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대학원 의료경영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5078513 
기업의 CSR 활동이 조직원의 이직의도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제약회사를 중심으로
= Influences of companies’ CSR activities on employees’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Focused on pharmaceutical companies

  • 저자[authors] 조두현
  • 발행사항 서울 :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9
  • 형태사항[Description] 53 p.p. 26cm
  • 일반주기명[Note]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 지도교수:김상만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대학원 의료경영학과 2019.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 제약회사, 기업의 사회적 책임, 기업이미지, 반 기업 정서, 조직몰입, 이직의도
  • 소장기관[Holding]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211006)

초록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종업원의 이직의도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이미지와 반 기업 정서를 매개요인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제약산업은 국가적으로도 고부가 가치 산업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국민들의 건강과 직결되는 산업군이기에 국가의 철저한 관리 속에서 운영되고 있다. 궁극적으로 신약개발을 위해 많은 기업들이 노력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신약을 개발하는데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필요로 한다. 그로 인해 주로 제네릭(Generic) 위주의 제품군의 영업 방식과 각종 리베이트의 부작용과 그로 인한 기업이미지 실추로 인한 조직 구성원들의 조직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이직의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최근 많은 제약 기업들은 기업이미지 쇄신 및 부정적으로 인식되는 반기업 정서에 대한 회복을 위해 사회적 책임 활동을 연계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국내제약 회사 8곳과 다국적 회사 6곳의 임직원 19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행하였다. 응답에 오류가 발생한 설문지를 제하고 187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다중 항목으로 구성된 연구개념 등에 대한 단일 차원성 확인을 위하여 AMOS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확인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조직 구성원의 이직의도 및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하위요인 4가지와 기업이미지, 반 기업 정서, 조직몰입, 이직의도 등 8개의 요인을 구조 방정식 모형 (Structural Equation Model)을 사용하여 모형의 적합도 및 변수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경제적 책임,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은 기업이미지를 통해 이직의도나 조직 몰입에도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직접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또한 법적책임의 경우 반 기업 정서를 통해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직접적으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약 기업의 CSR 활동의 개별 하위 요인은 조직 구성원의 이직의도 및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목차
제 1장 서론 1
제 1절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1
제 2절 연구의 목적 2
제 3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3
제 2장 이론적 배경 5
제 1절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5
1.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개념 5
2.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및 참여에 대한 기존 연구 6
제 2절 기업이미지 7
1. 기업이미지의 개념 7
2. 기업이미지의 구성요소 7
제 3절 반 기업 정서 8
1. 반 기업 정서의 정의 8
2. 사회공헌활동과 반 기업 정서 9
제 4절 이직의도· 10
1. 이직의도의 개념 10
2. 이직의도의 선행연구 11
제 5절 조직 몰입 12
1. 조직몰입의 개념 12
2. 조직몰입의 유형 12
3. 조직몰입의 선행연구 13
제 3장 연구 모형과 가설의 설정 14
제 1절 연구모형 14
제 2절 연구가설의 설정 15
1. CSR과 기업이미지와의 관계 15
2. CSR과 반 기업 정서와의 관계 16
3. 기업이미지 및 반 기업 정서,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16
제 3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18
1.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18
2. 기업이미지 20
3. 반 기업 정서 21
4. 이직의도 22
5. 조직몰입 23
제 4장 실증분석 결과 25
제 1절 표본의 특성 25
제 2절 예비분석 27
제 3절 주분석 30
1. 연구모형 검증 30
2. 매개 효과 검증 32
제 5장 결론 34
제 1절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34
제 2절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35
참고문헌 36
국문초록 44
Abstract 46
설문지 4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748 14 재생산 기술 시험관 아기 시술에서 배란전후 프로게스테론 보충요법의 유용성 / 임소이 2003  519
747 9 보건의료 고령 초산모의 임신과 출산 경험 / 김다연 2018  519
746 14 재생산 기술 배아연구에 관한 법·윤리적 고찰/ 김향미 2009  520
745 5 과학 기술 사회 국내외 인공지능형 로봇 개발 및 시장 현황 연구- 인공지능형 로봇청소기 사례를 중심으로/남미경 2010  520
744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자기 이해와 내러티브적 참 / 조선우 2014  521
743 1 윤리학 정보 투명성과 고객 결정권이 개인정보제공동의수준을 높여 주는가? / 박해령 2019  521
742 22 동물복지 관람에 이용되는 동물의 법적 보호에 관한 연구- 영국의 야생 동물 공연 금지 법안을 중심으로/정소영 2015  521
741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수술 환자에서 혈당 수치가 임상 경과에 미치는 영향 / 유석하 2014  521
740 19 장기 조직 이식 신장이식을 위한 신적출 후 기증자 신기능의 장기적인 변화 / 장혜경 2007  522
739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기술과 나노아트의 융합 연구 / 오규운 2016  522
738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 프로그램이 노인의 삶의 의미, 자기효능감 및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효과 / 변미경 외 2017  523
737 20 죽음과 죽어감 말기와 임종과정에 대한 정의 및 의학적 판단지침 / 이상민, 김수정 외 2018  523
736 20 죽음과 죽어감 부모의 죽음을 경험한 중년 여성의 글쓰기 체험 : 해석 현상학적 분석 / 박천영 2019  523
735 5 과학 기술 사회 사물인터넷(IoT) 공통 플랫폼 구축에 따른 서비스 기반에 관한 연구 / 유홍택 2015  524
734 13 인구 결혼 여성의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김경아 2017  524
733 14 재생산 기술 인간복제에 관한 고찰과 기독교적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 / 김혜순 2008  525
732 19 장기 조직 이식 여성 신장이식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를 위한 집단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 인지행동 모델을중심으로 / 추정인 1998  525
731 12 낙태 낙태에 관한 유럽인권재판소의 입장 : 대한민국에서의 논의에의 시사점 / 오미영 2014  525
730 14 재생산 기술 학술대회 발표논문 : 대리모에 의한 출산자의 모자관계 / 이영규 2010  526
729 5 과학 기술 사회 동아시아 생명과학의 발전과 바이오시민권의 형성가능성 / 김기흥 2012  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