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박사)-- 계명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성인 및 기초 간호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5054470 
근거기반 요양병원 감염관리 가이드라인 수용개작 및 적용효과
= Adaptation and Effect of a Evidence-Based Nursing Practice Guideline for Infection Control of Long-Term Care Hospital

  • 저자[authors] 김유정
  • 발행사항 대구 :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9
  • 형태사항[Description] ⅴ, 244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박정숙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박사)-- 계명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성인 및 기초 간호학 전공 2019.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대구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 요양병원,감염관리,가이드라인,근거기반
  • 소장기관[Holding]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222003)


국문초록
목적: 본 연구는 요양병원의 감염관리를 위한 근거기반 감염관리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방법: 가이드라인은 임상진료지침 수용개작 매뉴얼 Ver 2.0에 제시된 방법을 활용하여, 국외에서 개발된 요양병원 감염관리 가이드라인을 국내실정에 맞게 개발하였다. 최종 확정된 가이드라인은 감염관리체계 및 프로그램, 일반지침, 부위별 감염관리, 병원체별 감염관리, 건강관리 프로그램, 요양병원의 환경관리에 대한 권고로 이루어졌다. 
연구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18년 3월부터 2018년 8월까지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P시 소재 2개의 요양병원을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선정하였으며, 간호사는 실험군 28명, 대조군 26명과 연구기간 동안 요양병원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가이드라인 적용효과는 감염관리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 태도, 수행과 환자의 의료관련감염 발생률로 검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version을 이용하여, 정규성 검정은 Shapiro wilk 검정, 사전 동질성검증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가설검증은 independent t-test, Mann-Whitney U test, Wilcoxon Signed Ranks, 신뢰도 검사는 Cronbach's α를 이용하였다.
결과: 일반적 특성에 대한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동질성 검증 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가이드라인 수용 영향요인은 정규분포를 하였고, 동질성 검증 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사전 종속변수 중 요양병원 의료관련감염관리 지식, 태도, 수행은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실험군의 의료관련감염관리에 대한 지식 점수는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Z=-2.14, p=.032), 실험군의 의료관련감염관리 태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1.65, p=.448). 그리고 실험군의 의료관련감염관리 수행 점수는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Z=-2.187, p=.029). 실험군 환자의 의료관련감염 발생건수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χ²=4.121. p=.042), 실험군 환자의 의료관련감염발생률은 대조군과 비교하여(Z= -1.964, p=.050)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재원일수 1000일당 의료관련감염 발생건수도 대조군과 비교하여(Z=-.218, p=.827)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에서 개발된 근거기반 요양병원 감염관리 가이드라인은 요양병원 간호사의 감염관리에 대한 지식과 수행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료관련감염발생은 다소 감소하여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적극적인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목차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목적 5
3. 연구가설 5
4. 용어정의 6
Ⅱ. 문헌고찰 9
1. 요양병원 환자의 감염관리 9
2. 요양병원 감염관리 가이드라인 현황 14
3. 가이드라인 수용개작 17
4. 연구의 개념적 기틀 21
Ⅲ. 연구방법 26
1. 요양병원 감염관리 가이드라인 개발 26
2. 근거기반 요양병원 감염관리 가이드라인 효과검증 38
1) 연구 설계 38
2) 연구대상 38
3) 연구도구 39
4) 연구진행절차 42
5) 자료 분석 45
6) 연구의 윤리적 측면 46
Ⅳ. 연구결과 47
1. 실무지침 개발 47
2. 실무지침 적용효과 65
1) 간호사 대상 65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종속변수 동질성 검증 65
(2) 가설검증 67
2) 환자 대상 70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종속변수 동질성 검증 70
(2) 가설검증 72
3) 추가분석 74
Ⅴ. 논의 87
1. 요양병원 감염관리 가이드라인 개발 87
2. 요양병원 감염관리 가이드라인 적용효과 91
Ⅵ. 결론 및 제언 99
참고문헌 100
부 록 117
영문초록 239
국문초록 242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508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분야 투자활성화 대책에 대한 헌법적 고찰 : 의료법인의 부대사업 확대 및 자법인 설립 허용을 중심으로 / 홍석한 2014  51
4507 9 보건의료 병원 및 관련시설의 특허출원제도 개선방안 / 차성민 2018  51
4506 9 보건의료 LMO에 대한 손해배상책임 / 문상혁 2011  52
4505 9 보건의료 소비자건강정보(CHI) 참고서비스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 노영희 2013  52
450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 서비스와 질에 대한 연구 / 최명주 2008  52
4503 20 죽음과 죽어감 웰다잉에 관한 한국인의 주관성 연구 / 심형화 2011  52
4502 9 보건의료 소득수준에 따른 암 검진 이용현황 분석 / 임지혜 2017  52
4501 14 재생산 기술 불임 남성 배우자의 시험관 아기 시술 경험 / 이윤정 2004  52
4500 5 과학 기술 사회 『뉴로맨서』에 나타난 인공지능 윤리의식에 대한 연구 / 추재욱 2018  52
4499 8 환자 의사 관계 의사-환자 관계성에 관한 상호이해도 분석 / 박진영 외 2015  52
4498 8 환자 의사 관계 신진학자 연구논문 : 유방암 환자들의 치료과정에서 환자-의사 관계의 관계적 체험과 의미 탐색: 감정 체험과 인지적 관점을 바탕으로 / 이혜범 2013  52
4497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실과 연명의료결정법 현장에서 체감하는 문제점과 개선 필요성 / 김순용 2018  52
4496 12 낙태 낙태 윤리에서 인격체 논변의 기본 전략 분석 / 장동익 2018  52
4495 20 죽음과 죽어감 존엄한 죽음과 일차의료 / 조동찬 2017  52
4494 2 생명윤리 초등 로봇 윤리 가이드라인개발을 위한 파일럿조사 / 박주현 외 2017  52
4493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의료기관의 개인정보 보호 인증제도 적용을 위한 정책과제 / 정영철 외 2013  52
4492 9 보건의료 의료기관에서의 감염예방과 관리 / 정진원 2018  52
4491 23 연구윤리 “황우석” 관련 논문의 언어 네트워크 분석 / 김만재 외 2016  52
4490 1 윤리학 Open Borders and the Ethics of US Alien Vaccination Law 2015  53
4489 9 보건의료 2013년 주요 의료 판결 분석/이동필 외 2014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