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4,668
발행년 : 201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도덕윤리과교육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6052902 
약리학적 기분 향상에 관한 신경윤리학적 고찰
= Neuroethical considerations on pharmacological mood enhancement

  • 저자[authors] 추병완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도덕윤리과교육

  • 권호사항[Volume/Issue] Vol.0No.62[2019]

  • 발행처[publisher]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43-6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9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Major issues in neuroethical debate concerning pharmocological mood enhancement were buried in the broader ethical issues on human enhancement such as safety, side effects of drugs, justice and fairness, and social pressures. Because such problems are not uniquely related to mood enhancement, ethical issues of pharmacological mood enhancement cannot be shown more sharply. In fact, neuroethical issues that are uniquely specific to pharmacological mood enhancement may be the issues of authenticity, identity, and self. In this regard, this article focused on analyzing neuroethical issues of pharmocological mood enhancement. After a brief conceptual and historical overview of mood enhancement, neuroethical issues of pharmocological mood enhancement - the improvement of mood and related mental functions by means of pharmaceuticals - are analyzed in a systematic fashion.

국문 초록[abstracts]
약리학적 기분 향상에 관한 신경윤리학적 논쟁에서 주요 이슈는 안전성, 의약품의 부작용, 정의와 공평, 사회적 압력 등과 같은 인간 향상의 일반적인 윤리적 문제에 매몰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런 문제는 기분 향상에만 특수한 것이 아니기에, 기분 향상이 지니고 있는 신경윤리학적 문제를 더욱 명료하게 부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사실 기분 향상에 더욱 특수하고 구체적인 신경윤리학적 문제는 진정성, 정체성, 자아의 문제일 것이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약리학적 기분 향상이 지니고 있는 신경윤리학적 문제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약리학적 기분 향상의 개념과 역사에 대해 살펴보고, 심리 상태나 특성을 인위적으로 변경하려는 약리학적 기분 향상의 신경윤리학적 문제를 규명하였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848 9 보건의료 라틴아메리카 국가와 우리나라의 의약품 인허가제도 및 관리체계 비교연구 : 멕시코와 브라질을 중심으로 / 송주현 2014  490
3847 15 유전학 유전자 편집에 근거한 유전자치료 연구의 윤리/전방욱 2016  490
3846 19 장기 조직 이식 간이식 여성의 임신과 출산 경험 / 하희선, 임경춘, 홍정자, 김인옥, 전미경, 정재심, 이순행, 손행미, 이명선, 이승규 2013  490
3845 8 환자 의사 관계 의료정보 이용 및 공개에 관한 법적기준 : 미국 프라이버시 규칙과 피험자보호 규칙의 검토 / 김진경, 한우석 2009  490
3844 16 환경 환경윤리에서 실천 문제에 대한 덕 윤리적 접근 / 김완구 2017  489
3843 1 윤리학 생명윤리 법제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에 관한 연구 / 안영하, 서순택, 우제창, 오정균, 엄애용 2014  489
3842 12 낙태 2,30대 성인남성의 낙태에 대한 인식 / 김금남 외 2017  488
3841 20 죽음과 죽어감 진행성 암환자에서 완화적 항암치료 중단 시점의 결정에 대한 증례보고와 문헌고찰 / 정윤진, 김도연 2016  488
3840 15 유전학 세균 유전체에서 유전 물질의 상호교환에 대한 이해 / 김이환 2016  487
3839 9 보건의료 메르스와 지카바이러스의 대응을 바탕으로 해외유입 신종 감염병 예방 시스템 구축 방안 / 김자영 2016  487
3838 18 인체실험 임상시험의 윤리적 측면 / 구인회 2005  487
3837 12 낙태 착상전유전자진단과 산전유전자진단에 대한 형법적 제재의 정당성 / 이석배 2012  487
3836 9 보건의료 간호사와 간호관리자의 포괄간호서비스 제공경험 : Giorgi의 현상학적 접근 / 주명순 2016  485
3835 20 죽음과 죽어감 심폐소생술금지 결정 시점에서의 임상적 특성: 일개 종합병원 종양내과 사망한 암환자를 대상으로 / 강나영 외 2016  485
3834 20 죽음과 죽어감 노인여성의 죽음 결정과 죽을 권리 / 이동옥 2015  485
3833 19 장기 조직 이식 뇌사와 장기이식에 대한 기독교 윤리학적 이해 / 박희찬 1998  485
3832 1 윤리학 가족관계등록법의 문제점 및 그 개선방안 : 신분등록제도의 개편을 중심으로 / 문흥안 2013  485
3831 20 죽음과 죽어감 국내병원의 사전의료의향서 및 심폐소생술금지요청서 현황 / 김애리 2016  484
3830 14 재생산 기술 생명공학기술과 대리모의 행위성 / 이은주 2008  484
3829 4 보건의료 철학 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노인간호실천과의 관계 / 홍소형 외 2016  483