,김인아,유우진,민효기,김동빈,공석경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FDC법제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3No.2[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에프디시법제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05-11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재사용가능의료기기, 세척밸리데이션, 소독밸리데이션, 멸균밸리데이션,Reusable Medical Devices, Cleaning validation, Disinfection validation, Sterilization validation



국문 초록[abstracts] 
재사용가능의료기기(Reusable Medical Devices)는 한명 이상의 환자에게 사용하거나, 한 환자에게 여러 번의 시 술과정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세척, 소독 또는 멸균 등의 재처리(Reprocessing)를 수행하여야 하는 의료기기이다. 세척, 소 독, 멸균 등 재처리방법은 환자간 교차감염 방지를 위해 그 유효성이 입증되어야 하며, 이는 밸리데이션 등으로 입증 할 수 있다. 미국 등 해외 선진국에서는 재처리 밸리데이션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및 시험규격이 발간되고 있으나, 국 내에서는 아직 구체적인 밸리데이션 기법에 대한 안내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세척, 소독 및 멸균 밸리데이션 시 필요한 기술적 이해를 돕고, 과학적인 밸리데이션의 기술적 적용을 위한 해외 관련 정보 및 각 밸리데이션 기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작성된 재사용가능의료기기 평가 가이드라인을 통해 세척, 소독, 멸균 등 밸리데이션 수행 시 참고 기술자료뿐만 아니라 국내·외 인허가시 요구되는 대응자료로서의 활용을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Reusable Medical Devices is a medical device that is used for more than one patient or for a patient to perform reprocessing such as cleaning, disinfection, or sterilization for use in multiple procedures. Reprocessing methods, such as Washing,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should be proven effectiveness to preventing cross infection between patients, which can be proved by validation and the like. Guidelines and test standards for reprocessing validation are published in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but there is not enough information on specific validation techniques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rovides the technical understanding necessary for cleaning,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validation, and describes overseas related information and validation techniques for technical application of scientific valid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used not only as reference data but also as technical data for domestic and foreign certification when conduct the reprocessing validation such as cleaning,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목차[Table of content] 
초록  I. 서론  II. 본론  1. 재사용가능의료기기의 분류  2. 국내·외 관련 자료 조사·분석  3. 재사용가능의료기기 평가 가이드라인 마련  III. 검토 및 고찰  VI. 결론  감사의 말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528 19 장기 조직 이식 일본 장기이식법의 특징 / 송영민 2017  111
3527 14 재생산 기술 국제대리모계약을 둘러싼 법적 친자관계 쟁점에 관한 헤이그국제사법회의의 최근 동향 분석 및 시사점 / 이병화 2017  111
3526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 관련 신문 기사의 텍스트네트워크분석 / 박은준 외 2018  111
3525 17 신경과학 집단 간 편견(inter-group prejudices)의 신경과학적 이해 / 추병완 2018  111
3524 9 보건의료 “헬스케어 분야의 우버”를 통한 왕진(on-demand doctor house call) 서비스 최근 동향 / 임지연 2019  111
3523 17 신경과학 인권존중과 탈수용화를 위한 정신건강복지법 재개정 연구 / 이동진 2019  111
3522 9 보건의료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뇌전증 치료제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 / 권상조 2018  112
3521 5 과학 기술 사회 인공지능에 의한 차별과 그 책임 논의를 위한 예비적 고찰 / 허유선 2018  112
3520 18 인체실험 암 임상시험 실무지침서 내용개발 / 신용민 2017  112
3519 20 죽음과 죽어감 삶을 위한 죽음의 연습과 자발적 죽음 / 권수현 2014  112
3518 14 재생산 기술 제대혈 이식관리의 현황과 법적 문제 2003  112
3517 9 보건의료 전문의약품 선택의 결정요인 / 이성경, 최지호 2017  112
3516 9 보건의료 의료기관인증제를 경험한 간호사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 감염관리 인지도 및 수행도 2015  112
3515 17 신경과학 복잡계와 뇌과학으로 바라본 인격 특성과 도덕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 박형빈 2017  112
3514 8 환자 의사 관계 일본에서의 의료과오에 대한 형사책임 / 배상균 2017  112
3513 9 보건의료 한국의 고령화와 의료산업 / 윤재중 2018  112
3512 2 생명윤리 생명윤리 교육프로그램이 예비과학교사의 생명윤리 및 생명윤리교육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신수경 2019  112
3511 7 의료사회학 한국의 의사상에 기반을 둔 일반역량 및 위임가능 전문직무(Entrustable Professional Activities: EPA) 개발에 관한 연구 / 이선우 2019  112
3510 5 과학 기술 사회 미래 국가의 성패, 새로운 과학기술 정책에 달렸다/이명현 외 2016  113
3509 2 생명윤리 생명윤리에서의 '자율성'에 대한 이해 / 김광태 2015  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