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보건행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124460 
완화의료 일당정액수가제 시행에 따른 진료비와 진료행태의 변화 
= Changes in the Medical Cost and Practice Pattern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per Diem Payment in Hospice Palliative Care

  • 저자[authors] 임문남 , 최성우, 류소연 , 한미아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보건행정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9No.1[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보건행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40-48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descriptor] Hospices; Per diem payment; Fee-for-service plans; Medical service charge; Medical practices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s of July 2015, per diem payment was changed from fee for servic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se changes in medical charges and medical services before and after enforcement of the palliative care, targeting palliative care wards in a general hospital, and provide basic data needed for development of per diem payment.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 total of 610 cases consisting of 351 patients of service fee who left hospital (died) from July 2014 to June 2016 and 259 ones of per diem payment at Chosun University Hospital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Result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fter the palliative care system was applied, benefit medical service charges and insurance increased significantly (p<0.001). As benefit medical service charges increased, benefit private insurance payment increased significantly (p<0.001). Second, after the per diem payment was applied, total private insurance payment to medical institutes decreased significantly (p=0.050) and non-benefit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p=0.001).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additional rewards in the obligatory palliative care items should be continuously remedied and monitored to provide good quality hospice palliative car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28 16 환경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에 의한 비상동말단연결의 정확성 분석 /양소연 2017  734
427 14 재생산 기술 완전대리모/자궁대리모가 개입된 배우자간 보조생식술에서 법적 부모 결정 문제/ 김은애, 유수정 2018  734
426 12 낙태 성적 시민권의 부재와 사회적 고통 : 한국의 낙태 논쟁에서 여성 경험의 재현과 전문성의 정치 문제 / 백영경 2013  735
425 4 보건의료 철학 간호대학생과 의과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에 관한 조사 연구 :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권선주 2003  737
424 12 낙태 낙태죄 관련 규정의 합리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송근화 2015  737
423 15 유전학 인간 배아 유전자 편집 기술의 국외 규제 동향 및 시사점 / 이수빈, 김한나 2018  737
422 20 죽음과 죽어감 일개 대학병원의 연명치료 선택 및 사전의료의향서 작성 현황 2011  739
421 1 윤리학 법률전문가로서 변호과오의 민사책임에 관한 연구 / 김남길 2015  740
420 2 생명윤리 생명권과 생명가치에 대한 연구 :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을 중심으로 / 김휘원 2010  741
419 20 죽음과 죽어감 소극적 안락사에 대한 연구 / 안모원 2018  742
418 9 보건의료 "핀핀코로리(ぴんぴんころり)의 비밀": 일본 나가노현 사쿠시에서의 생명정치와 노년의 자기윤리 / 김희경 2015  744
417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의료결정법과 연명의료중단 / 장병주 2017  745
416 15 유전학 CRISPR-Cas9 사용이 제기하는 윤리적 질문들 / 전방욱 2016  747
415 9 보건의료 의료에 있어서 미성년자의 자기결정권 / 김상찬 2011  752
» 20 죽음과 죽어감 완화의료 일당정액수가제 시행에 따른 진료비와 진료행태의 변화 / 임문남 외 2019  752
413 20 죽음과 죽어감 연명치료중단에 있어서 의사결정과정의 구체적 쟁점 / 이재경 2013  754
412 19 장기 조직 이식 생체 부분 간이식후 1개월내 총빌리루빈 재상승 환자에서 Biliary Canalicular Transporter 유전자 mRNA 발현 / 최종영, 조세현, 윤승규, 양진모, 한준열, 안병민, 이영석, 이창돈, 차상복, 정규원, 선희식, 김소연, 김동구 2003  756
411 20 죽음과 죽어감 중년 여성의 호스피스 자원봉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강선미 2016  756
410 5 과학 기술 사회 뇌졸중 환자의 엄지손가락 재활운동을 위한 직교형 엄지손가락 재활로봇 개발/김현민 외 2012  758
409 14 재생산 기술 헌법상 배아의 인간존엄성과 생명권에 관한 연구 / 김용범 2010  7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