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114215 
온라인 자살예방 정보와 댓글 분석: 자살예방 정보의 순기능과 역기능 
= Content Analysis of Online Suicide Prevention Information and Reader’s Comments: Positive and Negative Functions of Suicide Prevention Information

  • 저자[authors] 안순태,이하나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7No.1[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258-290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valuated online suicide prevention information given the impact of media content on the public’s health behavior. Suicide prevention information posted on the portal site NAVER was analyzed to see whether the information encouraged help-seeking behavior. We also assessed the reactions of those with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ir comments. Results uncovered the tendency of blaming individuals for not finding solutions for the suicide crisis. Consequently, negative coping responses such as avoidance were more prevalent than active coping responses. Also, those with suicidal ideation revealed self-stigma by blaming themselves. Taken together, the results provided practical and scholarly implications on the role of online suicide prevention contents.
국문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사람들의 건강행동에 미치는 미디어의 영향력을 고려하여, 온라인 자살예방 정보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분석대상은 포털사이트 네이버에 게시된 자살예방 정보이며, 수집된 자살예방 정보가 자살 위기자의 도움 요청 행동을 도모하는 방향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자살예방 정보에 대한 자살위기자의 반응을 댓글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자살예방 정보들은 전반적으로 위기 극복에 대한 책임을 개인에게 지우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이로 인해, 적극적인 대처 반응보다는 회피와 같은 부정적 반응이 댓글에 많이 나타났다. 또한, 자살 위기에 처한 스스로를 비난하는 자기 낙인도 발견되었다. 자살예방 정보의 적합성과 이에 대한 자살 위기자의 반응을 검토한 본 연구는 자살예방 정보의 바람직한 역할 및 실무적, 학문적 방향성을 제시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528 9 보건의료 병원 내 의료인 안전 향상을 위한 개념적 틀과 정책적 대응 / 강희정 2019  49
4527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의 연구자 인식조사 / 김태연 2016  50
4526 19 장기 조직 이식 Preliminary Marked Increase in the National Organ Donation Rate in Israel Following Implementation of a New Organ Transplantation Law / Lavee, J. 2013  50
4525 9 보건의료 의약품 특허의 강제실시청구에 관한 심사기준 고찰 -인간기능이론을 중심으로 / 민창식 2012  50
4524 19 장기 조직 이식 웹기반 조혈모세포이식 정보제공 프로그램 개발/정문주,김동희 2013  50
4523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에 관한 형법적 고찰 / 박광현 2012  50
4522 9 보건의료 의료행위의 규범적 통제 방식에 대한 소고(小考) - 독일의 의료보험체계에 비추어 본 임의비급여 통제의 정당성 / 김나경 2009  50
4521 9 보건의료 특집 : 의료 제 문제의 공법적 해석 = A Public Law Review of Medical Issues / 이한주 2015  50
4520 2 생명윤리 인간생명의 보호가 법정책의 기반이어야 / 정재우 2018  50
4519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기관 유형에 따른 입원환자의 경험에 대한 고찰 / 정현철 외 2018  50
4518 15 유전학 과학적 부성(paternity) 도입을 통한 친자법의 개혁 / 오병철 2018  50
4517 9 보건의료 인터넷 환경에서의 의료광고 규제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황성기 2016  51
4516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건강권 및 의료인의 진료권 보호를 위한 의료관계법령 개선 / 이얼 2016  51
4515 2 생명윤리 인생의 시작과 전인적 이해 / 정재우 2017  51
4514 20 죽음과 죽어감 ‘행복’과 ‘성공적 노화’ 그리고 ‘잘 죽기’ / 김명숙 2014  51
4513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와 죽음에 관한 비판적 고찰 / 서영준 2017  51
4512 2 생명윤리 문선명선생의 사상으로 본 생명윤리 연구 / 강명호 2017  51
4511 5 과학 기술 사회 특집마당 : 3D 프린팅 기술의 바이오메디컬 응용 / 김완두 외 2014  51
4510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구조과 대학생의 죽음불안, 호스피스 지식과 임종돌봄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강경아 외 2016  51
4509 9 보건의료 소비자 입장에서 바라본 정부의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평가/조윤미 2018  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