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430824 


감염방지의무위반에 따른 민사상의 책임과 한계 : 독일의 판례와 증명책임완화규정을 중심으로 

= Civil liability and its limitations for breach of the duty to prevent infection : based on Germany 's case law and the regulations of relieving burden of proof


  • 저자[authors] 김기영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의료법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6No.1[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의료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01-13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The seriousness of the infection in the hospital is raising again due to the death of newborn baby in this hospital. However, the absolute sterility of the hospital can not be guaranteed, so even if all sanitary regulations are followed, the risk of infection remains. As the courts always emphasize, even though a complete aseptic guarantee in a hospital or clinic may not be possible, efforts should be made to prevent such risks to the extent possible. The court's rulings on the issue of hospital infections are increasing. In this point it shows that these preventions have not been fully achieved so far.  In this paper, failure to comply with various legal infection standards can raise a liability risk in civil law. First of all, studies are reviewed the general theory about breach of duty on hospital infections. The different aspects of relieving burden of proof infection are analyzed and compared on the basis of issues and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recent case law and the regulations of the German Civil Code. Finally, the current 

review is concerned with MRSA screening for patient protection and prevention and drawn out its implications.


국문 초록[abstracts]

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사망 사건으로 병원 내 감염의 심각성이 다시 한번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병원내의 절대적 무균상태가 보장될 수는 없기 때문에 모든 위생 규정이 준수되더라도 감염위험은 상존한다. 법원도 항상 강조하는 바와 같이 병원이나 의원내 완전한 무균보장이 불가능할 수 있을지라도 가능한 범위내에서 그러한 위험들을 막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병원감염의 문제에 대해 법원의 판결들이 증가되고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방지조치들이 지금까지 충분히 달성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법률상의 감염기준을 준수하지 않는 것은 민법상 책임위험도 성립할 수 있다. 우선 특히 병원감염에 대한 의무위반에 대한 일반론을 설명하고 인과관계에 대한 쟁점들을 중심으로 최근 판례와 독일 민법상 입증책임의 전환규정들을 중심으로 비교검토하고 있다. 끝으로 환자보호와 예방을 위한 MRSA 선별 검사(Screening)에 대해서도 검토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28 15 유전학 유전병과 기형아 및 유전상담 / 김정휘 1996  573
62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에서 "인격체" 개념 : 대한민국헌법의 "개인"(person)을 중심으로 / 손보미 2014  574
626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 암 환자의 완화적 진정제 투여에 대한 가족의 태도 : 투여 전과 투여 후 비교를 중심으로 /조문애, 김달숙 2012  574
625 자율주행자동차에 관한 법적 문제 2016  574
624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프라이버시 및 정보보호의 법적 근거 고찰 / 박지용 2012  575
623 1 윤리학 동아시아의 사형제도 현실과 미래 / 허일태 2017  575
622 18 인체실험 임상시험 대상자 보상에 관한 윤리 / 허정윤 2015  576
621 20 죽음과 죽어감 생명권 보호와 존엄사에 관한 헌법적 연구 / 김종일 2010  577
620 20 죽음과 죽어감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임종기 치료, 연명치료,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 홍선우, 김신미 2013  578
619 9 보건의료 국제비교를 통한 산재보험과 건강보험의 수가체계 차등화에 대한 연구/김진수 외 2014  578
618 1 윤리학 개인정보보호법상 통계작성 및 학술연구, 그리고 비식별화 : 개인정보보호법 제18조 제2항 제4호의 평가 및 입법론적 논의 / 김후신 2015  578
617 18 인체실험 임상에서 정신건강의학과 의료윤리의 실제/임명호 2015  579
616 1 윤리학 한스 요나스 책임윤리의 도덕교육에의 적용 / 김상철 2003  579
615 22 동물복지 실험동물의 사용과 사육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우상훈 2011  579
614 20 죽음과 죽어감 의료인과 간호학생의 웰다잉 의미에 관한 주관성 연구 / 김선영, 허성순, 김분한 2014  580
613 11 피임 응급피임약의 여성적 관점에 대한 성찰/유혜숙 2015  580
612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모를 권리와 의사의 배려의무 / 석희태 2016  582
611 14 재생산 기술 대리모계약의 유효성 여부와 입법논의를 위한 제요소 연구 / 이봉림 2012  582
610 15 유전학 희귀 미토콘드리아성 유전병에 대한 핵과 미토콘드리아 유전체로부터의 원인 돌연변이 규명 / 박지훈 2014  582
609 16 환경 생체모방의 근본원리에 비춰본 4차 산업혁명 시대 생태문학의 의의/임도한 2018  5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