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114218 
청소년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요인
= The Effect of Regional Factors on Youth Suicide Rates

  • 저자[authors] 박성준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 권호사항[Volume/Issue] Vol.47No.1[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74-203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 the regional factors affecting youth suicide rates. Six-year youth suicide rates data (2011 to 2016) were collected from the Statistics Korea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suicide rates and demographic, economic, social disorganization, and health-welfare related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geographical information showed that youth suicide rates in rural area was higher than metropolitan cities. Second,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ffected youth suicide rates and suicide occurrence. Third, the demographic structure influenced the suicide rate of adolescents, and the poverty rate influenced the increase in suicide rate and suicide rate of male youth. Fourth, social welfare spending had a negative effect on youth suicide rate.  Based on these results,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community indicators related to youth suicide rates should be managed consistently. Second, the suicide prevention service for youth and the social policies of local governments should be integrated.

국문 초록[abstracts] 
본 연구에서는 시군구 청소년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1년부터 2016년까지 통계청 사망통계 데이터를 활용하여 청소년의 연령별·성별에 따른 자살률을 산출하였으며, 청소년 자살률과 인구사회학적 요인, 경제적 요인, 사회해체요인, 보건·복지 관련 요인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리 정보에 기반한 기술통계분석 결과 주요 광역시에 비하여 농촌지역의 청소년 자살률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지역의 사회경제적 특성이 청소년의 자살률 증가 및 자살사건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의 인구구조가 청소년의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빈곤율은 자살률의 증가와 남성 청소년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시군구의 사회복지 지출수준이 청소년 자살률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의 내용을 제언하였다. 첫째, 청소년 자살률을 예측할 수 있는 지역사회 지표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둘째, 지역사회의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지방자치단체 수준의 정책적 접근과 청소년 자살예방 사업운영을 통합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528 9 보건의료 병원 내 의료인 안전 향상을 위한 개념적 틀과 정책적 대응 / 강희정 2019  49
4527 5 과학 기술 사회 나노·소재기술개발사업의 연구자 인식조사 / 김태연 2016  50
4526 19 장기 조직 이식 Preliminary Marked Increase in the National Organ Donation Rate in Israel Following Implementation of a New Organ Transplantation Law / Lavee, J. 2013  50
4525 9 보건의료 의약품 특허의 강제실시청구에 관한 심사기준 고찰 -인간기능이론을 중심으로 / 민창식 2012  50
4524 19 장기 조직 이식 웹기반 조혈모세포이식 정보제공 프로그램 개발/정문주,김동희 2013  50
4523 9 보건의료 의료행위의 규범적 통제 방식에 대한 소고(小考) - 독일의 의료보험체계에 비추어 본 임의비급여 통제의 정당성 / 김나경 2009  50
4522 9 보건의료 특집 : 의료 제 문제의 공법적 해석 = A Public Law Review of Medical Issues / 이한주 2015  50
4521 2 생명윤리 인간생명의 보호가 법정책의 기반이어야 / 정재우 2018  50
4520 20 죽음과 죽어감 요양기관 유형에 따른 입원환자의 경험에 대한 고찰 / 정현철 외 2018  50
4519 15 유전학 과학적 부성(paternity) 도입을 통한 친자법의 개혁 / 오병철 2018  50
4518 9 보건의료 인터넷 환경에서의 의료광고 규제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황성기 2016  51
4517 8 환자 의사 관계 환자의 건강권 및 의료인의 진료권 보호를 위한 의료관계법령 개선 / 이얼 2016  51
4516 2 생명윤리 인생의 시작과 전인적 이해 / 정재우 2017  51
4515 20 죽음과 죽어감 ‘행복’과 ‘성공적 노화’ 그리고 ‘잘 죽기’ / 김명숙 2014  51
4514 20 죽음과 죽어감 호스피스와 죽음에 관한 비판적 고찰 / 서영준 2017  51
4513 20 죽음과 죽어감 자살에 관한 형법적 고찰 / 박광현 2012  51
4512 2 생명윤리 문선명선생의 사상으로 본 생명윤리 연구 / 강명호 2017  51
4511 5 과학 기술 사회 특집마당 : 3D 프린팅 기술의 바이오메디컬 응용 / 김완두 외 2014  51
4510 20 죽음과 죽어감 응급구조과 대학생의 죽음불안, 호스피스 지식과 임종돌봄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강경아 외 2016  51
4509 9 보건의료 소비자 입장에서 바라본 정부의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평가/조윤미 2018  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